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탄소 녹색성장’ 실현 및 신성장동력산업 육성을 위한 탄소저감에너지 분야 추진전략 2009. 2. 19
목차 I 녹색성장과 그린에너지 산업 국제동향 및 우리의 현 주소 II 탄소저감에너지 신성장동력 발전전략 III 1 CO2 저장 및 활용산업 1 원전 플랜트 2
I 녹색성장과 그린에너지 산업
온실가스를 획기적으로 감축하는 새로운 에너지산업 1. 그린에너지 산업의 개요 녹색성장은 신성장동력과 일자리를 창출하는‘新국가발전 패러다임’ (대통령8.15경축사) 녹색성장의 세부 실천 계획으로 그린에너지 산업 발전전략 발표 (대통령 보고, 9.11 ) 온실가스를 획기적으로 감축하는 새로운 에너지산업 62Gt 기본 시나리오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에너지원 (27%) 48Gt 28Gt 화석연료의 청정화 (37%) 기술혁신 시나리오 14Gt 효율 향상 (36%) 온실가스배출량(Gt CO2/년) * 출처 : IEA 구 분 주 요 분 야 태양광, 풍력, 수소연료전지, IGCC(석탄가스화 복합발전) CTL(석탄액화) 및 GTL(가스액화), CCS(CO2 포집, 저장) LED조명, 전력IT, 에너지저장, 소형열병합, 히트 펌프, 초전도 신재생에너지 청정연료 고효율 기기
신시장을 창출하는 거대 산업으로 부상 그린에너지 투자 매년 60 ~ 80% 급증 IT혁명에 버금가는 고성장세 전망 60% 2. 녹색성장의 핵심동력 신시장을 창출하는 거대 산업으로 부상 그린에너지 투자 매년 60 ~ 80% 급증 IT혁명에 버금가는 고성장세 전망 (단위 : 억불) 미 CleanEdge : 10년간 연평균 15.1% 고성장 미 캠브리지에너지연구소 : ’30년 투자규모 7조불 60% 1,484 58% 78% 926 585 타 산업의 그린화 등 경제·사회적 확산효과 332 '04 '05 '06 '07 그린에너지 산업 타 산업의 그린화 사회·문화적 변화 (Green Transformation) GE R&D 투자 확대 : ('04) 7억불 ('10) 15억불 (기술 + 인프라) BP '02년부터 10년간 80억불 투자 성장의 중심축이 IT에서 그린에너지로 이동
국제동향 및 우리의 현 주소 II
1. 선진국의 기술동향
2. 우리의 현주소와 성장 잠재력
탄소저감에너지 신성장동력 발전전략 III CO2 저장 및 활용산업 1 원전 플랜트 2
탄소저감에너지 신성장동력 발전전략 III CO2 저장 및 활용산업 1
CO2 회수 및 재자원화 기술 개발로 ‘저탄소 녹색성장’ 실현 1. 신성장동력화 필요성 개 요 필요성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배출량 세계 10위로, 온실가스 의무 감축에 대한 국제적 요구 증대 기후변화협약 및 지구온난화 대응을 위한 이산화탄소 회수/재자원화/고부가화를 위한 혁신적 기술 - ’08 G8 정상회담에서 특히, CCS(이산화탄소 회수 및 저장) 기술의 보급 계획을 발표 미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저비용 고효율 CO2 회수 및 재자원화 기술 확보를 위한 경쟁의 가속화 ※ 세계 탄소시장 규모 : ’05년 10조원 ’10년 150조원 (출처:World Bank) CO2 회수 및 재자원화 기술개발로 녹색성장 및 산업의 안정적 기반확보 - 발전, 철강, 시멘트, 석유화학 등 기존 산업계에 적용해 국가 저탄소형 산업구조로 체질전환에 기여 - CDM 사업화를 통한 국내 기후산업의 육성, 고용창출 및 국가 신성장동력 기회로 활용 ※ ’18년까지 CO2 배출 감축량의 10% 저감 ※ IEA/ETP2008 2050년 전체 CO2 배출량의 19%를 CCS 기술로 감축 CO2 회수 및 재자원화 기술 개발로 ‘저탄소 녹색성장’ 실현 2018년 국내 CO2 발생량 10% 처리
2. 비전 및 목표 비전 ’18년 국내 CO2 발생량 10% 처리 목표 세계시장규모 국내 생산액 수 출 액 고 용 부가가치 900 억불 1,750 억불 2,300 억불 목표 국내 생산액 - 35 천억원 161 천억원 수 출 액 - 14 억불 64 억불 고 용 - 13 천명 60 천명 부가가치 - 12 천억원 64 천억원 ‘08년 ‘13년 ‘18년 저비용 핵심원천기술 확보 -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 - 이산화탄소 재자원화 기술 - 이산화탄소 고부가화 기술 CDM 사업 진출 지원 - 기후변화대응 한/개도국 협력사업 등 - 이산화탄소 등 처리기술의 CDM 사업화 검토 기술력 강화 인프라 강화
3. 핵심과제 및 추진전략 R & D 시장 창출 투입 예산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 개발 - ’18년 국내 이산화탄소 발생량의 10% 처리 차세대 혁신기술개발 이산화탄소 재자원화 기술 개발 - 회수된 대량 CO2를 기존공정 대비 1/10 수준 비용으로 처리 이산화탄소 고부가화 기술 개발 - 고부가화 기술 경제성 확보 위한 핵심소재/원천 기술 개도국 온실가스 감축 지원 통한 해외 CDM 사업 진출 - 기후변화 대응 한-개도국 협력사업 - 상용화시점, UN 승인 시점 추진 시장 창출 이산화탄소 등 처리기술의 CDM 사업화 검토 - CO2 처리기술에 대한 CDM 사업화를 위해서 기술신뢰성 확보, 방법론 확립 및 국내 기술상용화 시점에 따른 사업 검토 투입 예산 R&D 목표달성을 위해 ’13년까지 총 1,056억원 지원 - 에너지자원기술개발사업의 중대형 전략 및 단기핵심과제로 추진
이산화탄소 회수 및 재자원화 기술 개발의 기대효과 4. 기대효과 이산화탄소 회수 및 재자원화 기술 개발의 기대효과 경제적 효과 기술적 효과 외교적 효과 수출효과 - ’18년 100억불 부가가치 - ’18년 20조원 CO2 저감량 - 240백만톤 고용창출효과 - 총 463천명 고효율 저비용 CO2 처리 기술을 확보 기후변화 대응 및 세계 탄소배출권 시장 거래를 통한 수익 창출 화력발전, 시멘트, 철강, 석유화학 등 대량 CO2 배출원의 지속적 산업 기반 확보 세계 10위 온실가스 배출국으로서 기후변화 협약에 적극적 대응 국제사회에서 개도국 지원을 통한 국가 위상 제고
탄소저감에너지 신성장동력 발전전략 III 원전 플랜트 2
원전 수출 산업화 및 원전산업 육성을 통한 21세기 ‘저탄소 녹색성장’ 실현 1. 세계 원전시장 및 국내 현황 세계시장 국 내 원전의 설비 비중을 ’08년 26%에서 ’30년 41%로 증대 (국가에너지기본계획) 에너지/CO2 감축 문제의 대안으로 원자력발전 에 대한 인식변화, 원전 르네상스 도래 ’30년까지 약 7,000억불 예상 ※원전설비 약2배, 발전량 11% 증가 예상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바탕으로 원전 기자재∙ 기술 수출 증가 - 기자재∙기술 수출 : 두중, KOPEC, 한수원 등은 현재까지 미국, 중국 등 주요 수출시장 대상으로 약18억불 수출 (IAEA(08.09)) ’07 ’30 372GWe` 748GWe (낙관적 전망치) 새로운 수출 품목으로 원전 플랜트에 주목 - 터키, 요르단 등 원전사업 수주 추진 중 거대 원전 시장 선점을 위한 원전 공급사들의 대형화 및 공격적 수주 경쟁 가속화 - 도시바(일)의 Westinghouse 인수(06년) - 아레바(프)-미쯔비시(일) PWR 연대 구축(06년) - GE(미)-히타치(일) 사업제휴 협정 체결(07년) 원전 플랜트 수출 추진 전략 - 미자립 핵심원천기술/차세대 신형 원전 조기 개발 - 체계적 해외 마케팅 전략 강구 및 정보력 강화 필요 원전 수출 산업화 및 원전산업 육성을 통한 21세기 ‘저탄소 녹색성장’ 실현
2. 비전 및 목표 ’13년 세계 원전 수출 6대 강국으로 도약 원전 핵심기술 자립을 통한 독자적 수출 역량 확보 - 원전 2기 수출 달성 Action Plan 기술력 강화 인프라 강화 범 정부 차원 전방위 협력체계 구축 IAEA 등 국제협력체제에 능동 참여 수요국 원자력 인프라 구축 및 인허가 지원 핵심기술 조기개발(‘15→’12)을 통한 수출경쟁력 제고 - 미자립 핵심원천기술 개발 - 차세대 신형 원전 개발
3. 핵심과제 및 추진전략 R & D 시장 창출 투입 예산 미자립 핵심원천기술 조기 개발 - ’12년까지 원전 설계코드, 원자로냉각재펌프, 원전제어계측장치 개발 차세대 원전 “APR+”원천기술 확보 및 개발 - ’12년까지 APR+의 표준 상세설계 개발 완료 양자 및 다자간 원전도입 기반 구축 협력사업 추진 - ASEAN+3 국가들 대상으로 인력양성사업 지원 및 원전 협력 MOU 체결 추진 정부간 고위급 협력채널을 통한 세일즈 외교 추진 - 정상회담, 경제협력위 및 APEC 국제회의를 통한 한국 원전의 우수성 적극 홍보 시장 창출 투입 예산 R&D 목표 달성을 위해 ’13년까지 총 3,572억원 지원 - 원자력발전기술개발사업의 핵심과제로 추진(지경부 소관)
4. 기대효과 한국형원전 2기 수출 시 기대효과 경제적 효과 기술적 효과 외교적 효과 원전 독자 수출 능력 으로서 국제무대에서 직접수출효과 - 2.7조원(연 2,700억원) 관련산업 파급효과 - 5.4조원(생산유발 2.9조원, 부가가치유발 2.5조원) 후속수출효과 - 2.2~4조원(핵연료 및 예비품 수출 등) 고용창출효과 - 총 5.5만명 핵심원천기술 확보로 원전 독자 수출 능력 보유 경쟁사 대비 기술성, 경제성, 안전성 우위의 신형 원전기술 확보 국내 원전산업 지속발전 을 위한 기반 확보 세계6대 원전수출국 으로서 국제무대에서 위상 강화 국가간 유대관계 강화 및 민간 교류협력 증대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