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응고제의 종류와 기전 해운대 자생한방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전 서 영.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가. 3 일 취업완성 ! 성취반 _ 성공 취업 반 1 일차 시간 프로그램 내용비고 17:00 ~ 17:10 출석 및 일정 안내 17:10 ~ 18:10 취업 전략 및 채용 프로세스 이해 18:10 ~ 19:30 입사지원서 작성법 및 주요 기업 에세이 작성법 19:30 ~
Advertisements

주사위를 이용한 땅 따먹기 청솔초 영재학급 4 학년 장 택 민 목차 1. 제작 동기와 원리 2. 필요한 도구 3. 게임규칙 설명 4. 게임 분석 및 전략 1. 제작 동기와 원리 2. 필요한 도구 3. 게임규칙 설명 4. 게임 분석 및 전략.
응급검사의 이해 건국대학교 충주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이창훈. * 응급검사란 ? * TAT(Turn Around Time) 란 ? 1) 넓은 의미 order  문서보고 2) 좁은 의미 ; 1 시간 검사실 검체 접수  문서보고.
식 품 학 제 3 장 탄수화물. 6CO 2 +6H 2 O C 6 H 12 O 6 +6O 2.
급성호흡기증후군 감염관리부 감염대책위원회. 임상적 특징 인적 특성 – 대부분의 환자는 세의 발병 전에는 건강한 성인임 –15 세 이하 소아는 소수임 잠복기 – 통상적으로 2-7 일이며, 길게는 10 일 정도임 임상적 특징 – 전구기 : 갑작스럽게.
체액 검사 혈구수 측정의 UF-1000i 유용성 평가 응급검사파트 이 은 주.
Media.
제3장 혈액 및 면역.
알칼리 전해환원수기 춤추는 물 을 소개합니다 " (주)엘다블.
금속의 종류와 액체의 성질에 따른 금속의 부식 창의적 산출물 연구 보고서 부명 초등 학교 임재윤 지도교사 노지은선생님
우유로부터 카제인의 분리 및 카제인글루의 제조
1 Clinical Biochemistry Lab. College of Health Science, Department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SDS-PAGE gel making Clinical chemistry experiment.
SIADH.
M.G. Macey et al., Cytometry, 1999
81병동 Case Study 이수미.
수술환자의 수혈요법 Dong Soo Kim Dong Soo Kim
순환과 인체방어 상명대학교 간호학과 이 희 주.
Laboratory Medicine - Today & Tomorrow -
유기산(Organic acid) Organic acid R-COOH Acetic acid Lactic acid
서울의대 조한익 교수의 강의록을 일부 수정하여 편집한 것입니다.
제 16 장 혈액응고인자.
102w case study 배혜인.
3장 화합물 분자화합물 이성분무기화합물 명명 탄화수소 알케인과 이성질체 이온과 이온화합물 이온화합물의 명명
산업보건위생분야 운동처방이론 안전분야–교육자료 미디어개발
Blood Coagulation Tests
Red blood cells (적혈구)에 대하여
POCT 검사소개 및 Abbott i-STAT® 장비의 평가
14. 거대핵세포계 및 혈소판 I. 거대핵세포계의 성숙 1. 거대핵모세포(megakaryoblast)
제 16 장 혈액응고.
혈액(Blood) 혈액의 기능 : ① 체세포 산소화 ② 영양소 운반 ③ 호르몬 운반 ④ 배설물 제거 ⑤ 온도조절
PFA-100 장비소개 진단검사의학과 혈액학 파트 김 일.
Blood Coagulation Tests
1. 혈 액 Blood-- 심장의 펌프작용으로 동맥, 모세혈관, 정맥을 거쳐 몸 전체를 순환하는 액체
류마티스 관절염이란? (Rheumatoid arthritis)
Serum Separate Tube (SST)가 생화학검사장비에 주는 영향
혈액학계 양 미숙 * 본과이외의 자료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3. 적혈구 당대사 1. Embden-Meyerhof 경로 결합(혈색소와 산소),
울혈성 심부전 (Congestive heart failure) 환자의 사례연구 102병동 CASE STUDY
장소 : 인하대학교병원 날짜 : 2010년 6월 15일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소화기병센터 안형수 고봉민 홍수진
1. 서 론 History (적혈구 발견) → 1684(사람의 적혈구 소개)
2010 화학물질 유통량 조사 - 유통량 개요 및 작성시 주의사항 -
E.S.R (Erythocyte Sedimentation Rate) ESR 검사장비 Test1의 정도관리
부식(풀빅)산의 분자구조 (수천 개의 단분자가 결합)
영원한 복음.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한 혈소판 활성도 검사의 예비연구
CCU Case 환자 보고서 서효혜.
원자, 분자 및 이온 제 2장 2.1 원자론 2.2 원자의 구조 2.3 원자 번호, 질량수 및 동위원소 2.4 주기율표
Section 1-9 탈회 (Decalcification).
산성과 염기성이 식물에게 미치는 영향 한림초등학교 영재 6학년 5반 송명훈.
산화아연 중의 아연의 정량 4조 이한규 황재호 김효영 이기병 이윤실 최혜정.
심혈관장애 관련 간호과정 정 여 숙 예수대학교 2007.
문서의 제목 나눔고딕 45pt 작성자 | 소속팀 / 상위부서 | 이 문서는 나눔글꼴로 작성되었습니다. 설치하기.
혈액 검체의 채혈안내 ♦ 바코드 정보 ♦ 채혈방법 ♦ 검체 취급 시 주의사항 1.검사명과 검체 용기 일치
CHAPTER 3 미생물 대사.
AU680 장비의 평가 응급검사파트 손미선.
식물의 성장조건 만 든 이 : 김지혁 지도교사 : 김경순선생님.
QI 주제 : 검사 전 환자 확인을 통한 오류감소 활동
응급상황 및 처치 치과진료실에서의.
제목 입력란 그림 340mm x 170mm 글자 크기 30pt, 자간 52pt
문서의 제목 문서의 개요 작성자 이름 소속팀 소속팀 작성년월일
치아우식병.
Ⅱ. 조사표 세부내용.
Lecture 8 Hemoglobin, Hematocrit, RBC Indices Keohane EM, Smith LJ, Walenga JM Rodak Hematology 5th Ed, 2016, Chapter 14 Elaine M. Keohane, PhD, MLS.
앙금의 생성 물에서 생기는 돌멩이 ! 앙금 생성 반응.
CHAPTER 3 미생물 대사.
Lecture 6 Introduction to Hematology; Anticoagulants; Blood Collection 대학서림 핵심임상혈액학, 2018 제1장 (Rodak Hematology 5th Ed, 2016, Ch 2, Ch 3) Kyung Jin Cho,
당뇨병과 운동.
Lecture 13 Hemostasis and Coagulation Keohane EM et al, 2016, Chapter 37 Elaine M. Keohane, PhD, MLS(ASCP),SH Rutgers-The.
Progress Seminar 신희안.
Presentation transcript:

항응고제의 종류와 기전 해운대 자생한방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전 서 영

♠ 혈액 응고 ⇒ 혈액응고는 혈장 내에 비 활성형으로 존재하던 단백성분인 혈액응고인자 들이 응고개시 인자를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활성화 과정을 거친 후 섬유소원이 불용성의 섬유소로 변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 집니다.

♠혈액응고인자 우리 몸의 피 속에는 열 두 가지 혈액 응고인자가 돌고 있습니다. 이들은 비활성화된 형태로 있다가 우리 몸 어디에선가 출혈이 되면 한가지씩 서로를 활성화 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열 두 가지 응고인자의 이름은 아래의 표를 참고 하시면 됩니다. 번호 이름 1번 응고인자 피브리노겐 8번 응고인자 항 혈우병인자(AHF) 2번 응고인자 프로트롬빈 9번 응고인자 크리스마스인자 3번 응고인자 조직인자 10번 응고인자 스튜어트 ,프라우워 인자 4번 응고인자 칼슘 11번 응고인자 혈장 트롬보플라스틴인자 5번 응고인자 프로악셀러린 12번 응고인자 하게만 인자 6번 응고인자 프로컨버틴 13번 응고인자 피브린 안정인자

Ⅶa

Ⅶa

Ⅶa

♠ 항응고제 ⇒ 항응고제는 혈액응고를 저해하는 물질로써 혈액응고를 저지할 필요가 있을 때 또는 혈액응고 시험에 사용 됩니다. ⇒ 항응고제는 혈액응고를 저해하는 물질로써 혈액응고를 저지할 필요가 있을 때 또는 혈액응고 시험에 사용 됩니다. 혈액이 응고되는 기전은 응고인자들이 순차적으로 진행됨으로써 발생됩니다. 항응고제의 작용기전은 혈액응고 과정의 어떠한 곳의 작용을 억제 시켜 혈액이 응고 되지 못하게 하는 것입니다.

♠ SST ( Serum Separation Tube ) 성분 - Clot Activator / Gel Barrier 원리 - tube 에 silica particle 이 코팅되어있어 혈액이 들어오면 응고 촉진 ( silica particle + 혈액 → 혈소판에 달라 붙어서 thrombin 형성을 촉진시키고 결국 fibrin형성 촉진시켜서 Blood clot을 형성) gel이 들어 있어서 혈청분리가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gel의 비중이 혈구보다 가볍고 혈청보다 무겁기때문에 gel 위로 serum만 분리해 냄 (혈청 < gel < 혈구 ) 검사 - Chemistry ,Serology

♠ PST (Plasma Separation Tube) 성분 - Lithium heparin / Gel Barrier 원리 - Gel성분 → 혈장과 세포가 섞이는 것을 방지 - Heparin→ antithrombin Ⅲ에 의한 응고인자 X의 활성 억제 검사 - Chemistry - 당 ,potassium ,효소 측정 시 안정된 측정치를 얻을 수 있음

♠ Plain Tube ♠ Thrombin 성분 - None 원리 - 정상적인 혈액응고 과정을 통해 serum 획득 검사 - Chemistry , Serology , Blood bank , 체액검사 ♠ Thrombin - Fibrinogen을 활성화해 Fibrin으로 만들고 Clotting 유발 - Chemistry

♠ Heparin-1 - 원리 - 항 트롬빈 작용 thrombin 생성억제 혈장중 Antithrombin Ⅲ 와 결합 섬유소 응집 방해 응고인자 9 ,10, 11, 12, 비활성화 응고 억제

♠ Heparin-2 검사 - Atrial Blood Gas Analysis (ABGA) , Blood pH , Lactic acid , Pyrubic acid , Ammonia , 혈액염색체, Hematocrit ⇒ 가장 생리적이고 혈액에 변화를 일으키지 않아 이상적인 항응고제 세포 크기에 영향을 주지 않아 용혈 막아주므로 삼투압 취약성 검사에 좋음 ★ 혈액 도말 이나 백혈구 계산에는 사용 할 수 없음 ★ Why?? ▶ 도말 표본을 만들어 Romanowsky 염료 염색 시 배경이 푸르게 염색되어 혈액세포 구조 연구하는데 - 부적당하고 백혈구 혈소판이 응집 될 수 있으므로 혈액 도말 이나 백혈구 계산에는 사용하지 않음

♠ Double oxalate - 1 ⇒ Ammonium oxalate : Potassium oxalate (3:2) 원리 - 탈 칼슘 작용 혈청 내 Ca++ + oxalate mixture 침전을 일으키거나 비 이온 형태로 결합 혈청 내 Ca++ ( 유리 칼슘 제거 ) 검사 - CBC ESR등 모든 혈액학적 검사 , 황달지수 , Coagulation factor 검사

♠ Double oxalate - 2 단점 ① 1시간 경과 시 혈구 형태 변화가 심각함 ② 혈액학적 검사 시 부적당함 ③ 항응고제 비율을 정확히 지켜야 함 ( 적은양 ⇒ 응고 , 과잉 ⇒ 혈구 파괴됨 ) ★ smear 만들 수 없음 PLT count 전해질검사 불가능 ★ Why?? ▶ 혈액도말은 Lymphocyte 변형을 가져오므로 사용하지 않고 혈소판의 경우 clump 만들므로 혈소판 수 측정할 수 없음 . 혈액에 anticoagulant 첨가 함으로써 혈액이 오염 됐기 때문에 전해질 검사는 불가능

♠ EDTA -1 (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원리 - 탈 칼슘 작용 혈중 유리 Ca++ 을 chelation 으로 활용성 착염을 형성하여 검사 - Hematology ★전해질 검사 와 혈소판 응집능 검사 불가능★ Why? 혈액에 anticoagulant 첨가 함으로써 혈액이 오염됐기 때문에 전해질 검사는 불가능 , EDTA가 혈액내 5번 응고인자를 불안정 하게 만들고 섬유소원- 트롬빈 반응을 방해하기 때문에 따라서 EDTA 검체로는 정확한 프로 트롬빈 시간검사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혈소판 응집능 검사 불가능 Ca++ 제거

♠ EDTA -2 (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종류 ⇒ K2 EDTA 와 K3 EDTA ① K2 EDTA : 분사(말린 것) ② K3 EDTA : 용액성상 ♠ K2 EDTA 사용을 권장함 ♠ Why? ① K3 EDTA를 이용할 때 K2 EDTA 보다 적혈구의 위축이 더 심합니다. ⇒ 혈액에 EDTA 를 농도를 높여가며 섞었을 때의 변화가 K2 EDTA보다 심하다는 것 ② 혈액을 정치 시켰을 때 K3 EDTA가 세포의 용적을 더 증가시킵니다 ⇒ 4시간 후 1.6% 증가 ③ K3 EDTA 는 액상이기때문에 시료의 희석 효과가 나타남 ⇒ 적은 양의 혈액에서 희석 현상이 심해짐 ⇒ K2 EDTA와 비교할때 Hb, RBC,WBC,PLT count 에서 1~2% 낮음

♠ Sodium Citrate ⇒ 3.8% Sod.citrate 용액 : 혈액 = 1: 9 원리 - 탈 칼슘 작용 → 혈액응고 과정 내 thromboplastin의 작용에 필요한 Ca++와 chelating함으로써 불용성 물질인 salt가 되므로 응고기전이 활성화 되는 것 방지함 검사 - 각종 Coagulation 검사 : PT, aPTT ,FDP, Fibrinogen, factor 검사 ♣ 응고 검사에 사용되는 이유 ♣ ⇒ Sod.citrate가 다른 항응고제에 비해 신속하게 혈장 내 칼슘과 결합하고 5번과 8번 응고인자를 다른 항응고제에 비해 안정하게 유지 하기 때문

♠Sodium Fluoride ( NaF ) 원리 - Ca++의 해리를 약하게 함 각종 효소 작용을 억제 하여 용혈을 방지함 검사 - Glucose 정량검사 , 효소측정 불가 ♠ Sodium Oxalate - 탈 칼슘 작용 - 혈액응고 기능검사 (PT)

♠ Lithium Oxalate ♠ Potassium Oxalate 원리 - 탈 칼슘 Ca++ 제거 검사 - Creatinine , Uric acid ♠ Potassium Oxalate - 적혈구를 수축시켜서 용혈을 못하게 막음 - 질소 함유 물질 정량검사

♠ Sampling 순서 일반 주사기 사용시 - Vacutaine 주사기 사용시 - ⇒ 항응고제가 들어 있지 않는 tube 에 검체를 넣고 다음 항응고제가 들어있는 tube에 검체를 넣음 ⇒ Plain → citrate → Heparin → EDTA → Na F 일반 주사기 사용시 - ⇒ 순서는 Vacutaine 주사기 사용시와 동일하지만 주사 바늘을 제거하고 검사 용기 기벽을 따라 혈액이 흘러 내리도록 분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