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와 정치 제3강. 제1공화국: 왜곡된 정치의 시작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오늘의 학습 주제 Ⅳ. 현대 사회의 발전 2.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 혁명 군사 정변 2-3. 민주주의 시련과 민주 회복 2-3. 민주주의 시련과 민주 회복.
Advertisements

년 정세와 사업계획. ▶ 노동개악 저지 완전 승리의 해▶ 본격적인 정치권력 재편의 해▶ 박근혜정권과 전면적 대결의 해 년은 노동자에게 어떤 해 ?
20722 이유라 5.18 민주화 운동의 의미 배경 : 1979 년 12 월 12 일 쿠데타 원인 : 사태 (1979) - 박정희 대통령 죽음, 국가 혼란 - 전두환은 군대를 동원, 정권강탈 - 전국적 시위 발생 5.18 민주화 운동 발생.
1. 사회 변동 시간이 흐름에 따라 사회를 구성 하는 정치, 경제, 사회 제도, 가치 관 등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변화하는 현상.
2013 학년도 봄학기 중앙대학교 KF Global e-School 하노이국립외국어대학교 현대한국의 사회와 문화 - 3 주차 손병권.
발표자 : 푸른한국닷컴 대표 전영준. 활기찬 미래한국 창조 남북한 통일 초석 마련 관념적이고 무능한 진보좌파정권 탄생 방지.
민주노총 7 기 임원선거 입장. 원탁회의 원탁회의 노동전선 원탁회의 제의 원탁회의 3 차 회의 좌파노동자회 퇴장 원탁회의 3 차 회의 좌파노동자회 퇴장 원탁회의 4 차 회의 통합집행부 구성 무산 원탁회의 4 차 회의 통합집행부 구성 무산 1. 현장의 투쟁을 방기한 개인과.
대한민국의 발전 2. 자유 민주주의의 발전과 경제 성장. 자유 민주주의의 발전과 경제 성장 2 4·19 혁명으로 이승만 정부가 붕괴되다 1 1. 이승만 정부의 장기 집권 (1) 장기 집권을 위한 헌법 개정 : 발췌 개헌 (1952, 대통령 직선 제 개헌 ), 사사오입.
정치외교학과 김초롱 김민희 김소희 박건우. 1. 정당과 선거관계에 대한 일반이론 2. 정당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선거 3. 권위주의 시대의 정당과 선거 년 민주화 이후의 정당과 선거 5. 오늘날의 선거 형태 6. 정당, 선거정치의 과제 7. 토론.
2) 북한의 통일 정책 2) 북한의 통일 정책 A) 북한의 통일정책 기본구조 주체와 주체와 방법 방법 한반도 전체의 공산화 북한 노동당규약 전문 : ‘ 온 사회의 공산주의 사회 건설 ’ 명시 주체 : 공산당에 찬성하는 집단이나 개인 방법 : ‘ 인민 민주주의 혁명 노선.
1. 정치 과정과 정치 주체 정치 과정을 통해 다원적 가치와 이익이 조정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정치 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정치 주체의 역할을 파악할 수 있다.
Ⅷ. 정치과정과 참여 민주주의 4.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한다 ! 사회교육과 김문주.
중국 정치경제 이슈 시진핑시대 분석 년 11 월 : 공산당 제 18 차 전국대표대회 ( 당대회 ) 와 제 18 기 1 중전회 ( 제 18 기 중앙위 원회 제 1 차 전체회의 ) 에서 총서기와 중앙군 사위원회 주석 년 3.
Quiz Counts (5%) 1  총 10 회 퀴즈 중 최저점 2 번을 제외한 총점  class 최고점 기준 (5 점 )  개인별 점수 환산.
5. 무장 독립 전쟁의 전개와 건국 준비 활동 광복을 향한 노력과 건국 준비 활동 년대 임시 정부를 비롯하여 나 라 안팎의 여러 단체들이 전개한 항 일 투쟁의 내용과 성과를 파악할 수 있다. 임시 정부 등 독립운동 세력이 추구 한 광복 이후 국가 건설의.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대한민국의 정부수 립 역사콘텐츠전공 임한솔. 광 복광 복 “ 짐은 제국정부로 하여금 미․영․중 ․소 4 국에 대하여 그 공동선언을 수락할 뜻을 통고케 하였다.”
거짓말에 대한 경북대생들의 의식 조사 사회복지자료분석론 연구계획서 5조 - 음악학과 이수영
1. 6월의 정치혁명 1) 정당별 광역단체장의 득표율 2) 당선 광역단체장의 수 3) 당선 기초단체장의 수 2회 (%)
2. 민주시민이 승리하던 날들 9-10/14 차시 민주화 운동.
한국의 민주주의 손병욱 송수종 김동훈 이주봉 이다경.
교회운영위원회가 생기면 교회가 어떻게 달라지나?
정부 형태와 정치 제도 정치 참여와 선거 정당, 이익 집단과 시민 단체 여론과 정치 문화 국가 기관의 구성과 기능
대통령제 일반적인 대통령제와 우리나라 대통령제의 변화과정과 그 장단점 떠든 사람 김대용 김세주.
03 공동체 발전을 위한 제도와 사회 참여 방법은?.
※ 금융위원회 보도자료_증권거래의 효율성·투명성 제고를 위한 전자증권법 제정 추진
한국의 여론 조사 (1) 자신의 정치적 정치성향 적폐청산 < < 종교인 과세 낙태 보수 진보 지속 마무리 찬성 반대
7-2 정치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정치 주체 2, 정당과 언론의 역할 (4/7차시)
한국현대사 강의.
사회적 비용&외부효과 이별희 최미니.
18대 총선을 말한다 시민포럼-대안과실천 제38회 월례포럼 일시 : 2008년 5월 26(목) 19시
Ⅲ. 대한민국의 발전 자유 민주주의의 발전 2..
헌법조항 제4장 1절 대통령 제69조 대통령은 취임에 즈음하여 다음의 선서를 한다.
동남아 사회와 정치 제7강. 캄보디아의 사회와 정치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암 전이 억제 유전자 발굴 및 작동 기전 연구 (Nature지 4월 14일자 발표)
2019학년도 학생회 정부회장 선거 공고 전남대학교사범대학부설중선거관리위원회
님비현상과 핌비현상.
중국 조선업의 몰락 경영학과 윤동현.
‘평통사’의 평택기지 ‘불법 난입’ 및 ‘격렬시위’
동남아 사회와 정치 제13강. 브루나이의 사회와 정치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法學開論 대한민국의 정부형태 SEVENth TEAM
도라도라 작전 국제관계학과 정민화.
여론조사기관 : 리얼메타 050 % 000 % 29 May 2017 (월) (수) 2 Jun (금)
자유한국당 전당대회 (1) 설문조사 전체 국민 (1,001 명)의 의견 자유한국당 제외 가중치 30 % H K
Problem-Based Learning
국제관계의 이해 제1강. 국제정치란 무엇인가?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사회 사상의 전개 “진보한다는 것은 변하는 것을 뜻한다. 완전하다고 하는 것은 이미 몇 번인가 변하였다는 것을 말한다.” -처칠- 모든 사회는 끊임없는 자기 수정과 변화 속에서 진보를 계속해 왔다. TEXT PP.145~149.
문화혁명 [文化革命] 곽영신 임황빈 최하영.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정치경제학이란 무엇인가?
Historical Materialism
창의적 공학 설계 < 사용자 중심의 공학설계 > : Creative Engineering Design
5.18 민주화 운동과 6월 민주 항쟁, 대통령은 우리 손으로… 김효정, 문수연.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5.18민주화운동 6356정화영.
한국 사회와 정치 제5강. 제3공화국과 제4공화국: 군사정권과 유신체제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유럽위기 시나리오.
민주 시민이 승리하던 날들 수업계획 수업활동 사회 6학년 1학기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역사 미국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역사(2).
2017년도 대동철학회 연구윤리교육 (연구윤리위원회).
제1장 재무관리란 무엇인가? 에센스 재무관리 (제5판).
제4편 북한경제와 남북한 경제교류 제11장 북한의 경제체제와 발전.
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과 국가의 형성 1 1. 우리가 사는 동아시아 2 3 동아시아의 자연환경과 생활 양식
팀명 : 도~마ㄹ미 작품명 : 도~마 도 팀원 : 정형수, 박인권, 유 빈
2. 대한민국의 수립과 발전 13/14 차시 선택 학습.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Ⅲ. 민족 독립 운동의 전개 Ⅲ-2.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 1. 4 · 19 혁명 ◈ 학습목표
지방자치제도.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Presentation transcript:

한국 사회와 정치 제3강. 제1공화국: 왜곡된 정치의 시작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1. 제1공화국 이승만 정권의 정치권력과 성격 1) 제1공화국 이승만 정권의 성격 ① 이승만 정권은 이념적으로 온건․보수․극우 세력의 권력 지향적 정치집단 ② 이승만과 한국민주당(韓民黨), 일부 무소속 등 단독정부 수립을 주장하였던 세력 ③ 국제적으로는 친미세력(일부 친일세력 포함) ④ 그들의 통치이념은 민생 중심이 아닌 반공지상주의(反共地上主義) 2) 제1공화국 이승만 정권의 통치행태 ① 초기 단계(1948~52): 이승만 개인을 중심으로 한 통치 ↔ 한민당(민국당)과 대립(한국의 야당은 그 뿌리가 한민당으로부터 출발 → 보수세력) ② 중기 단계(1952~54): 이승만 개인과 자유당(1952년 창당)을 기반을 한 복합 정치(군․경찰․행정기관을 동원한 독재정치의 서막) ③ 말기 단계(1954~60): 이승만 개인보다는 자유당 조직을 통한 조직정치      (이승만의 노쇠화에 따른 측근과 친위대 정치 → 이기붕과 자유당 등)

3) 제1공화국 이승만 정권의 집권 요인 ① 남한 내부에 친미정권을 수립하기 위한 미국의 의지 - 이승만은 미국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친미적 정치 성향으로 인식되어 미국 정부로부터 한국의 정치지도자로 인정을 받음. - 단, 이승만은 미군정의 하지 중장과는 지속적으로 불협화음을 표출하였으며, 오히려 미국 내 지인들을 그의 정치적 배후세력으로 이용 ② 이승만 개인의 명성과 인기 → 국내에서 가장 잘 알려진 독립투사의 한 명으로서 여운형(남조선건국준비위원회, 건준), 박헌영(조선노동당) 등도 그들 정치단체 및 조직의 지도자로서 이승만을 영입하기 위해 노력한 바 있음. ③ 경쟁적 정치지도자의 암살 및 선거 불참 - 1945년 12월 송진우 암살, 1947년 7월 여운형 암살, 1947년 12월 장덕수 암살, 1948년 5월 10일 김구의 선거 불참 등  ④ 당시 최대 정치세력이었던 한민당의 협조 → 정권수립 과정에서 협력관계였으나 이후 곧바로 결별하고 대립관계로 변질 (이승만의 토사구팽)

2. 제1공화국 초기 정치권력의 형성과정 ○ 1948년 5월 10일 제헌의회선거에 뒤이어 5월 31일 개원된 제1대 제헌의회는 제1당이 된 한민당을 비롯하여 이승만을 지지하는 독립촉성국민회의(독촉계), 한민당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민주국민당(민국당) 24명, 그리고 대다수 권력 지향성이 높은 무소속 126명 등 다양한 정치세력들이 운집 ○ 이승만과 한민당의 갈등관계 전개과정  - 제헌의회 구성 이후 초대 국회의장에 선출된 이승만과 한민당은 대통령제와 의원내각제 등 정부형태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권력 다툼 시작  - 초기 정부형태의 결정은 제1독회와 제2독회를 거쳐 최초 의원내각제 방향으로 결정(한민당의 지지), 제3독회 직전 반대 방향으로 전환  - 결국 제헌의회는 대통령제를 결정하고 이승만을 대통령으로 선출  - 이러한 과정에서 한민당은 총리 및 국회의장 선임과 선출에 있어서 한민당 출신 의 진출을 원하였으나(김성수, 신익희 등), 이승만은 뜻밖의 인물로서 이윤영을 지명(국회 동의과정에서 59 대 132로 부결)  - 이후 이승만은 이범석을 총리로 재지명하고, 이범석은 직접 한민당을 방문하여 양해를 구함으로써 임명 동의 추진

○ 제1공화국 이승만 정권의 초기 정치과정  - 1948년 8월 16일 반민족행위 처벌법안 상정 → 1948년 8월 19일 통과:  - 1948년 10월 13일 미군철수요청결의안 제출 → 그러나 이후 국가보안법 시행으로 미군 철수를 주장한 의원들은 공산주의세력으로 낙인 cf. 국회프락치 사건:  - 1948년 제주도와 여수․순천 등지에서 민중항쟁 사건 발생 → 이승만 정권은 체제수호 및 정권안보 차원에서 반공이념을 통한 강력한 탄압 자행  - 한편 한민당은 1949년 反이승만 세력의 강화와 연대를 통하여 민주국민당 (민국당) 창당: 김성수의 한민당은 신익희의 대한독립촉성국민회의와 지정천 의 대동청년단과 결합하여 민주국민당 결성 → 의원내각제 개정안 논의  - 1949년 국회의 농지개혁안 통과 → 그러나 정부는 집권세력 내부의 반발을 우려하여 개혁의 단행을 지연하였으며, 1949년 10월에는 보다 완화된 농지 개혁수정안을 제출하였다.

○ 1950년 5월 30일 제2대 국회의원선거  - 이승만 대통령의 권력 집중을 비판하는 야당세력이 선거 승리를 통해 국회 우위  - 의장선거에서 이승만의 참패: 이승만 지원 오하영 46, 反이승만․反독재전선의 신익희 96표 ○ 민주국민당의 의원내각제 논의와 이승만의 저지:  - 민국당은 이승만 정권의 독점적 권력 집중을 견제하기 위하여 의원내각제 논의  - 당시 이승만은 대통령 중심제 + 단원제를 주장  - 이승만의 권력을 축소시키기 위한 민국당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승만의 정치 적 견제는 계속되었으며, 당시 민국당은 의원내각제를 선호하는 세력이 개헌 가 능한 2/3 이상을 장악함으로써 이승만 정권은 위기에 직면  - 그러나 이러한 논의와 시도는 1950년 한국전쟁의 발발로 실패 ※ 이러한 과정에서 이승만은 독자적인 정치세력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그의 주변에 무분별한 친일․친미세력을 유입함으로써 한국정치의 근본적인 문제 초래

3. 1950년 한국전쟁 발발과 독재정치의 근원 ○ 헌법개정 논의  - 전쟁의 와중에서 부산에 임시정부 수립: 민국당을 중심으로 다시 한 번 의원내 각제 발의, 이에 대항하여 이승만은 대통령 직선제와 양원제를 주장  - 1951년 11월 30일 대통령 직선제와 양원제를 골자로 하는 헌법개정안 제출    (찬성 19표, 반대 143표, 기권 1표로 기각)  - 이승만은 대한청년단 등을 이용한 국회의원 소환운동 전개 → 국민대표 소환권 발동(부산 정치파동의 시초) ○ 1951년 12월 23일 자유당 창당  - 이승만은 1951년 12월 23일 원내자유당과 원외자유당의 이원적인 정당 창당  ․원내 자유당: 세칭 민정회 소속 일부 의원들이 중심 → 이들은 정부가 제안하는 대통령직선제에는 반대  ․원외 자유당: 이범석이 주도하는 극우세력 민족청년단(일명 족청)이 대한청년 단을 중심으로 정당의 형식으로 연대 형성(이승만의 친위정치세력 역할)  - 이후 이승만은 불법적 국회의원 납치사건을 획책하는 등 의원내각제를 주장 하는 국회를 보다 강력하게 견제

○ 1952년 4월 25일 광역단위 국회선거에서 자유당 승리 → 이에 따라 이승만은 헌법개정을 통한 대통령직선제 추진 → 부산 정치파동 (독재권력의 시초) ○ 국회는 1952년 4월 17일 국회의원 123명의 연대로 의원내각제 개헌안 발의: 당시 국회구성은 개헌 결의를 위한 2/3 상한선에서 1명이 더 많은 숫자  - 위기에 몰린 이승만은 1952년 5월 25일 공비 잔당을 소탕한다는 구실로 경남 과 전남북 일원에 계엄령 선포 - 국회의원의 통근버스를 헌병과 경찰을 동원하여 강제로 납치 연행: 일명 국회 의원 납치사건: 이후 이들 중 10명의 국회의원을 국제공산당 사건으로 체포  - 또한 각 시도의회에서 이승만 세력을 중심으로 국회해산 결의 → 국회 해산 요청  - 이승만은 국회해산을 미루고, 대통령제와 양원제를 골자로 한 발췌개헌안 제시 ○ 결국 1952년 2월부터 7월까지 정치적 상황의 전개를 부산 정치파동이라고 명명: 이승만은 강압과 물리력을 통하여 정치적 권력기반을 확보  - 이것은 대한민국 독재의 시초이자 군부의 정치개입 시초이다!!

○ 1952년 8월 정․부통령선거  - 대통령에는 이승만 당선, 부통령 선거결과는 또 다른 파란을 초래  - 여당인 자유당의 이범석 후보는 낙선하고, 무소속 출마한 함태영이 부통령에 당선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이승만은 이범석이 아닌 함태영을 지지  - 이승만은 자유당 창당으로 행동을 함께 하였던 이범석 등을 토사구팽하고, 자유당을 중심으로 한 자신의 친위세력들로 정치권력 강화 ○ 1953년 6월 18일 반공포로 석방 명령 → 민심 수습용 ○ 한국전쟁 당시 제1공화국의 경제정책:  - 한국전쟁의 결과로 농업․산업기반 피폐화 → 전쟁의 당연한 귀결  - 귀속재산의 특혜적 불하, 원조물자의 독점적 배정 → 독점적 자본가와 관료독점 자본 형성(오늘날 재벌의 시초)  - 원조경제의 맹점 파생: 대부분 소비재 혹은 소비재 원자재 중심의 원조  - 미국의 PL 480호에 의거한 미국 잉여농산물 도입: 즉, 원조경제 → 기아문제 해결, 그러나 한국농업의 피폐화를 가져옴

4. 한국전쟁의 종결과 이승만 독재 ○ 1954년 5월 제3대 민의원선거:  - 최초의 정당추천제(후보공천제) 실시 → 무소속 난립 방지: 실질적으로는 야당세력의 주요 근간인 무소속을 제거하기 위한 작전  - 자유당은 개헌 찬성을 조건을 한 조건부 입후보 공천 추진: 즉, 이승만의 종신 대통령 추대를 위한 삼선개헌(三選改憲) 준비  - 경찰과 행정기관 등 관권을 동원한 행정선거로 자유당 승리  - 자유당 114석, 무소속 15석, 민국당 67석 등 1.5 정당제 창출  - 이것은 개헌정족수 136석에 1석이 모자란 숫자 ○ 1954년 11월 17일 대통령의 삼선(三選) 이상 취임금지 조항 폐지를 통한 영구집권계획 추진  - 삼선 금지조항 폐지를 위한 표결에서 가결의석 135석에서 1표가 모자라 부결  - 다음날 사사오입(四捨五入)에 의하여 가결 발표 ○ 1955년 9월 19일 혁신계를 제외한 자유민주파의 야당세력 연합을 통하여 민주당 결성: 대한민국 야당세력으로서 민주당의 역사 시작

○ 1956년 5월 제3대 정․부통령 선거: 자유당 對 민주당 대결  - 자유당 대통령 후보: 이승만, 부통령 후보: 이기붕  - 민주당 대통령 후보: 신익희, 부통령 후보: 장면  - 자유당 정권의 폭정에 맞서 “못살겠다, 갈아보자” 구호 등장  - 대통령에 이승만, 부통령에 장면 당선 (민주당의 대통령 후보 신익희는 병사)  - 진보당 대통령 후보 조봉암은 이승만의 득표율에 절반에 가까운 득표 → 이승만 정권의 새로운 위협 요소로 등장  - 전형적인 여촌야도(與村野道) 현상 초래  - 야당 후보인 장면이 부통령에 당선되자, 장면에 대한 암살 실패사건 발생 ○ 2․4 정치파동과 진보당 사건:  - 2․4 정치파동을 통해 자유당은 정치적 파행 → 국가보안법 단독 결정(국회 날치기 통과의 시초)  - 1956년 국가보안법이 채택되고, 그 첫 번째 대상으로서 진보당(進步黨)을 해체하고 당수였던 조봉암을 사형  - 이후 자유당은 1958년 신국가보안법 채택에 있어서도 국회의장 경호권을 발동하고 무술경관을 동원하여 야당의원들을 국회에서 축출한 이후 자유당 의원들만으로 법안을 가결

5. 1960년 4.19 혁명 1) 4․19 혁명의 원인: ① 제1공화국 이승만 정권의 독재와 자유당의 파행정치: ② 3․15 부정선거에 따른 투표결과 왜곡과 무력진압: 2) 4․19 혁명의 전개과정 ① 1960년 3월 15일 제1차 마산사태: 마산지역 부정선거 및 선거결과 왜곡에 대항하는 학생/시민세력의 항의시위 발생 → 경찰의 발포로 민간인 16명 사망 ② 1960년 4월 10일 제2차 마산사태: 경찰의 취루탄에 맞아 숨진 김주열 학생의 시체가 합포 앞바다에서 발견됨으로써 시위 규모 확산 ③ 1960년 4월 18일 고려대 시위학생에 대한 정치깡패들의 린치(이정재․임화수 등): 4․19 혁명의 시발은 고등학생들이었으며, 이후 대학생들 중심으로 재편 ④ 1960년 4월 19일 전국적인 시위전개: 피의 화요일 → 광화문에서 경찰의 발 포로 186명 사망 ⑤ 1960년 4월 25일 대학교수단 선언과 1960년 4월 26일 이승만 대통령 하야

3) 4․19 혁명의 의의 ① 한국 정치사상 최초의 민주적 시민혁명 ← 아래로부터의 혁명 ② 추상적 민주주의 이념이 구체적․제도적 의회민주주의로 발산 ③ 일반 국민들의 민주의식 고취 → 민주주의의 살아 있는 경험 4) 4․19 혁명에 대한 비판 ① 실패한 혁명(유산혁명): 반혁명세력에 대한 타도가 약하고 혁명의 주체보다는 방관자로서 자유당과 같은 뿌리인 한민당 세력의 민주당이 정권을 잡음으로써 혼란 가중 ② 기존 정치세력과 혁명주체 세력 사이의 혁명에 대한 시각과 인식의 괴리 ③ 구조적 개혁의 미약: 사회체제 전반의 개혁이 이루어지지 못함      예] 친일파 숙청, 악덕재벌 처벌, 토지개혁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