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의약품과 신약 개발 신약 개발 생물 자원과 신약 개발.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Ⅲ.힘과 운동 2.여러 가지 운동. 도입 Ⅲ.힘과 운동 2. 여러 가지 운동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Advertisements

잘하는 게 뭔지도 모르겠고, 뭘 좋아하는지도 헷갈리고, 어떤 방향으로 취업해야 하지 ? 어떻게 해야 꼭 맞는 직장을 찾아서, 오래 다닐 수 있을까 ? 남들 하는 토익, 대외활동, 봉사활동 하고 있는데도 불안해 ! 좋은 회사, 정말 갈 수 있을까 ? “ 이곳에 다녀서 정말.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 1. 세포주기와 세포분열.
콜라에 우유를넣으면 ? 1 조 ( 이주상, 이문수, 정주현, 홍희진 ). - 모둠명 / 지은이유 - 탐구주제 / 탐구동기 - 역할분담 - 진행과정 / 실험내용 - 관련직업 차례.
2-4 과학 탐구 정은혜, 이상은, 김동희. 탐구 동기 더운 여름날 음식이 부패하는 것을 보고 어떤 음식에 가장 곰팡이가 많이 생길지 궁금해져서 탐구를 시도 하게 되었다.
주제 – 식물에 자외 선차단제를 바르면 어떻게 될까 ? 주제선정이유 우리는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면 타지 않는데 식물은 어떤 반응을 나타낼까 궁금해서.
바이오기술.
신화학산업을 위한 바이오리파이너리의 원천기술 한국과학기술원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3. 첨단 과학과 질병 치료 3. 생명을 위협하는 암.
방중 학습소모임 PRESENTATION 팀장: 안지현.
α-Glucosidase Inhibitor
끓는점 (2) 난 조금 더워도 발끈, 넌 뜨거워도 덤덤 ! 압력과 끓는점의 관계.
1 영양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지질 비타민 무기질 가공 식품과 전식품.
초끈이론의 탄생과 현재 박정목 ( 물리학과 ) 이용한 ( 물리학과 )
앙금 생성 반응식(1) 누가 앙금을 만들었는지 쉽게 알려 줘! 앙금 생성 반응식.
질병관련 유전체 분석 기술 DNA Microarrays
퇴행성 신경질환.
투명 비누 만들기.
바이오 벤처기업의 성공 전략: 김 선 영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특허 확보와 해외 투자 유치 대학發 벤처 기업 사례연구
종양계 67Ga 검사 123I-MIBG 종양 검사 131I-MIBG 종양 검사 99mTc-MIBI 종양 검사
Fourier Transform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
4-6. 광합성 작용(1).
단백질의 정량 -Bradford 법
LMO 등급 분류 - 1) 미생물 또는 유래 유전물질
별의 밝기와 거리[2] 밝다고 가까운 별은 아니야! 빛의 밝기와 거리와의 관계 별의 밝기 결정.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피임이란?.
암 전이 억제 유전자 발굴 및 작동 기전 연구 (Nature지 4월 14일자 발표)
체 세 포 분 열 배 수 경 중3 과학.
[2] 식품안전성 수업목표1. 수업목표2. 수업목표3. GMO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귀의 구조와 기능(1) 두드려라 그러면 들릴 것이다! 귀의 구조와 기능 청각의 전달 경로.
고대 구로병원 IRB 전문간사 종양내과 오상철
Recombinant DNA Technology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생명 기술과 미래의 기술 VI 1 생명 기술의 세계 2 미래 기술과 통합 체험 활동 금성출판사.
밀도 (1) 부피가 같아도 질량은 달라요 ! 밀도의 측정 밀도의 특징.
Chapter 18 방사능과 핵에너지.
생명은 어떻게 탄생하게 되었을까? 원시 지구에서의 화학적 진화 화학 반응식 쓰기.
위치 에너지(2) 들어 올리기만 해도 에너지가 생겨. 탄성력에 의한 위치 에너지.
생활 속의 밀도 (1) 뜨고 싶니? 내게 연락해 ! 물질의 뜨고 가라앉음 여러 가지 물질의 밀도.
6-10. 앙금을 만드는 이온을 찾아라!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단백질의 정량 -Bradford 법
고등학교 생물 학습자료 이 자료는 고등학교 ‘생물’ 의 “생명의 연속성” 단원에서 세포 분열에 관한 수업을 위한 것입니다.
Preg-Q를 이용한 임신반응검사의 평가 진단검사의학과 생화학계 이 상 연.
약물조사 항암제 - 관해 유도 치료 - 유지요법 - 항생제 - 항진균제 - 진토제.
2. 육종과 유전 공학은 어떻게 다른가? 육종과 유전 공학 유전자 재조합 유전자 변형 생물.
끓는점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1) 열 받으면 누가 먼저 나올까? 증류.
III. 아름다운 분자 세계 3. 탄소 화합물 … 01. 다양한 탄소 화합물 02. 탄화수소의 다양한 구조
제 6장 세포주기 세포분열과 세포예정사 사이의 균형 세포 주기 세포주기의 조절 세포예정사 암 – 세포주기의 이상.
고등학생을 위한 성교육 7단원: 음란물, 나의 미래를 좀먹는다
GENOME PROJECT 학부 :생명분자공학부 학번 : 이름 : 최성림.
과학 1 학년 6. 생물의 구성 3)조직과 기관 (7/7) 물 속의 작은 생물 관찰 수업계획 수업활동.
1 영양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영양소 탄수화물 단백질.
우주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빅뱅 직후의 우주 물질의 생성.
비열.
백신의 형태 백신이란 ; 용어는 가축 질병의 원인이 되는 한 종류 또는 다수의 특이한 항원체나 톡신을 적당한 방법으로 배양 또는 처리하여 만든 제품을 말하며 어떤 종류의 백신은 경구적으로, 어떤 종류의 백신은 비경구적으로 적용된다.  톡신은 어떤 미생물이 생산하는 물질.
세포 분열의 필요성 날마다 새롭게! 세포 분열을 통한 생장과 생식 세포의 크기가 작은 이유.
행성을 움직이는 힘은 무엇일까?(2) 만유인력과 구심력 만유인력과 케플러 제3법칙.
물의 전기분해 진주중학교 3학년 주동욱.
단백질의 정량 -Bradford 법
학습 주제 p 질량과 부피 측정 방법 알기.
DNA의 구조와 역할 (1) DNA : 이중 나선 구조로 수많은 뉴클레오타이드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결핵균 동정방법의 비교 미생물계 류 희 정.
p 감수 분열로 자손 남기기 학습 주제 [개구리 동영상] [매미 동영상]
• 수학 • 6학년 나단계 • 7. 연비>3/9 두 비의 관계를 연비로 나타내기 수업활동 수업계획.
세포는 어떻게 분열할까?(2) 양파 뿌리의 체세포 분열 관찰 순서 [ 해리 ] [ 염색 ] [ 고정 ] 학습 주제
컴퓨터는 어떻게 덧셈, 뺄셈을 할까? 2011년 10월 5일 정동욱.
교착 상태 해결 : 교착 상태 탐지 교착 상태 탐지(Deadlock Detection)
생명의 청사진 분자유전체의학 김 경 원.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Presentation transcript:

2 의약품과 신약 개발 신약 개발 생물 자원과 신약 개발

학습 목표 신약의 발견을 위해 첨단 과학과 생물 자원이 필요함을 이해할 수 있다.

배울 내용 1 신약 개발 신약 개발 과정 신약 개발 방법 2 생물 자원과 신약 개발 신약 개발에 있어 생물 자원의 중요성

도입 활동 신약 개발이 왜 중요할까? 1960년 미국의 두 의사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가 백혈구 세포가 정상인보다 수십 배나 많고, 이들 세포에 공통적으로 특정 돌연변이 유전자가 있었으며, 이 유전자에 의해 만들어진 비정상적인 단백질이 골수 세포의 세포 분열을 자극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도입 활동 신약 개발이 왜 중요할까? 이후 2001년 한 제약 회사는 비정상 단백질에 결합하여 그 기능을 저해할 수 있는 화합물을 합성하여 첨단 항암 치료제를 만들었는데, 이러한 표적 치료제는 비정상인 표적 단백질의 기능을 막을 수 있는 저해제이기 때문에 치료 효과도 좋을 뿐만 아니라 구토와 탈모, 그리고 면역 기능 저하와 같은 항암 치료의 부작용이 적어 이상적인 신약으로서 많은 환자들을 치료할 수 있게 되었다. 오늘날 개발되는 혁신적인 치료약은 환자의 생존율이 크게 증가시키며 재발 위험성도 많이 감소시키고 있다.

1. 신약 개발 1. 신약 개발은 어떤 과정을 거쳐 이루어질까? ① 새로운 후보 물질을 발견하는 연구 개발 단계 후보물질 추출 동물실험 세포 실험 1상 임상시험 2상 임상시험 3상 임상 시험 1. 신약 개발 1. 신약 개발은 어떤 과정을 거쳐 이루어질까? [신약 개발 과정] ① 새로운 후보 물질을 발견하는 연구 개발 단계 ② 세포 및 동물 실험을 통해 약효와 독성을 실험하는 비임상 시험 단계

1. 신약 개발 1. 신약 개발은 어떤 과정을 거쳐 이루어질까? ③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신약 후보 물질을 개량하고 장기 독성시험을 실시하는 임상 시험 단계

1. 신약 개발 2. 신약 개발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① 유전자 재조합 기술 이용 특정 유전자를 다른 생물체에 재조합시켜 정상 단백질을 다량 으로 합성시킨다. 예) 세균에 의해 합성되는 당뇨병 치료제인 인슐린과 빈혈 치료제인 EPO [정제된 EPO]

1. 신약 개발 2. 신약 개발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② 단백질의 상세 구조 활용 질병을 일으키는 표적 단백질의 입체 구조를 밝혀내고, 이와 결합하는 물질을 개발한다. 대단위 화학 신약 탐색(HTS) : 표적 단백질의 구조를 밝힌 후, 가능한 모든 후보 물질과 결합시켜 봄으로써 가장 적합한 물질을 찾는다. - 구조 기반 신약 발굴(SBDD) : 표적 단백질의 구조를 밝힌 후, 단백질과 결합할 수 있는 물질을 직접 설계해 제작한다.

1. 신약 개발 2. 신약 개발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2. 생물 자원과 신약 개발 1. 신약 개발에 있어 생물 자원이 왜 중요할까? ① 다양한 생물은 신약 개발에 필요한 천연 물질을 제공하는 자원이다. 항암제의 원료인 주목나무의 택솔 - 백혈병과 호지킨병 치료제인 로지페리윙클의 추출물 - 신경 안정제 및 국소 마취제의 원료인 복어의 독 [주목나무의 택솔]

2. 생물 자원과 신약 개발 1. 신약 개발에 있어 생물 자원이 왜 중요할까? [로지페리윙클] [복어] ② 생물 다양성이 훼손되면 아직 개발되지 못한 미지의 신약 자원을 잃어버리게 된다.

정리 및 평가 <물음 1> 그림에서 나타내는 신약 개발 방법에 대해 설명해 보자 질병을 일으키는 표적 단백질의 입체 구조를 밝혀내고, 이와 결합하는 물질을 개발한다.

정리 및 평가 <물음 2> 다음의 사례들이 나타내는 바를 설명해 보자. 항암제의 원료인 주목나무의 택솔 백혈병과 호지킨병 치료제인 로지페리윙클의 추출물 신경 안정제 및 국소 마취제의 원료인 복어의 독 다양한 생물은 신약 개발에 필요한 천연 물질을 제공하는 자원이므로, 신약 개발을 위해 생물 자원은 보존되어야 한다.

1. 표적 치료제 개발에서 표적 단백질 구조의 중요성을 설명해 보자. 정리 및 평가 1. 표적 치료제 개발에서 표적 단백질 구조의 중요성을 설명해 보자. 표적 단백질의 구조를 파악해야 개발되는 치료제가 어떤 모양으로 결합할 수 있는지 예측할 수 있다.

2. 화학 신약과 바이오 신약의 장단점을 비교하는 표를 만들어 보자. 정리 및 평가 2. 화학 신약과 바이오 신약의 장단점을 비교하는 표를 만들어 보자. 화학 신약은 대량 생산으로 생산 원가를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부작용이 많은 단점이 있다. 반면 바이오 신약은 생산 원가가 화학 신약에 비해 매우 높지만 정확하게 필요한 곳에서 작용하기 때문에 부작용이 훨씬 적다.

3. 창의▪인성 : 신약 개발을 위해서 생물 다양성을 보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시킬 수 있는 글을 써 보자. 정리 및 평가 3. 창의▪인성 : 신약 개발을 위해서 생물 다양성을 보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시킬 수 있는 글을 써 보자. 신약 개발을 위한 원천 자원이 될 수 있으므로 현존하는 생물 다양성은 보존되어야 한다. 또한 생물 다양성이 많을수록 미래에 개발될 수 있는 후보 신약 자원은 더 많이 확보된다.

차시 예고 17차시 첨단 의료 진단 장치는 누가 만들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