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영양학 제3장. 식품위생관리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문혜경.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신체활동을 늘려야 건강. 중국의 세 살 소년 이 아이는 건강할까요 ? 이 사람은 건강할까요 ?
Advertisements

관계부처 합동. 보고순서 환경변화와 정부대책 안전인식 과 추진방향.
식중독 예방, 이렇게 합니다 ! - 가정주부용 식중독 예방 교재 -. 목 차목 차 가정주부용 식중독 예방 교재 I. 식중독 알아보기 1. 식중독의 원인 2. 식중독 발생경로 3. 식중독 예방 원리 II. 식중독 발생 현황 1. 연간 발생 현황 2. 가정에서의 식중독 III.
어린이집 조리종사자 위생교육자료 월. 목 차 식중독의 정의 노로바이러스 베임에 대한 사고예방.
4 월 조리원 위생. 안전. 해썹교육 결재 영양사행정실 장 교장. - 목 차 - 작업전, 중, 후 위생관리 1 Ccp 기록지 작성법 3 기계 및 기구 안전관리 2.
학교급식 HACCP 시스템 적용 영남대학교 류 경. 목 차 2 학교급식 식중독 발생 현황 1 위생관리의 원리 2 학교급식 HACCP 시스템 적용 3.
전라남도교육청. ▶ 오전 11 시부터 오후 5 시까지 식당에서 쌀밥 팔지 못하도록 법 규제 (1976 년 ) - 쌀 가격 폭등과 수입으로 인한 외화 낭비 예방 -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 영업자 준수 사항에는 주 5 회 이상 쌀 판매 금지 ▶식품위생법 위반 첫 적발 사례.
학교급식 위생・안전점검 항목별 세부 점검기준
식생활지침 ..
식중독 예방, 이렇게 합니다! - 가정에서의 식중독 예방 교재 - 1.
위생 관리 김 경 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3M/HUKO/FSA/UNI. 식품미생물검사 위탁관리 제안서 FSAKOREA
납품업체위생,교통안전교육 ㅡ 지장초등학교 ㅡ.
위생모 작업장 위생관리 위생복(상의) 위생복(하의) 위생화.
9장 주방관리.
제 4장 교실환경 4. 교실의 실제 신영섭.
가정통신문 ㅣ번 조 LG LG이노텍어린이집 년 제 1회 졸업여행: 여수기행 안내 2. 안전교육 안내
CHAPTER 8 식품선택과 영양교육 2015년 12월 8일 연성대학교 서계순.
H A C C P 적용확대사업 추진계획 식품의약품안전청 1.
구간추정 (Interval Estimation)
식품접객업소 식중독 예방 및 관리 상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외식영양학전공 홍완수
사회적 비용&외부효과 이별희 최미니.
식중독 예방을 위한 살균소독 식품의약품안전청 시험분석팀장 강 길 진 박사.
4월 조리원 위생.안전.해썹교육.
급식.외식 시설설비의 위생관리 기준 및 배치 곽 동 경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기 술 자 료 집 ㈜ 두 성 테 크 차아염소산나트륨 ( NaOCl ).
선행요건 프로그램.
22장 통계적 품질관리(SQC) 1. 품질의 통계적 관리 2. 통계적 공정관리 3. 샘플링검사
위해요소.
ECO-IOC 200 제품 사용 설명서 친환경 이온성 탈지제 (침적 및 전해탈지용)
■ 첨부. 협력사 금형관리 업무 FLOW.
HACCP 시스템의 7원칙과 12절차.
수확후 관리, 위생관리.
감 염 관 리 교 육.
HACCP이란? 연구지원담당관실 (식품약품분석과) 최 경 철.
4. HACCP 시스템의 개념과 구조.
Hydrogen Storage Alloys
현대오일뱅크 박유나 디자이너 디자인 특화 주유소 공모전 현대오일뱅크 박유나 디자이너
안전규정 협력업체 및 방문자용 안전환경팀 2014.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 ] RFID/2D시스템 화면 기능 목록 루텍 황어진 안녕하십니까?
제품위험분석을 통한 유모차의 안전성 평가 및 개선방안
(생각열기) 타이완의 소수 민족 요리중에는 달궈진 돌을 물에 넣어 끓 이는 해물탕이 있다. 돌을 넣는 이유는?
내 손으로 만드는 즐거움 -압화를 한지에 나타내기- 미술 2학년 1학기
식물은 어떻게 자손을 남길까(1) <생각 열기> 사과, 배, 복숭아 등의 과수나무를 재배하거나
[2] 식품안전성 수업목표1. 수업목표2. 수업목표3. GMO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안전 보호구.
Ⅶ. 사회 생활과 법 규범 1. 일상생활과 법.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원칙 1학년 6반 24번 이유빈 이 문서는 나눔글꼴로 작성되었습니다. 설치하기.
Loading 생명의 시작.
생명 기술과 미래의 기술 VI 1 생명 기술의 세계 2 미래 기술과 통합 체험 활동 금성출판사.
식품에 존재하는 물 결합수(bound water): 탄수화물이나 단백질과 같은 식품의 구성성분과 단단히 결합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한 형태 자유수(free water): 식품의 조직 안에 물리적으로 갇혀 있는 상태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형태.
SSOP.
학교급식 CCP별 작성요령 동부교육지원청 학생복지과.
과목명 : 과학 1학년 2학기 소화와 순환 > 영양소 [ 1 / 12 ] 영양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사무직 일반 안전교육 시설안전의 기술.
주요 프로그램 고객 요청에 의거 품질/개발 분야 각 3개 과정으로 구분하여 교육 계획을 수립 하였으며,
(생각열기) 요리를 할 때 뚝배기로 하면 식탁에 올라온 후에도 오랫동 안 음식이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서비스 작업 안전 수칙 윌로펌프㈜ 서비스팀 1.일반 안전 수칙 2.차량 안전 수칙 3.전기 안전 수칙 4.기타 안전 수칙
몇 종류나 있나? 식약청에서 발표한 ‘각 시도별 학교 주변 불량식품 적발 현황’에 따르면, 2007년 259건에서 2008년 274건으로 늘어났으며 2009년 말에는 498건으로 증가추세 보통 문구점 앞에는 대부분 30여종이 진열되어 있다. 어떤 종류들이 있나?
건설업 안전보건관리10계명 1 6 작업 전 안전점검과 작업 중 정리 정돈 상태를 확인하여 위험을 사전에 제거 또는 통제한 후 작업 하는 것을 습관화해야 합니다. 감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설전기의 접지상태 및 누전 차단기 작동여부 등을 확인하고 필요 시.
제 1 막 오염자들의 등장. 제 1 막 오염자들의 등장 대기오염자 대기오염의 원인: 공장의 가동, 운수교통의 활동, 일반 가정의 연료소비 등 사람들의 생활이나 활동에 따라 생기는 인위적인 것이다. 대기오염의 영향 대기오염 농도가 증가하면서 기관지 및 호흡기에 악영향을.
Ch12. Deep Learning (Backpropagation)
이산화염소에 대한 주요 연구 보고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은 인체 질병 및 치사 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현재 예
멜라민 이란? 서울특별시 식품안전추진단 ( Q) 멜라민은 어디에 사용되나요?
안전한 수산물 취급 위생 관리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안전의 이해.
건강한 여름 보내기 파워포인트 꼬망세 물놀이 안전.
Presentation transcript:

아동영양학 제3장. 식품위생관리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문혜경

식품안전의 개념 식품안전: 건강 위해와 관련된 식품 품질에 적용되는 용어 식중독으로 알려진 식품을 통한 유해물질의 섭취는 흔히 식품위생과 관련되어 불결한 식품 섭취로 인한 것으로 간주됨 식품생산, 가공, 유통 및 저장과정에 사용되는 농약, 식품첨가물, 기타 화학물질의 유입과 환경오염물질로 인한 위험도 증가 식품위생: 식품위생법 제 2조: ‘식품위생이란 식품, 식품첨가물, 기구 또는 용기, 포장을 대상으로 하는 음식에 관한 위생 식품위생은 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식품의 재배, 생산, 가공, 유통, 저장, 조리, 배식에 걸치는 모든 푸드 체인 단계에서 오염될 수 있는 위해요소를 예방, 제거하거나 안전한 수준으로 관리하기 위한 필요한 모든 수단을 지칭

식품의 위해요소 : 식품과 연관하여 사람에게 잠정적으로 건강상의 위해를 일으키는 생물학적 〮화학적 혹은 물리적 인자 (Codex 정의) 문혜경

식중독

식중독

식재료나 조리한 음식의 보관온도가 적절하지 못할 때 조리과정에서 충분한 가열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식중독의 발생요인 및 관리지침 식재료나 조리한 음식의 보관온도가 적절하지 못할 때 조리과정에서 충분한 가열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생산 작업 전 과정에서 교차오염 주의!!!> 오염된 기기를 사용할 때 <생산 작업 전 과정에서 교차오염 주의!!!> • 교차오염이란 식재료, 기구, 용수 등에 오염되어 있던 미생물이 오염되지 않은 식재료, 기구, 종사자와의 접촉 또는 작업과정에 혼입됨으로 인해 식품을 오염시키는 것을 말한다. • 교차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수칙 - 가능하다면 작업장을 전처리구역, 조리구역, 기구세척구역으로 나누어 구분 혹은 구획(전처리구역, 기구세척구역 : 일반구역, 조리구역: 청결구역)조리원이 인식하도록 벽, 천장, 바닥의 색을 달리하거나 표어 등을 붙임 각 구역에서 사용하는 칼, 도마, 고무장갑, 행주, 용기의 색깔이나 모양으로 구분 (칼, 도마, 용기의 식품별 구분은 그 다음 순서임) - 세정대는 사용 전후에 충분히 세척, 소독 - 식품용기를 바닥에 두거나 앉아서 식품을 취급하지 말 것 - 식품용기의 덮개를 덮지 않고 포개어 용기바닥에 의한 오염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리도구 및 용기, 기구의 구분 사용

개인위생이 불결한 경우 개인위생이란 식품취급자의 신체를 포함한 복장과 식품취급 습관 등이 안전 한 식품생산에 적합하도록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람의 손이나 신체에는 포도상구균을 비롯한 식중독균이 존재 화장실에서 분변 접촉 시 대장균 오염 우려 식중독 예방을 위한 올바른 손 씻기 습관 필요 식품 취급자는 조리용 장갑 착용 및 완성된 음식 취급 시에는 위생장갑 착용 주방에서의 식사와 흡연 금지 음식의 맛 보기를 바람직한 방법으로 실시

건강진단을 매년 1회 실시하고 그 기록을 2년간 보관합니다. 건강진단 결과서 건강진단을 매년 1회 실시하고 그 기록을 2년간 보관합니다. • 식품위생 분야 종사자의 건강진단 규칙에 따른 3가지 건강진단 항목(장티푸스, 폐결핵, 전염성 피부질환)과 발급횟수(년 1회)를 따릅니다. • 집단급식소에는 의무사항이나 소규모 급식소에는 권장사항입니다.

올바른 위생복 착용 올바른 위생복장을 착용하고 조리합니다. 위생모자 상의, 하의 • 조리실내에서 착용하는 전용 복장 • 매일 세척 후 건조 착용 • 외출복과 구분 보관관리 • 위생복에 외출복을 덧입지 않음 토시 • 매일 세척·건조 후 착용 위생모자 • 머리카락이 위생모 밖으로 나오지 않게 착용

손 관리(두 번 손 세척) • 따뜻한 수돗물에 손을 적신다(1). • 손 세척제를 제조사가 권장하는 양만큼 손에 묻혀 거품을 낸다(2). • 손톱 솔에 비누를 묻혀 손톱 밑과 손톱 주변을 잘 씻은 다음 물로 비눗기 를 잘 헹군다(3). • 다시 비누를 묻혀 20초 이상 잘 문질러 거품을 낸다(4). • 흐르는 깨끗한 물로 비눗기를 헹궈낸다(5). • 1회용 종이타월로 잘 말린다(6).

식중독 예방의 원칙(WHO)

식중독

HACCP 제도

HACCP의 개념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식품안전관리인증) : 식품의 원료 관리, 제조, 가공, 조리, 유통 등 모든 과정에서 위해한 물질이 식품에 혼입 되거나 식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과정을 식품별로 중점적으로 관리 하는 기준 (식품위생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