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명체와 반려문 교육학과 201522027 이한별
영명체 남조 시대 제나라의 무제 영명(483~493) 연간에 대두됨 성률과 대우를 중시하는 새로운 시 양식 격률시의 발전에 아주 큰 영향 * 성률 : 한문자를 발음하는 데 있어 성조를 평성, 상성, 거성, 입성 4가지로 분류해놓은 규율 대우 : 대칭이 되어 있는 것, 문장에 아름다운 수식을 가하는 일종의 수사 및 조구의 수단
고체시와 근체시 고체시 : 시에 있어서 자수, 구수, 대우 및 성조 등의 격식에 관해 규율이 느슨하고 비교적 자유로움 근체시 : 엄격한 격식과 규칙들을 따른 시 작품 율체시, 율시라고도 함
근체시의 규칙 5언•7언 율시는 8구, 5언•7언 절구는 4구, 5언•7언 배율은 구수에 제한이 없다. 압운은 쌍구의 마지막 글자에 위치한다. 대우 또는 대장의 규칙을 따라야 한다. 성조의 조화를 엄격히 지켜야 한다.
근체시의 성조규칙 한 구 속에서 두 글자가 한 묶음 - 평성 글자 두 자 뒤에는 측성 글자 두 자가 와야 한다. - 예) 평평측측측평평, 평평측측평평측 (2) 대 : 한 연 안에서는 두 구의 평측이 반드시 상반되어야 한다. (3) 점 : 두 연이 이어지는 위치에 있는 두 개의 구는 평측이 반드시 일치해야 한다.
경릉팔우 - 왕융, 사조, 범운, 임방, 심약, 육수, 소침, 소연 - 왕융과 사조가 영명체의 대표적 시인으로 평가 받고 있다. - 시의 상당부분의 대우구들이 매우 정교하고 선명한 느낌을 준다. - 심약 : <사성팔병설>을 통해 시의 음률상 법칙을 정리
사조 <왕손유> 綠草蔓如絲, 雜樹紅英發. 無論君不歸, 君歸芳已歇. 푸른 풀의 덩굴은 실처럼, 잡목의 꽃봉오리 붉게 핀다오. 님이시어 돌아오지 못한다 말하지 마세요, 님이 돌아오면 꽃은 이미 시들어 떨어질 것을. 녹초만여사, 잡수홍영발. 무론군부귀, 군귀방이헐
궁체시 - 양나라 이후, 신체시 형식을 통해 궁정 및 일반 부녀자들의 생활을 묘사하는 풍조 - 시어가 곱고 화려하며 성률과 대우가 정교하다. - 내용적인 면에서는 대부분 저속하다는 평을 받는다.
변려문 변(騈) : 두 필의 말이 나란히 수레를 끈다. 대우구들을 조합하여 문장을 엮어낸 산문 체재의 일종 형식상의 미를 추구하는 문장 변문 또는 변체문이라고도 불린다. 대부분 4자구와 6자구로 이루어져있다. ⇒사륙문
변려문의 특징 매 구절의 자수가 대게 4자 또는 6자로 구성 전체 문장이 완전한 대우로 구성 음률상 엄격한 규칙성, 평측과 압운을 존중 전고(典故, 전례와 고사)를 다수 사용
도굉경 <답사중서서> 山川之美, 古來共談. 高峰入雲, 淸流見底. 兩岸石壁, 五色交輝. 靑林翠竹, 四時具備. 曉霧將歇, 猿鳥亂鳴. 夕日欲頹, 沉鱗競躍. 實是欲界之仙都……. 산천의 아름다움은, 예로부터 이야기 나누었네. 고봉에 구름 들고, 청류는 바닥이 보이고, 양안의 석벽은, 오색으로 빛난다. 푸른 숲 파란 대는, 사계절 변함이 없네. 아침 안개 사라지려니, 원숭이와 새들 어지러이 울부짖고, 저녁 해 지려하니, 물 속 고기 다투어 뛰논다. 실로 욕계의 선도로구나…….
변려문의 형성과 발전 문장상의 성운미 증가, 예술 기교의 제고의 측면에서 중요한 작용을 하였다. 후세에, 일부 문인들이 오로지 대우, 성률 등의 형식만 전적으로 추구한 나머지, 문장의 내용을 소홀히 하였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