[3-01 음운] (1) 음운 체계 자음 체계 모음 체계 운소 1 2 3.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녕안시조선족소학교 교자 : 김옥선 둥글둥글 지구에는 1학년상권1학년상권 목단강시조선족소학교 조선어문교수연구회 软件制作 : 吴林禄.
Advertisements

[1 차시 ] 5 분 퀴즈 1. 자신을 소개하는 기본 문형을 말해 봅시다. 2. 고등학교 ‘ 축제 ’ 를 일본어로는 뭐라고 하나요 ? 3. 숫자 1-10 중 읽는 방법이 2 가지 이상인 것은 ? 4. 다음 설명에 대해 ○, × 로 답해 봅시다. ① 일본에서 교복은 ‘ せいふく.
4 장 : 언어음 ( 음성학 ). 지난 시간 Last Class – We talked about..  1. 음성학  음이 어떻게 물리적으로 만들어지는가 ?  2. 조음위치  어느 위치에서 소리가 만들어 지는가 ?  3. 조음방법  어떻게 소리가 만들어 지는가.
7 장 언어의 형식적 특성 지적장애 언어재활 구미대학교 언어재활과.  형식 (Form): 구문론, 형태론, 음운론  내용 (content): 의미론 - 어휘에 대한 지식 및 사물과 사건에 대한 지식  기능 (use): 화용론 - 대화를 수행하기 위한 규칙 언어의.
제목 ( 책이름 ) : 기차 ㄱㄴㄷ. ㄱ ( 기역 ) : 기다란 기차가 칙칙폭폭 갑니다.
소단원 학습 활동 [1] 바르게 읽고 말하기. 다음 빈칸을 채우며 국어 음운의 체계를 파악해 보자. 1 비분절 음운 자음 모음 소리의 길이.
2. 이렇게 하 면 돼요. 지도교사 : 곽현모. 공부한 내용 확인하기 국어사전이란 ? 우리가 쓰는 낱말의 뜻을 설명해 놓은 책.
★ 글자가 짜인 순서 ★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ㅅ ㅆ ㅇ ㅈ ㅉ ㅊ.
4. 음운의 변동 얘들아, ‘ 신라, 국물 ’ 의 발음은 왜 [ 실라 ], [ 궁물 ] 이 되는 걸까 ?
훈민정음 훈민정음을 만든 이유, 역사적 가치, 만들어진 시대, 훈민정음의 분류의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독화특성과 지도. 독화 ( 말읽기 ) 초기 ‘ 독순 ’ 과 ‘ 독화 ’ 란 용어 혼용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정 후 ‘ 말읽기 ’ 로 사용 말읽기 과정 시각을 통해 운동형태를 수용하는 단계 운동형태를 지각하는 단계 개념화 또는 해석하는 단계 사고를 통해 보충하는 단계.
▶ 청각 장애인에 대한 에티켓 ◀ 1. 대화를 할 때 수화 뿐만 아니라 입도 사용한다. 2. 입 안에 껌 등을 씹으며 말하지 않는다. 3. 얼굴의 표정을 조심한다. 4. 듣지 못한다고 하여 건청인 ( 말하고 듣 는 사람 ) 끼리 속삭이지 않는다.
배소영 한림대 언어청각학부 다문화, 다언어 사용 아동의 학습지원 배소영 한림대 언어청각학부
(1) 말소리와 발음 갈래 : 설명문 성격 : 체계적, 해설적, 객관적 제재 : 우리말의 음운
4. 알고 싶은 것, 묻고 싶은 것 ⑴ 국어의 음운 체계와 변동 이해하기.
訓(가르칠 훈) 民(백성 민) 正(바를 정) 音(소리 음) 백성에게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
제 3 장 고문 제 1절 옛말의 표현.
국어 문법 수업 자료 음운의 체계 독서와 문법 수업 자료 수업자료 전체
조음음운장애 의사소통 과정과 조음음운장애 구미대학교 언어재활학과.
☆훈민정음을 만든 사람 ☆훈민정음을 반포한 날 ☆훈민정음을 만든 이유 ☆훈민정음의 원리
조음음운장애 의사소통 과정과 조음음운장애 정귀연.
HANGUL Principles (한글 소리 발음 원리)
ㄱ ㄴ ㅓ ㅛ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출처:.
Elementary Korean 1 : Review
• 수학 • 6학년 나단계 • 7. 연비>1/9 홈 두 수의 대응 관계를 , 를 사용한 식으로 나타내기 수업활동 수업계획.
한국어 입문 韩国语入门.
5 국어의 역사 01 국어의 변천 02 국어의 수난과 발전 국어 수난의 역사 통일 시대의 국어 세계화 시대의 국어
국어 문법 수업 자료 로마자 표기법 독서와 문법 수업 자료 박 전 현 Park Juen Hyun Bak Jeonhyeon
Teaching Hangul Effectively to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A B C 어린이 영어노트 학원 표지 - 1.
3강 한글 맞춤법 총칙.
유성음과 무성음, 홀소리(모음)와 닿소리(자음)의 생성 원리
14주 실습강의 학기, 소프트웨어 설계 및 실험(Ⅰ).
한글 모아쓰기 automata 세종대왕과 컴퓨터를 연결하다 KAIST 전산학과 최광무.
한글반포 562돌 기념 학술세미나 온누리 한글의 유니코드(Unicode) 적용방안 연구
d g b a z w h j x l k y s n m c p [ t v r q
별의 밝기와 거리[2] 밝다고 가까운 별은 아니야! 빛의 밝기와 거리와의 관계 별의 밝기 결정.
(생각열기) 옷가게에서 옷을 살 때와 옥가게 밖으로 나와 서 옷을 볼 때 옷 색이 달라져 보이는 이유는?
문법 용어만 알면 다 아는 거야!.
큐맨 PPT 활용법 매 달마다 큐맨이 나와서 직접 몸동작으로 정답을 알려주는 방법 외에 PPT를 활용한 방법을 제시해 드립니다. 큐맨이 등장해서 PPT 퀴즈 형식을 설명한 후, 힌트를 보여줍니다. 주제를 변경하실 때에는 PPT 수정이 가능하오니 원하시는 주제로 변경하여.
식물은 어떻게 자손을 남길까(1) <생각 열기> 사과, 배, 복숭아 등의 과수나무를 재배하거나
말소리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어떻게 발성되고, 어떻게 분류될 수 있는가
Section 1. 음소와 최소 대립쌍 전다흰.
P 등속 직선 운동 생각열기 – 자동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릴 때, 속력계 바늘이 일정한 눈금을 가리키며 움직이지 않을 때가 있다. 이 때 자동차의 속력은 어떠할까? ( 속력이 일정하다 .)
위치 에너지(2) 들어 올리기만 해도 에너지가 생겨. 탄성력에 의한 위치 에너지.
생활 속의 밀도 (1) 뜨고 싶니? 내게 연락해 ! 물질의 뜨고 가라앉음 여러 가지 물질의 밀도.
한국어의 자음들 - 평음, 경음, 격음을 중심으로 중국해양대학교 한국연구소 특강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언어학개론_다섯째주차 (음성학_2) (2018년)
균형이진탐색트리 이진 탐색(binary search)과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와의 차이점
끓는점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1) 열 받으면 누가 먼저 나올까? 증류.
한국어 교실 한국어 글자들 자음과 모음.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생각열기) 요리를 할 때 뚝배기로 하면 식탁에 올라온 후에도 오랫동 안 음식이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2) 국어의 음운 단모음과 이중모음 단모음 체계 자음 체계.
1. 정투상법 정투상법 정투상도 (1) 정투상의 원리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학습 주제 p 끓는점은 물질마다 다를까.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 교육 방안 (학습자 연령에 따른 한국어 교육)
나랏말싸미 발표 한글의 우수성 구성원: 김정하,공현규,김영빈,이상현.
상관계수.
3 국어의 이해와 탐구 음운의 개념과 체계 음운 변동 01 음운 02 단어 03 문장 04 담화 | 단 원 구성 |
한국과학원(KAIS) 석사학위논문, 최광무
한국과학원(KAIS) 석사학위논문, 최광무
한국과학원(KAIS) 석사학위논문, 최광무
국어 문법 수업 자료 외래어 표기법 독서와 문법 수업 자료 어느 것이 맞을까요 Cup : 컾 Rocket : 로켓
미 술 5 학년 4.이야기 세상 (5-6/6) 초기화면 마술 그림을 그리고 작품 감상하기.
Automatic Music Transcription
드럼 악보 보기 드럼 악보는 일반 악보와 표기 방법이 약간 다릅니다. 콩나물의 위치에 따라 악기가 선택되는 것이고 표시되는 음표에 따라 비트가 선택되는 겁니다. 드럼 악보는 드럼을 시작하는 사람이 가장 먼저 알아야 하는 사항입니다. 또 드럼 좀 한다는 사람은 드럼을 튜닝.
친구야 너무 염려 말게나 친구여 너무 염려 말게나 폭풍도 잠시면 지나가고 밝은 빛이 보일거라네 저기 희미하게 등대불이 보이지 않는가.
건강한 여름 보내기 파워포인트 꼬망세 물놀이 안전.
Presentation transcript:

[3-01 음운] (1) 음운 체계 자음 체계 모음 체계 운소 1 2 3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얼른 밥을 챙겨 먹고 집을 나섰다. 자음 체계 1 다음 문장을 읽으면서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맛보기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얼른 밥을 챙겨 먹고 집을 나섰다.

코를 막고 문장을 읽으면서 평소와 달라지는 소리를 찾아보자. 자음 체계 1 코를 막고 문장을 읽으면서 평소와 달라지는 소리를 찾아보자. 천천히 읽으면서 두 입술이 닿는 소리를 찾아보자. 맛보기 비음은 코를 막으면 정상적으로 소리가 나지 않는다. 국어의 비음은 ‘ㄴ, ㅁ, ㅇ’이다. 두 입술이 닿는 소리는 입술소리(순음)이다. 국어의 입술소리는 ‘ㅂ, ㅃ, ㅍ, ㅁ’이다.

핵심 정리 목청소리(후음) 여린입천장소리 (연구개음) 센입천장소리 (경구개음) 잇몸소리(치조음) 입술소리(순음) 자음 체계 1 핵심 정리 조음 위치에 따른 분류 목청소리(후음) 목청 사이 여린입천장소리 (연구개음) 혀뿌리 부분과 여린입천장 사이 센입천장소리 (경구개음) 혓바닥과 센입천장 사이 잇몸소리(치조음) 혀끝과 윗잇몸의 접촉 입술소리(순음) 입술

핵심 정리 구강음 비강음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유음 자음 체계 1 핵심 정리 조음 방법에 따른 분류 구강음 비강음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유음 비음

핵심 정리 울림소리(유성음) 안울림소리(무성음) 자음 체계 1 핵심 정리 목청 떨림에 따른 분류 울림소리(유성음) 안울림소리(무성음) 비음 유음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핵심 정리 입술소리 잇몸소리 센 입천장 소리 여린 목청소리 자음 체계 1 핵심 정리 현대 국어의 자음 체계 입술소리 잇몸소리 센 입천장 소리 여린 목청소리 파열음 예사소리 ㅂ ㄷ ㄱ 된소리 ㅃ ㄸ ㄲ 거센소리 ㅍ ㅌ ㅋ 조음 위치 조음 방법

핵심 정리 입술소리 잇몸소리 센 입천장 소리 여린 목청소리 자음 체계 1 핵심 정리 현대 국어의 자음 체계 입술소리 잇몸소리 센 입천장 소리 여린 목청소리 파찰음 예사소리 ㅈ 된소리 ㅉ 거센소리 ㅊ 조음 위치 조음 방법

핵심 정리 입술소리 잇몸소리 센 입천장 소리 여린 목청소리 자음 체계 1 핵심 정리 현대 국어의 자음 체계 조음 위치 조음 방법 입술소리 잇몸소리 센 입천장 소리 여린 목청소리 마찰음 예사소리 ㅅ ㅎ 된소리 ㅆ 비음 ㅁ ㄴ ㅇ 유음 ㄹ

적용하기 여린입천장소리 파열음 잇몸소리 비음 잇몸소리 유음 잇몸소리 마찰음 센입천장소리 파찰음 입술소리 파열음 자음 체계 1 적용하기 다음 자음의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을 써 보자. 자음 조음 위치 조음 방법 조음 방법 ㄲ ㄴ ㄹ ㅅ ㅈ ㅍ 여린입천장소리 파열음 잇몸소리 비음 잇몸소리 유음 잇몸소리 마찰음 센입천장소리 파찰음 입술소리 파열음

모음 체계 2 다음 모음들을 하나씩 천천히 발음하면서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맛보기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소리를 내기 시작할 때와 마칠 때의 입 모양이 달라지는 모음을 찾아보자. 맛보기 모음 체계 2 소리를 내기 시작할 때와 마칠 때의 입 모양이 달라지는 모음을 찾아보자. 맛보기 ㅑ, ㅕ, ㅛ, ㅠ 이중 모음은 단모음과 달리 소리를 내기 시작할 때와 마칠 때의 입 모양이 달라진다. 이 밖에 ‘ㅘ, ㅝ, ㅖ, ㅒ’ 등도 이중 모음에 속한다.

발음할 때 입술 모양이 동그랗게 오므려지는 모음을 찾아보자. 맛보기 모음 체계 2 발음할 때 입술 모양이 동그랗게 오므려지는 모음을 찾아보자. 맛보기 ㅗ, ㅛ, ㅜ, ㅠ 입술을 둥글게 오므려서 발음하는 모음을 원순 모음이라 한다. 이 밖에 ‘ㅟ, ㅚ’등도 원순 모음에 속한다.

핵심 정리 단모음과 이중 모음 단모음(10개) 이중 모음(11개)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 모음 체계 2 핵심 정리 단모음과 이중 모음 단모음(10개) 이중 모음(11개)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

전설 모음 후설 모음 평순 모음 원순 혀의 높낮이 입술 모양 혀의 앞뒤 핵심 정리 현대 국어의 단모음 체계 고모음 ㅣ ㅟ ㅡ 2 핵심 정리 현대 국어의 단모음 체계 전설 모음 후설 모음 평순 모음 원순 고모음 ㅣ ㅟ ㅡ ㅜ 중모음 ㅔ ㅚ ㅓ ㅗ 저모음 ㅐ ㅏ 혀의 높낮이 입술 모양 혀의 앞뒤

핵심 정리 상향 이중 모음 ’j’+단모음 ’w’+단모음 하향 단모음+’j’ 모음 체계 2 핵심 정리 현대 국어의 이중 모음 상향 이중 모음 ’j’+단모음 ㅑ〔ja〕, ㅕ〔jə〕, ㅛ〔jo〕, ㅠ〔ju〕, ㅒ〔jɛ〕, ㅖ〔je〕 ’w’+단모음 ㅘ〔wa〕, ㅝ〔wə〕, ㅙ〔wɛ〕, ㅞ〔we〕 하향 단모음+’j’ ㅢ〔ɨj〕

적용하기 다음 자음의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을 써 보자. ▪ 후설 원순 모음: ▪ 전설 원순 고모음: ㅜ, ㅗ 모음 체계 2 적용하기 다음 자음의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을 써 보자. ▪ 후설 원순 모음: ▪ 전설 원순 고모음: ▪ 후설 평순 저모음: ㅜ, ㅗ ㅟ ㅏ

다음 문장을 천천히 읽으면서 단어 ‘눈’의 길이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생각해 보자. 맛보기 운소 3 다음 문장을 천천히 읽으면서 단어 ‘눈’의 길이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생각해 보자. 맛보기 눈에 눈이 들어가니 눈물인가 눈물인가. ‘눈[目]’의 ‘눈’은 짧은소리이고, ‘눈[雪]’의 ‘눈’은 긴소리이다. 첫 번째와 세 번째의 ‘눈’은 짧은소리이고, 두 번째와 네 번째의 ‘눈’은 긴소리이다.

핵심 정리 음소(音素) 운소(韻素) 자음과 모음으로 뜻의 차이를 만듦. 모음의 길이, 높이, 세기로 뜻의 차이를 만듦. 3 핵심 정리 운소의 개념과 기능 음소(音素) 운소(韻素) 자음과 모음으로 뜻의 차이를 만듦. 모음의 길이, 높이, 세기로 뜻의 차이를 만듦. 모음의 길이에 따라 뜻의 차이가 생긴 예 말〔馬, 斗〕 : 말ː〔言〕 말다〔捲〕 : 말ː다〔勿〕 눈〔眼〕 : 눈ː〔雪〕 성인(成人) : 성ː인(聖人)

운소 3 핵심 정리 국어 운소의 특성 긴소리는 일반적으로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나타나기 때문에 긴소리를 가지고 있던 것이 둘째 음절 이하에 오게 되면 짧은 소리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한국+말ː → 한국말 함박+눈ː → 함박눈 거짓+말ː → 거짓말 구두+솔ː → 구둣솔

모음의 길이가 다른 다음의 짝을 활용하여 짧은 글을 지어 보자. 운소 3 적용하기 모음의 길이가 다른 다음의 짝을 활용하여 짧은 글을 지어 보자. 밤〔夜〕, 밤ː〔栗〕 발〔足〕, 발ː〔簾〕 솔〔松〕, 솔ː〔刷毛〕 눈 내리는 밤이면 화롯가에 둘러 앉아 밤을 구워먹곤 했었다. 더운 여름에 할 수 있는 피서라곤, 햇빛을 가리는 발을 치고 대야에 시원한 물을 받아 발을 담그는 것이 고작이었다. 울창한 솔숲에서 산림욕을 즐기고 돌아와서는 현관 입구에 놓인 솔로 바지에 묻은 흙을 털어내곤 했다.

국어의 자음이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어떻게 나누어지는지 말해 보자. 배운 후에 담아 보기 국어의 자음이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어떻게 나누어지는지 말해 보자. 국어의 자음은 조음 위치에 따라 목청소리, 여린입천장소리, 센입천장소리, 잇몸소리, 입술소리 등으로 나뉜다. 그리고 조음 방법에 따라서는, 구강만 이용해서 내는 구강음과 비강도 같이 이용해서 내는 비강음으로 우선 나뉜다. 구강음에는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유음이 있고, 비강음에는 비음이 있다.

√ √ √ 담아 보기 2. 다음 중에서 모음 체계를 세우는 기준이 되는 것을 모두 찾아보자. 배운 후에 담아 보기 2. 다음 중에서 모음 체계를 세우는 기준이 되는 것을 모두 찾아보자. ① 혀의 앞뒤 ② 음의 길이 ③ 입술 모양 ④ 혀의 높이 ⑤ 음의 세기 √ √ √ ①, ③, ④

배운 후에 펼쳐 보기 3. 다음 단어들은 원래 긴소리를 가진 단어가 아니지만, 실제 대화 장면에서 길게 발음하는 경우가 흔히 발견된다. 이 단어들을 짧게 발음하는 경우와 길게 발음하는 경우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생각해 보자. 엄청, 너무 넓다, 높다, 많다, 멀다, 크다

배운 후에 펼쳐 보기 길게 발음하는 경우에는 길이가 길수록 그 정도가 크고, 세고, 높고, 멀다는 수사적 표현 가치가 생겨 그 뜻이 강조된다. 이러한 수사적 가치는 단어 고유의 길이, 즉 음장과는 무관하다.

배운 후에 엮어 보기 4. 한글 자모와 영어 알파벳 또는 발음 기호 사이의 대응표를 작성해 보고, 일대일로 대응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면 그 이유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한글 ㅂ ㅃ ㅍ ㄷ ㄸ ㅌ ㅅ ㅆ ㅈ ㅉ ㅊ 알파벳 발음 기호 b, p pp p d, t tt t s ss j jj ch

배운 후에 엮어 보기 한글 ㄱ ㄲ ㅋ ㅎ ㅁ ㄴ ㅇ ㄹ 알파벳 발음 기호 g, k kk k h m n ng r, l ŋ

엮어 보기 ㅏ ㅓ ㅗ ㅜ ㅡ ㅣ ㅐ ㅔ ㅚ ㅟ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ㅝ ㅙ ㅞ ㅢ 한글 알파벳 발음 기호 a eo o u 배운 후에 엮어 보기 한글 ㅏ ㅓ ㅗ ㅜ ㅡ ㅣ ㅐ ㅔ ㅚ ㅟ ㅑ 알파벳 발음 기호 ㅕ ㅛ ㅠ ㅒ ㅖ ㅘ ㅝ ㅙ ㅞ ㅢ a eo o u eu i ae e oe wi ya ə æ w yeo yo yu yae ye wa wo wae we ui yə yæ wə wæ

배운 후에 엮어 보기 이 표는 영어 알파벳을 대응시킨 것은 현행 국어 로마자 표기법에 규정된 것을 그대로 보인 것이다. 정확히 일대일로 대응시키기 어려운 경우에는 표기법을 두 가지로 규정하기도 하였고(ㅂ: b, p), 두 개 이상의 알파벳을 조합하여 대응시키기도 하였다(ㅓ: eo). 발음 기호의 경우도 비슷해서, 두 가지로 규정된 경우도 있고, 아예 적절한 발음 기호를 대응시키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대응 관계가 발생하는 이유는

배운 후에 엮어 보기 근본적으로 국어의 음운 체계와 영어의 음운 체계가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국어의 된소리가 영어에는 음소로 인식되지 않고, ‘ㅡ’와 같은 모음 역시 영어에서는 음소로 존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음운 체계의 차이 때문에 언어와 언어 사이에 자모를 정확히 대응시키는 것은 근본적으로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마자 표기법에서와 같이 대응 관계를 규정한 것은 현실에서 전사(轉寫)의 필요에 의해 부득이하게 생긴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