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시장 현황과 대응방안 2005. 08. 17 국제금융센터 소장 진병화.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M irae Asset Global Investments Emerging Market Experts Brazil Economy & Equity Strategy July 2011 For Financial Professional Use Only.
Advertisements

7 월 월간전략. 최근 증시 이벤트 7 월 증시일정 6 일 : 미국 6 월 ISM 서비스지수 8 일 : 미국 DOE 주간원유재고 보고서 / 미국 5 월 소비자신용 / 유로존 1/4 분기 GDP/ 일본 5 월 기계수주 / 일본 5 월 경상수지 / 일본 5 월 무역수지.
경기 둔화와 그 이면의 효과 KYOBO Securities Research ● 2  최근 국내 증시를 비롯한 글로벌 증시는 유럽의 재정위기 재 부각과 경기 둔화 우려를 반영 중 -> 그러나, 연착륙 가능성에 무게  글로벌 경기 둔화 자체는 증시에 부정적이나.
온누리교회 일대일 사역팀. CONTENTS 1. 예수님의 공생애 사역 2. 죄의 기원과 죄의 결과 3. 죄 문제의 해결 I. 예수님의 부활은 그리스도의 죽음과 함께 기독교 II. 인간은 하나님 앞에 모두 죄인이다. III. 따라서 나도 죄인이라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서울혁신기획관 익명성과 인간소외 심화, 공동체 해체 … 시민의 행복지수와 삶의 질 하락 … 2 I. 왜 … 마을공동체인가 ! 1.
KEB 경영연구팀 2014 년 하반기 환율 전망 서정훈 연구위원. KEB 경영연구팀 I. 국제외환시장 동향  II. 원 / 달러 환율 동향 
2009 년 행정안전부 공직설명회 년 행정안전부 공직설명회 2 목 차 I. 개 요 II. 기능직 개편원칙 III. 정보통신현업 개편방안 IV. 주요 이슈.
2009 년 세계경제의 여건 변화와 한국경제의 과제 2009 년 2 월 12 일현정택 한국경제학회 정기학술대회 Plenary Session.
글로벌 금융환경 변화와 투자전략 Head of Research 조병문 T. 02)  March
2013 년 조사연구위원회 위촉식 및 활동 설명회 2013 년 조사연구위원회 위촉식 및 활동 설명회
KDI School 제4기 언론인아카데미 최근 경제상황과 대응방안 2009년 9월 4일 현오석.
월간투자전략 리포트 ~ 투자전략부.
건강새마을 조성사업 주민 참여 모니터링 강 민 정.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예술(음악/미술)교과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내용
2009년 1월 증권시장 투자전략 2009년 한국 주식시장 전망 금융경색 이후 최대의 잉여유동성 랠리.
매월 분배금 지급금액 : 보유좌수*5,000*6.5%/12 입니다.
목 차 I 방위산업의 정의 II 방위산업의 특성 III 방위산업의 현황.
1월 월간업무보고 경 리 부.
2. 세계 여러 지역의 자연과 문화 2) 육지가 넓고 인구가 많은 북반구.
’04 4/4분기 Analyst Report 종합분석
자원봉사의 이론과 실제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석돈 교수
2009 중국경제와 비즈니스 현안 시사점 및 대응과제 Kotra 박한진 차장.
한반도 통일 방식과 전망 10조 발표자료 발표: 변희섭 이종배 조영진.
제6장. 현금예금, 대여금, 차입금 대구대학교 회계세무학부 이장형 교수.
2007년 하반기 세계경제 전망 일 시: (금) 발표자: 조 사 국 해 외 조 사 실 안 상 준 과 장.
목 차 I 퇴직연금의 필요성 II 퇴직급여제도 종류 퇴직연금제도 도입배경 III IV 과학기술인 퇴직연금 개요 V
홍보출판 위원회 출판국 2010년 사역 계획서 발표자 : 출판국 국장 / 박수만권사 일시: 2010년 01월 17일(일) 1.
영호남 공동발전을 위한 학술문화 교류사업 보고
'지치면 지고, 미치면 이긴다' 공무원연금투쟁 승리를 위한 연금제도 이해와 대응 및 투쟁방향 ※ ※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 10 연세재단세브란스빌딩
서브프라임에 대한 분석 및 영향 한밭대 협동조합금융학과 김길봉 금융경제특강 1조 강동우,김길봉,허 홍
역대 정부개편의 교훈과 새로운 정부조직개편의 방향
2007년 국내외 경제 전망 목 차 Ⅰ. 최근 경기 패턴 Ⅱ. 국내경제 전망 Ⅲ. 주요 Risk
발제자 : 직업교육단체총연합회 사무국장 이성주(서울공업고)
중장기 국내외 경제 및 금융시장 전망과 자산배분 전략
획기적인 한우수출 전략 단풍미인한우 영농조합법인.
김종찬 김정석 이상미 임성규 담당 교수님 최병수 교수님
체위변경과 이동 요양보호 강사 : 이윤희.
TOPS 아시아 자산배분 재간접투자신탁 1호 본 자료는 판매자의 상품이해를 돕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 어떠한 경우에도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수록된 기대수익률 등은 보장수익률을 의미하지 않으며 시장상황 및 운용여건 등에 따라 유동적이며.
채 권 투 자 노 트 김 형 호, CFA (T ) 아이투신 채권본부장.
2007년 건설 및 부동산 경기 전망 산업전망 세미나 백성준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
게시판이용자의 본인확인 - 제한적 본인확인제
엔젤벤처투자조합 사업계획서
엔젤벤처투자조합 사업계획서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사업 기관 평가
2011년 하반기 VIP투자자문 인재채용 안내
올바른 이메일 사용법
2016학년도 학교평가 안내 충청북도교육청 (기획관).
대촌중 최영미.
물류단지 총량제 폐지 이후 물류시설 공급정책 방향 국 토 교 통 부.
신 윤 호 ㈜엘림에듀 초등사업본부장, 중앙대학교 체육학박사
2006 주요 지역 경제동향과 수출전망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위탁 및 공동추진 충청북도교육청 (목) 총무과 교육행정 6급 안 병 대
대박콜 전국화물 퀵서비스 회사소개서 (기업 퀵서비스,택배,문서수발).
2014년 외환건전성 업무보고 설명회 월 금융감독원 외환감독국.
1월 KB손해보험 설계사 시상 I. 설맞이 2017년 Good Start 상품시상 II. A군 FC 주차시상 5만원↑
2006년 건설경기 전망과 시사점 및 경영과제 CERIK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백 성 준 [산업전망 세미나]
비정규직법의 이해 노 동 부.
원격교육활용론 11. 원격교육 컨텐츠 설계 : 실습 패키지 박소연 (광주대학교).
유가상승이 석유화학 가격에 미치는 영향 화학경제연구원 시장분석 리포트(2005년9월).
존 듀이의 경험교육론에 기초한 초등학교 체험활동 특징에 관한 연구
제9주 예산 수립과 집행.
중등학생평가연수 (중학교) 일시 : (목) 10:00 장소 : 부산교육연구정보원 ㅣ중등교육과 ㅣ
양초 한 자루의 과학 과학영재교육 전공 김 연 주 류 은 희 이 상 희.
다가올 미래는 신흥시장의 시대.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제 5장. 교육행정 조직의 실제 체육교육 이학재.
2019년 헤럴드경제 자본시장대상(안) 2019년 3월 헤럴드경제 IB금융섹션.
국제금융의 이해 I. 경제와 금융 II. 국제금융과 무역 III. 글로벌화와 국제금융 IV. 국제금융의 형태
접수번호 : MWC 2015 한국공동관 참가 지원서 - 프로젝트명(서비스/콘텐츠) : 업 체 명 :
우울증 예방 관리 강사 :.
Presentation transcript:

국제금융시장 현황과 대응방안 2005. 08. 17 국제금융센터 소장 진병화

국제금융시장 현황과 대응방안 I. 세계경제 현황 III. 시사점 및 대응방안 II. 국제금융시장 현황 1. 외환시장 목차 1. 세계경제 2. 미국경제 3. 유로경제 4. 일본경제 5. 중국경제 6. BRICs, 동남아경제 II. 국제금융시장 현황 1. 외환시장 2. 채권시장 3. 주식시장 4. 원유시장 III. 시사점 및 대응방안

I. 세계경제 현황 국제금융시장 현황과 대응방안 1. 세계경제 II. 국제금융시장 현황 III. 시사점 및 대응방안 목차 국제금융시장 현황과 대응방안 I. 세계경제 현황 1. 세계경제 2. 미국경제 3. 유로경제 4. 일본경제 5. 중국경제 6. BRICs, 동남아경제 II. 국제금융시장 현황 III. 시사점 및 대응방안

금년 성장률 작년대비 둔화되나 견조세 지속 전망 세계경제 금년 성장률 작년대비 둔화되나 견조세 지속 전망 미국: 2/4분기 성장 둔화 불구(1/4분기 3.8%  2/4분기 3.4%), 하반기 견조한 성장 전망 물가압력 점증 우려, 선제적 정책금리 인상 지속 경상적자 우려 지속, 재정적자 다소 개선 유로: 수출호조로 연말께 경기회복 기미 사업신뢰도 상승 등 獨 주도로 회복 일본: 내수 위주로 완만한 회복 전망 CPI 플러스 반전 전망 중국: 하반기 Soft Landing 전망. 디플레 우려도 일부 부상 긴축조치 및 금융개혁 지속 위안화 추가절상 압력 상존

성장 견조세, 금년 3.7%  내년 3.4% 성장 전망 작년보다는 낮지만 견조한 성장 미국경제 I 성장 견조세, 금년 3.7%  내년 3.4% 성장 전망 작년보다는 낮지만 견조한 성장 • 작년 4.4%, 상반기 3.6% 성장 • 하반기 3.8%, 연간 3.7% 전망 인플레 제한적, 점차 가시화 • 근원CPI 상승률 연 2% 내외 • 4분기 2.5% 내외로 상승 전망 미국 GDP 증가율(블룸버그 서베이) 소비자물가 상승률(JPM)

소비 및 기업투자 등이 견조한 성장세 견인 예상 2/4분기 재고 조정 일단락, 산업생산 및 기업활동 회복 미국경제 II 소비 및 기업투자 등이 견조한 성장세 견인 예상 2/4분기 재고 조정 일단락, 산업생산 및 기업활동 회복 • 재고/매출액 비율 사상 최저 수준, 재고 확충을 위한 생산 필요 • 6월 공장주문 1%, 산업생산 0.9% 증가 등 산업활동 활기 고용 및 임금 증가로 가처분 소득 증가, 소비 증가세 지속 기대 • 7월 고용증가 20만 7천명, 시간당 임금 0.4% 상승 • 6월 개인소득 0.5%, 소비지출 0.8% 증가 등 견조세 설비가동률 상승 등으로 기업 고정투자 견조세 지속 전망 • 6월 설비가동률 80%로 투자 필요, 그간 이익 증가로 자금 여유 • 장비 및 소프트웨어 투자 증가율 10% 내외 유지 전망

위험 요인: 쌍둥이 적자. 주택가격 버블. 고유가 재정과 경상수지 쌍둥이 적자에 따른 환율 불안 미국경제 III 위험 요인: 쌍둥이 적자. 주택가격 버블. 고유가 재정과 경상수지 쌍둥이 적자에 따른 환율 불안 • ’04년 경상적자 6,660억달러(GDP의 5.7%), 재정적자 4,125억달러(GDP의 3.6%) • 환율 등 국제금융시장 불안 요인 상존 • 경기회복에 따른 세수 증대로 재정수지는 개선 조짐 장기금리 상승시 주택가격 버블 붕괴 우려 • ‘99년 이후 주택가격 급등(62%). 투기적 주택 수요 증가 고유가 등으로 성장 둔화 우려 • 비관적 견해의 Merrill Lynch, 금년 4Q 부터 성장 둔화, 내년 2Q GDP 증가율 1.8%로 하락 전망

하반기 회복 시작, 금년 1.4%  내년 2.0% 성장 전망 상반기 둔화 지속, 2Q 바닥 예상 하반기 회복조짐 강화, 유로경제 I 하반기 회복 시작, 금년 1.4%  내년 2.0% 성장 전망 상반기 둔화 지속, 2Q 바닥 예상 • 1Q 1.4%  2Q 1.1%  하반기 1.6% • 수출 및 내수 동시둔화의 영향 - 작년 유로화 강세 및 고유가 등 후유증 • 6월까지 성장전망 하향조정 지속 (04년말 ECB 전망: 05년 1.9%, 06년 2.2%) 하반기 회복조짐 강화, 양극화로 제한적 반등 예상 • 수출 및 산업신뢰지수 급반등 - 최근 유로화 약세의 효과, 재고조정도 끝물 - 독일 우파집권 가능성 등(친기업정책 기대) • 소비 둔화, 소비자신뢰 악화 - 기업구조조정 지속으로 고용불안 여전 *단위:전년동기비, %, 전망자료: ECB

위험 요인: 저생산성. 고용불안. 정치적 불안 등 강성 勞組, 경직된 노동시장 정치적 불안, 경제개혁 후퇴 유로경제 II 위험 요인: 저생산성. 고용불안. 정치적 불안 등 강성 勞組, 경직된 노동시장  노동시간 감소, 고실업, 저생산성 고착 정치적 불안, 경제개혁 후퇴 • 독일 조기총선 [9/18] 등 정치적 불확실성과 양극화 - 독일 7년만에 기민당(CDU) 등 우파 연합의 재집권 및 정책변화 가능성 - 舊동독지역/ 집권 사민당을 탈당한 노조 세력이 결집한 신좌파(Left Party) 확산 • 獨 • 佛 등 경제개혁 저항 심화  저생산성 극복에 난관,구조 조정 및 고용불안 지속 위험 • EU 헌법 비준 난항, 서비스시장 통합(안) 등 구조개혁 후퇴  EU 시장확대 등 지연 * 자료: Oxford Analytica

경기회복 지속, 금년 2.0%  내년 2.2% 성장 전망 상반기 1.4%, 하반기 2.6%로 금년 2.0% 성장 전망 일본경제 I 경기회복 지속, 금년 2.0%  내년 2.2% 성장 전망 상반기 1.4%, 하반기 2.6%로 금년 2.0% 성장 전망 • 기업실적 호조에 따른 내수회복 에 하반기 수출회복 가세 전망 금년말 CPI 증가율 플러스로 전환될 전망 • 내년 디플레이션 탈피하며 양적 금융완화정책 종료 전망 *전망자료;주요IB 평균

위험요인 : 중국경제 둔화, 고유가, 정계불안 중국경제 둔화시 수출감소 우려 고유가 지속에 대한 우려 일본경제 II 위험요인 : 중국경제 둔화, 고유가, 정계불안 중국경제 둔화시 수출감소 우려 • 04년 대중화권 수출비중(26.7%)이 대미수출(22.4%)을 능가하는 등 대중수출(13.2%) 의존도가 상승 고유가 지속에 대한 우려 • 에너지 효율 높지만(GDP 단위당 원유소비량 미국의 약70%), 기업수익 감소 및 해외수요 감소 유발 정치권의 불안정 심화에 대한 우려 • 우정민영화를 둘러싼 정계 개편, 정권교체 가능성 등 정국혼란 심화가 내수 위축 및 외국인 투자 부진을 초래할 가능성

하반기 경제성장 소폭 둔화, 금년 9%  내년 8% 성장 전망 중국경제 I 하반기 경제성장 소폭 둔화, 금년 9%  내년 8% 성장 전망 긴축조치 불구 상반기 고성장 시현 • 상반기 GDP 성장률 9.5% • 투자 증가율 25.4%로 호조 지속되는 가운데 수출(32.7%) 및 소비(12%) 실적 양호 하반기 soft landing 예상 • 수출 둔화, FDI 다소 위축 등 금년 9% 내외 성장 • 주요 IB, 내년 8% 전망 경제성장률 예측치 분기별 GDP 추이 단위; %

물가 상승률 둔화 불구 디플레이션 가능성 희박 물가 상승률 둔화 지속 추가 긴축조치 요인 감소 중국경제 II • 과잉설비 및 과잉 생산의 영향 • CPI, 금년도 2월 이후 둔화 지속 • 디플레이션 가능성은 희박 (중국정부, 금년 CPI 2-2.5% 예상) 추가 긴축조치 요인 감소 • 하반기 금리인상 가능성 감소 • 과열억제 정책 효과로 부동산 투자 증가율 둔화 가시화 물가 상승률 추이 고정자산투자 증가율 추이

위험 요인: 위안화 추가 절상, 과열 억제, 부실채권 문제 등 중국경제 III 위험 요인: 위안화 추가 절상, 과열 억제, 부실채권 문제 등 하반기 위안화 추가 절상에 관심 • 미국의 추가 절상 압력 가중 예상 • 중국은 대폭 절상이 야기할 충격을 우려 • 소폭의 점진적인 절상 가능성 과열 억제 여부와 디플레이션 우려 병존 • 하반기 투자 증가율 둔화 등 과열 진정 가능성 • 수입물가 하락, 공산품 공급 과잉 등이 물가 하락에 영향 부실채권 비율 축소 등 금융개혁 지속 필요 • 중국정부, 04년도 부실채권 비율을 13.2%로 발표 • 그러나 해외시각은 30-40%로 추정 • 금융시장 개방을 앞두고 국내 은행 경쟁력 강화에 주력 소득 격차 확대, 전력난, SOC 부족 등 구조적인 문제 미해결

브라질, 금년 경제성장 둔화, 러시아인도 안정성장 지속 전망 BRICs I 브라질, 금년 경제성장 둔화, 러시아인도 안정성장 지속 전망 인플레이션 억제 위한 금융긴축 및 헤알화 강세로 금년 성장률 전년비 감소 전망 러시아:유가호조로 안정 성장세 실질환율(좌) 국내신용(우) 인도:IT,서비스위주 고성장 지속 경제성장률(우) 서비스수지 상품수지 *05,06년은 IIF 전망치

동남아 지역, 고유가 및 경상수지 악화로 성장률 둔화 동남아경제 동남아 지역, 고유가 및 경상수지 악화로 성장률 둔화 동남아 각국 GDP 성장률, 금년 들어 둔화 • 고유가와 수출감소, 쓰나미 등이 경기 둔화 배경 필리핀 정정불안 지속. 태국, 고유가로 경상수지 악화 • 2/4분기 태국 경상수지적자, 96년 2/4분기 이후 최대치 *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필리핀,싱가포르는 2분기 경상수지 미발표

국제금융시장 현황과 대응방안 I. 세계경제 현황 II. 국제금융시장 현황 III. 시사점 및 대응방안 1. 외환시장 목차 국제금융시장 현황과 대응방안 I. 세계경제 현황 II. 국제금융시장 현황 1. 외환시장 2. 채권시장 3. 주식시장 4. 원유시장 III. 시사점 및 대응방안

달러화, 최근 강세 불구 중장기 약세 전망은 유지 최근 달러 강세는 美 금리인상 지속 및 美 경기회복 기대 등에 기인 외환시장 I 달러화, 최근 강세 불구 중장기 약세 전망은 유지 최근 달러 강세는 美 금리인상 지속 및 美 경기회복 기대 등에 기인 유로화,헌법 부결/ 엔화,우정민영화 부결 등은 일시적 변수 달러화는 금년 중 엔화 대비 7.7%, 유로화 대비 8.7% 강세 시현 달러강세 (05년1월이후)

달러약세 요인 : 美 경상적자 개선 난망, 대미 자금유입 속도 둔화 외환시장 II 달러약세 요인 : 美 경상적자 개선 난망, 대미 자금유입 속도 둔화 美, 경상적자 전년규모 상회 예상 (GDP의 6% 초과 가능성) 경상적자 문제 재부상 전망 (’04/1Q 1,461억달러  ’05/1Q 1,951억달러) 대미 자금 유입 둔화시 달러약세 추세 재개 가능 대미 유입자금의 질 악화: 亞 중앙은행 축소/핫머니 비중 증가

시장전망 : 장기적 달러약세 전망/시장지표는 단기적 달러강세 외환시장 III 시장전망 : 장기적 달러약세 전망/시장지표는 단기적 달러강세 환율 전망 관련 각종 시장지표들은 단기적 달러 강세에 비중. 그러나 장기적 달러약세 재개 전망은 여전히 유효 투자은행:달러약세 전망기조는 유지 펀드매니저:달러약세 전망 축소 *향후 12개월후 가장 약세 전망 통화 비중 통화옵션:달러선호도 증가 통화선물:투기적 달러매수 지속 *6M Risk Reversal *투기거래자 순매수 Position

위안화 : 추가절상 기대 불구, 환율 움직임은 제한적 등락 외환시장 IV 위안화 : 추가절상 기대 불구, 환율 움직임은 제한적 등락 연내 2~5% 정도의 추가절상 전망이 시장의 다수 견해 일부는 중국 경제 부담(수출 및 고용 둔화 등) 감안시 상당기간 추가절상 지연 전망 1년 선물은 4.2% 추가절상 기대 中 당국, 추가 절상 압력 불구 바스켓제 보수적 운용 절상조치 이후 위안화 추가절상 폭은 0.1% 이내로 제한

위안화 복수통화 Basket에 원화 포함 中, 바스켓 구성 통화 공개(8/10), 그러나 비중은 미공개 외환시장 V 위안화 복수통화 Basket에 원화 포함 中, 바스켓 구성 통화 공개(8/10), 그러나 비중은 미공개 주요 통화 4개(미달러화, 유로화, 엔화 및 원화) 등 총 11개 통화 무역 비중 : 미국(19.5%), 유로권(23.3%), 일본(18.5%), 한국(9.6%) 싱가폴 모델을 참고했을 가능성 싱가폴은 1981년부터 통화구성이 공개되지 않은 엄격한 Band-Basket-Crawling(BBC) 제도 운용 장기적으로 대중 무역에 긍정적 바스켓 통화 비중 미공개로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었으나 장기적으로 원/위안 환율 안정에 긍정적 예상 원화의 바스켓내 비중이 10%라면 이론적으로 동 비율만큼 위안화와 원화간 환율 안정 효과 중국의 각국별 무역비중(2004년)

위안화 절상 이후 원화강세 기대심리 재부상 원화강세 기대감 여전 2002년 이후 여타 아시아 통화 대비 원화강세 현상 뚜렷 외환시장 VI 위안화 절상 이후 원화강세 기대심리 재부상 원화강세 기대감 여전 달러 강세시기 불구 원화강세  달러 약세 전환시 절상압력 가중 2002년 이후 여타 아시아 통화 대비 원화강세 현상 뚜렷 위안화 추가절상 기대감 등이 과도하게 선반영 위안화 절상 이후 태국, 싱가폴, 한국, 말련 순으로 통화 절상

美 정책금리 지속 인상 불구, 장기금리 상승폭 미미 채권시장 I 美 정책금리 지속 인상 불구, 장기금리 상승폭 미미 장기금리 상승세는 완만 인플레이션 기대 완화, 연준에 대한 시장의 신뢰, 장기국채 수요증가(외국중앙은행, 美 연기금 등) 및 공급감소 등에 기인 FRB, Fed Funds Rate 인상 지속 ‘05년 8월 3.50%로 04년 이후 10회 인상(1.0%  3.5%) ECB 및 BOJ, 현 정책금리 유지 주요국 정책금리,% 美 금리 추이, %

채권시장 II 해외투자은행, 美 장단기금리 상승 지속 전망 일부에서 美 장단기금리 역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과 거와 달리 경기하강을 시사하 지 않을 것(Greenspan 및 다수 IB) “금리역전이 경기침체 신호란 개념은 지난 10년간 상당히 퇴색” 美 정책금리, 연말까지 4.0~4.25% 전망(美 국채딜러 서베이) 총 22개 기관 중 7개 기관은 4.25%, 13개 기관은 4.00%, 2개 기관은 3.75% 응답 美 장기금리, 연말까지 4.7% 전망 상승 속도 둔화로 Yield Curve 평탄화 지속 Yield Curve 변동 추이 해외투자은행 장기금리 전망(10년,%)

채권시장 III 한미간 금리역전 불구, 급격한 자본 유출 없을 듯 환위험 헤지비용, 해외자산 심사능력 등을 감안할 때 급격한 자본유출은 제한될 전망 오히려 점진적 자본유출은 환율 관리 등에 도움 예상 한편 국내기관 해외채권 투자는 간접투자 활성화 등으로 증가세 한미간 정책금리는 역전되었으나, 시장금리는 여전히 한국이 높음 정책금리 : 美 3.50%, 韓 3.25% 시장금리 : 美 4.37%, 韓 5.21% (10년만기 국채 기준) 한미 장기금리(10년) 동향 한국계 해외채권 투자실적 *자료:Bloomberg *자료:한국은행. 잔액기준. 억 달러

세계증시 조정장세 후 강한 반등세 세계 증시 IT버블 붕괴 이후 반등 장세 • 선진국 00~03년 낙폭의 절반 수준 회복, 신흥국은 이미 초과 올 상반기 조정장세 후 강한 상승. 경제성장 및 기업실적 견조, IT 회복 기대, 풍부한 유동성 등에 기인 • 미국 4년래, 유럽 3년래, 아시아 8년래 최고치 경신 선진국 및 신흥국 주가 장기추이 지역별 주가추이

향후 미국 축소, 일본-유럽-이머징 확대 권고 우세 주식시장 II 향후 미국 축소, 일본-유럽-이머징 확대 권고 우세 향후 Valuation, 기업이익 전망 측면에서 유럽-日-이머징 주식이 미국 주식 대비 상대적 우위 의견 실제 주식자금도 미국 등에서 유럽, 일본, 이머징으로 유입 • 미국에 유입되는 해외주식자금 미미. 반면, Non-US 주식 선호로 해외주식 투자 증가세 지역별 주식자금 순유입 펀드매니저(Buy Side) 서베이(7월말 현재) 구분 1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미국 -29 -45 -35 -23 -37 유럽 10 15 21 13 11 9 영국 -9 -10 -3 -11 -5 일본 24 25 18 17 20 이머징 19 6 16 *Merrill Lynch/단위%(비중확대–비중축소 의향) *향후 12개월 해당 지역에 대한 투자의향

6/15일 OPEC 쿼터 확대 결정 불구 유가 상승 7월부터 쿼터 28백만 bpd로 확대 결정 원유시장 I 6/15일 OPEC 쿼터 확대 결정 불구 유가 상승 7월부터 쿼터 28백만 bpd로 확대 결정 • 하반기 1.4백만 bpd 초과공급 예상 그러나 유가 상승세 지속 • WTI 65$ 돌파 사상 최고, 연초 이후 Dubai 60% 상승 *백만배럴/일

유가 강세 지속 요인 원유 수요 증가 원유 공급 불안 헤지펀드 등 대형 투기세력 가세 원유시장 II 중국, 인도 등 인구 대국들의 경제성장으로 유류 수요 급증 미국도 견조한 경제성장으로 고유가 불구 원유 수요 증가세 지속 원유 공급 불안 이란, 이라크, 사우디 등 테러 위험 상존 및 멕시코만 허리케인 영향 원유 증산여력 고갈(OPEC 증산여력 2.2백만 bpd, 이라크 등 제외시 1.4백만 bpd) 유종별 수급 Mismatch(증산 가능 원유는 고유황 중질유, 시장 수요는 저유황 경질유) 정유능력 한계(미국 30년간, 유럽 10년간 신규 정유공장 미건설) 헤지펀드 등 대형 투기세력 가세 최근 원유 선물 및 옵션 순매수 포지션 증가세

유가 당분간 강세 지속 전망, 부정적 영향은 과거대비 축소 원유 시장 III 유가 당분간 강세 지속 전망, 부정적 영향은 과거대비 축소 원유 가격 당분간 강세 지속 전망 현물가격보다 선물가격이 높은 Contango 지속, 유가 상승 지속 기대 반영 원유 선물 및 옵션 순매수 증가, 원유 가격 추가 상승 기대 의미 주요기관 원유가격 하반기 전망치 상향, Dubai유 배럴 당 43$  48$ 내외, WTI유 50$ 내외  58$ 내외 원유 가격 상승에 따른 부작용은 과거에 비해 축소 미국 등 선진국 에너지 효율 큰 폭 개선, 최근 에너지 의존도 2차 석유 파동 당시의 절반 이하로 하락 ’00년 이후 원유 가격 대폭 상승 불구 경제성장 지속, 물가 안정 그러나 원유가격이 추가로 대폭 상승할 경우 타격 예상(특히 한국)

목차 국제금융시장 현황과 대응방안 I. 세계경제 현황 II. 국제금융시장 현황 III. 시사점 및 대응방안

미국 및 중국 경제가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 주시 시사점 및 대응방안 I 미국 및 중국 경제가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 주시 미국 경제, 당분간 견조한 성장세 지속 전망 우리나라의 대미수출 지속적 증가세 유지 가능 美 경상수지 적자 개선은 달러 약세로만 해결 불가능  美 당국의 점진적 금리인상을 통한 소비 긴축 및 대미 무역흑자국들에 대한 보호무역주의 강화 가능성에 대비 필요 달러 약세 전환시 원/달러 환율 하락에 대비, 환위험 관리 강화 중국 경제, 성장 속도 감속이 예상되나 경기호조 지속 예상 금년 중 Soft Landing 가능할 것으로 전망 위안화 추가 절상시 중국경제에 일부 부정적 영향 예상  한국의 대중수출 감소에 대비 수출 다변화 등 노력 필요 향후 위안화 환율이 원화에 미치는 영향력 예의 주시 필요

대외여건 악화 및 국제금융시장 급변동에 대비 수출여건 악화(원화 강세, 보호무역주의 등) 가능성에 대비 시사점 및 대응방안 II 대외여건 악화 및 국제금융시장 급변동에 대비 수출여건 악화(원화 강세, 보호무역주의 등) 가능성에 대비 생산성 향상, 해외 마케팅 강화, 수출 다변화 지속 추진 등 장기적으로 우리 경제의 체질을 수출 주도에서 내수 위주로 전환하여 미국 및 중국 경제 등 해외 변수의 영향력 축소 美 금리인상, 고유가 등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에 유의 핫머니의 빈번한 이동에 따른 국내금융시장 영향 점검 해외차입 여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차입통화 다변화 등을 통한 외화 유동성 확대에 주력 세계 부동산시장 버블 붕괴 가능성에 대비하여 해외부동산 직접투자나 MBS 투자시 유의할 필요

감 사 합 니 다. 내용 문의 국제금융센터 서비스 문의 국제금융센터 [세계경제] [국제금융시장] 김종만 Chief Economist (☏ 3705-6247) 이태봉 Head of Research & Analysis Team (☏ 3705-6246) 오창석 Head of Early Warning Team (☏3705-6208) 정동철 Senior Research Fellow-Europe (☏ 3705-6242) 남수중 Senior Research Fellow-China (☏ 3705-6230) 손영환 Senior Analyst-Japan (☏ 3705-6227) 윤인구 Senior Manager, FX Derivative Markets(☏ 3705-6214) 박형중 Senior Analyst, Early Warning Team(☏ 3705-6222) [국제금융시장] 김용준 Head of Fx. Derivative Markets (☏ 3705-6212) 이인우 Head of Credit Market & Rating (☏ 3705-6211) 안남기 Head of Equity Markets (☏ 3705-6232) 국제금융센터 서비스 문의 임주형 Manager, Strategy & Planning Team (☏ 3705-6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