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궁궐 경복궁 조사자 정호산, 최범주, 최비경, 한기윤.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서울시 투어. 서울시티투어 2 페이지 서울시티투어버스의 경로 서울시티투어버스의 경로 목차 시티투어버스와 서울 관광 1 1 서울시티투어버스의 개요 2 2 서울시티투어버스 이용객 현황
Advertisements

서울 버스 투어. 서울여행 -2- 목 차목 차 Seoul City Tour 소개 1 탑승 안내 2 주요 관광지 방문객 수 3 야간코스 안내 4.
5 학년 4 반 임시형 5 학년영어 세계시장에 대해 - 타이 방콕에서 열리는 수산 시장 - 담는 사두악 수상시장.
경복궁  1. 경복궁   종 목 사적 제 117 호  지 정 일  소 재 지 서울 종로구 세종로 1  시 대 조선시대  조선시대 궁궐 중 가장 중심이 되는 곳으로 태조 3 년 (1394) 한양으로 수도를 옮긴 후 세웠다.   궁의.
크리스마스 김하은. 크리스마스란 ? 크리스마스란 즉 성탄절을 말하는 것인데, 세 계 4 대 성인으로 손꼽히는 인물 중 하나인 예수가 태어난 날을 기념하는 날이다. 이 날에는 곳곳에서 화려한 조명으로 장식을 하고 집에서는 트리를 장식하며 가족과 즐 거운 시간을 보낸다.
1. 도형의 연결 상태 2. 꼭지점과 변으로 이루어진 도형 Ⅷ. 도형의 관찰 도형의 연결상태 연결상태가 같은 도형 단일폐곡선의 성질 연결상태가 같은 입체도형 뫼비우스의 띠.
영화초등학교 5-3 최단비. 목 차 1. 실험 동기 2. 실험 방법 3. 가설 4. 실험 과정 5. 실험 1~8 6. 실험결과 7. 결론 8. 더 알고 싶은 점.
아름다운 우리 광주 신문 번 김현지. 아름다운 우리 광주 신문 BC 5 에 하남 위례성에서 천도해 온 이후 신라 문무왕 12 년 (AD 672) 토성 ( 주장성, 일장성라 칭함 ) 으로 축성하였고, 조선 광해군 13 년 (1621 년 ) 에 후금의 침임을.
한양대학교탐방 조원 : 박효정, 이보미, 문세정, 정수균. 2 호선을 타고 한양대입구역에서 내려 길을 따라 한양대입구로 들어오니 맨 처음 한양대학교 의료원이 있었다. 이때는 설랬지만 한편으로는 이 큰 곳을 어떻게 다 보나 했었다. 한양대학교 의료원은 의과대학 및 서울,
벽화마을 신수빈 우임수 윤재환.  이화동 벽화탄생 배경  이화동 Hot issue  이화동 마무리.
줄넘기의 대하여 5122 양민서.
첨성대 만든 사람: 정성현, 천종현.
경주 수학여행 보고서 조원 : 김민석, 유혜성, 목진호, 박병열.
첨성대에 대하여 발표자:이민규.
☆훈민정음을 만든 사람 ☆훈민정음을 반포한 날 ☆훈민정음을 만든 이유 ☆훈민정음의 원리
서울시티투어버스 Seoul City Tour Bus.
2. 잎까지 운반된 물은 어떻게 될까? 학습목표: 증산작용을 설명할 수 있다..
I. 자극과 반응 4. 빛을 받아들이는 눈.
경복궁 . 자료에서 정보 찾기!.
작도에 대하여 조사자 : 이준호 담당선생님 : 박문열 선생님.
고장의 중심지 답사 보고서 3학년6반
B4-1.
99. 나라 사랑 1.
3학년3반 18번 백애린 대림 미술관 Sparkling secret
원자 스펙트럼 1조 서우석 김도현 김종태.
크로마토그래피 장준우.
1.
전통 건축 - 지붕 제 2차 창의적 재량학습 지도자료
Ⅱ. 지구의 변동과 역사 1. 지구의 변동 2. 지구의 역사 3. 우리나라의 지질.
다니엘과 그의 친구 하나냐, 미사엘, 아사랴는 포로였지만 지혜가 탁월 하여 왕을 섬기기 위해 훈련을 받았다.
무게중심으로 최적의 안정적인 팽이를 찾아라 03김동균, 04김문성, 09박 홍, 10서영우.
(생각열기) 옷가게에서 옷을 살 때와 옥가게 밖으로 나와 서 옷을 볼 때 옷 색이 달라져 보이는 이유는?
MBC 손에 잡히는 경제 - 노후 대비에 관한 조사 -
현대오일뱅크 박유나 디자이너 디자인 특화 주유소 공모전 현대오일뱅크 박유나 디자이너
관찰일지 양파 기르기 오명현.
7가지 방법 PowerPoint에서 공동 작업하는 다른 사용자와 함께 편집 작업 중인 사용자 보기
TFT-LCD 구조 동작원리 응용분야.
Term Projects 다음에 주어진 2개중에서 한 개를 선택하여 문제를 해결하시오. 기한: 중간 보고서: 5/30 (5)
중국 조선업의 몰락 경영학과 윤동현.
반 : 4 번호 : 1 성명 : 권채윤 건설 시공 과정.
113. 자연과 환경.
우리나라 수학자 기초반-17번-이호준.
장면1 장면2 장면3 장면4 자전거 타는 장면 인터넷 팀 모임 한강에서 자전거 타는 모습을 촬영한다.
구형왕릉.
Ⅴ. 지각의 물질과 변화 5.1 지각을 이루는 물질.
균형이진탐색트리 이진 탐색(binary search)과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와의 차이점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텍스트 샘플 텍스트
3-5. 태양계와 행성(2).
종이비행기가 잘 날기 위한 조건 만든이:김윤성.
대한민국의 땅, 독도.
시각절벽실험 김현우.
한양과경복궁 문수연,방연주.
작도 작도 작도: 눈금 없는 자와 컴퍼스만을 사용하여 도형을 그리는 것
(생각열기) 요리를 할 때 뚝배기로 하면 식탁에 올라온 후에도 오랫동 안 음식이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5장. 선택 알고리즘.
3D 프린팅 프로그래밍 03 – 도형 회전 (손잡이컵 만들기) 강사: 김영준 목원대학교 겸임교수.
1. 정투상법 정투상법 정투상도 (1) 정투상의 원리
비무장지대(DMZ).
12 그리드 시스템.
DNA의 구조와 역할 (1) DNA : 이중 나선 구조로 수많은 뉴클레오타이드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6-3. 지질시대의 구분.
한국의 세계유산.
Ⅳ. 제도의 기초 1. 물체를 나타내는 방법 3) 물체의 표현 방법 (2) 입체도법 지도학급 : 태화중학교 1학년 4반
정삼각형을 정사각형으로 바꾸는 원리 탐구 하귀초등학교 6학년 고지상.
무엇이 닮았나요? !!.
비콘 설치내용 ○ 설치 장소 : 지하상가, 시청, 제주대학교(공과대학, 학생회관) ○ 설치 수량 총 설치수량 지하상가 시청
(생각열기) 운동 선수들이 땀을 많이 흘린 후 빠른 수분 보충을 위해 마시는 음료를 무엇이라 하는가? ( )
세포는 어떻게 분열할까?(2) 양파 뿌리의 체세포 분열 관찰 순서 [ 해리 ] [ 염색 ] [ 고정 ] 학습 주제
얼마나 많은가? Lezhin.
피보나치수열에 대하여 한림초 5학년 신동오.
Presentation transcript:

조선의 궁궐 경복궁 조사자 정호산, 최범주, 최비경, 한기윤

경복궁의 건립 역사 1392년 조선왕조를 개창한 태조는 1394년 서울을 도읍으로 정하고 종묘와 사직 및 궁궐 등의 공사를 착공하여 1395년 9월 29일 총 755칸 규모의 경복궁을 완공하였다. 그리고 그 해 태조는 정도전에게 새 궁궐과 주요 전각의 명칭을 지어 올리게 하였는데, 경복궁의 명칭을 비롯하여 강녕전, 연생전, 경성전, 사정전, 근정전, 근정문, 정문(현재 광화문) 등 주요 건물의 명칭은 이 때 지어진 것이다. 이후 1411년 태종은 경복궁에 금천을 파도록 명하고 이듬해에는 경회루를 건축하였다. 경복궁이 조선왕조의 법궁다운 면모를 갖춘 것은 세종대왕 때였는데, 1426년 왕명을 받은 집현전에서 경복궁의 각 문과 다리의 이름을 지어올렸으니 광화문, 홍례문(현재 흥례문), 일화문, 월화문, 건춘문, 영추문, 영제교 등이 이때 지어진다. 그리고 1429년 사정전과 경회루의 중수를 시작으로 주요 전각을 새로 짓거나 중수하였다.

경복궁의 건립 역사 명종 8년에는 실화로 경복궁이 전소되었는데, 이를 1년도 되지 않아 다시 지었다. 이 때에 동원된 인력이 부역이 2,200명이었고 품팔이꾼이 1.500명이었다고 한다. 명종대에 건립된 경복궁을 그린 ‘한양궁궐도병’이라는 그림이 있었는데, 그림은 임진왜란 당시에 소실되었다고 전해진다. 1592년 선조가 피란할 때에 난민이 발생하였고, 노비문서와 노략의 흔적을 없애기 위해 경복궁·창덕궁·창경궁의 궁궐들을 불태웠다. 그 후로 273년간 재건하지 못하다가 1865년 음력 4월 2일 고종의 수렴청정을 하던 신정왕후의 지시로 중건이 시작되어 1868년 재건되었고, 경복궁의 재건을 주도한 흥선 대원군은 권력을 장악하기도 하였다. 한일병합으로 대한제국이 멸망한 이후 일제는 경복궁 건물 대부분을 훼철하여 해방 직후에는 전체의 십분의 일 규모만 남게되었고 한국전쟁 당시에는 미군의 공중폭격으로 광화문과 만춘전등이 불타기도 하였다. 이후 1990년에 들어서 정부는 20년 계획으로 단기 복원 계획을 진행하고 있으며 2009년까지 원래 규모의 40퍼센트 수준 복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경복궁의 건축물 경복궁은 동서남북으로 4개의 대문들을 두고 남쪽으로 정전, 편전, 침전과 후원을, 그리고 동쪽으로 동궁과 자전, 서쪽으로 궐내각사와 경회루를 각각 배치하는 형태로 수십 개의 전각들이 건축되었다.

광화문 광화문(光化門)은 경복궁의 남쪽에 위치한 정문이다. 왕의 큰 덕(德)이 온 나라를 비춘다’는 의미로 광화문(光化門)이라 이름 지었다. 1395년에 만들어졌으며, 2층 누각인 광화문 앞의 양쪽에는 한 쌍의 해태 조각상이 자리잡고 있다. 광화문에는 총 3개의 문들이 있는데, 가운데 문은 왕이 다니는 문이고, 나머지 좌우의 문은 신하들이 다니던 문이었다. 광화문의 천장에는 주작의 그림이 그려져 있다.

신무문 신무문(神武門)은 경복궁의 북쪽에 위치한 문으로, ‘북쪽을 관장하는 현무’에서 따와 신무문이라 이름하였다. 신무문의 천장에는 현무가 그려져 있다. 그 이름처럼 음기가 강하다 하여 평소에는 굳게 닫아 두었다. 임진왜란 때 방화로 소실되었다가 흥선 대원군이 재건하였다. 그 후 1961년 5·16 군사정변이후 청와대를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군부대가 경복궁 경내에 주둔하게 되면서 45년 동안 폐쇄되었다. 현재 청와대 본관 정문과 마주하고 있다.

흥례문 흥례문(興禮門)은 정문인 광화문과 근정전의 정문인 근정문 사이에 있는 중간문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중층 목조 건물이다.

영제교 영제교(永濟橋)는 근정문 앞을 흐르는 금천에 설치된 다리로 풍수지리사상에 입각하여 정전 안이 지엄하고 신성한 곳임을 나타내기 위해 정전의 외당 앞에 명당수를 흐르게 하고 그 물위로 다리를 설치한 것이다. 북악산에서 흘러들어온 물과 서쪽에서 들어온 물이 합쳐져 근정문 앞을 지나는 금천을 이루는데 영제교는 바로 이 금천에 설치한 다리이며, 덕수궁의 금천교, 창덕궁의 옥천교와 금천교도 같은 이치로 지어진 다리이다.

영제교 영제교의 길이는 13.85m, 너비는 9.8m가량으로 비교적 넓으며 3칸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중앙이 3.4m, 그리고 양쪽이 각각 3.2m씩이다. 이 가운데가 바로 어도(御道-왕의 길)로서 왕의 어가가 지나는 길이다. 다리 발은 홍예의 형태를 취했고 난간은 하엽동자로 돌난대를 떠받치게 하였으며 난간 전후 법도에는 4마리의 서수가 강바닥을 뚫어져라 감시하고 있다. 광화문 밖의 서수가 뿔이 보이지 않는 데 반해 영천교의 이 서수들은 뿔이 보이고 있는데 정전의 앞이기에 더욱 삼엄한 경비를 서고 있는 듯 하다.  

근정문 근정문(勤政門)은 정전인 근정전의 정문으로 정면 3칸, 좌우로 각각 1칸씩의 옆문을 배치한 중층 구조로 되어 있다. 보물 제812호로 지정되어 있다. 왕이 궁궐 밖으로 행차할 일이 없는 평소에는 문을 닫아두었고 대신 관리들이 궁에 출입할 때는 좌우에 있는 일화문(日華門)과 월화문(月華門)을 이용하였는데, 음양으로 볼 때 태양을 뜻하는 문반 관료들은 동쪽의 일화문을, 그리고 달을 뜻하는 무반 관료들은 서쪽의 월화문을 통하여 출입하였다.

근정전 근정전(勤政殿)은 경복궁의 정전으로, 국보 제223호로 지정되었다. 근정전은 조선시대 정궁인 경복궁의 중심 건물로, 신하들이 임금에게 새해 인사를 드리거나 국가의식을 거행하고 외국 사신을 맞이하던 곳이다. 태조 3년(1394)에 지었으며, 정종을 비롯한 조선 전기의 여러 왕들이 이곳에서 즉위식을 하기도 하였다. ‘근정’이란 이름은 천하의 일은 부지런하면 잘 다스려진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 정도전이 지었다. 지금 있는 건물은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고종 4년(1867) 다시 지었는데, 처음 있던 건물에 비해 많이 변형하였다.

근정전 앞면 5칸·옆면 5칸 크기의 2층 건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여진 구조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식 건물이며 그 형태가 화려한 모습을 띠고 있다. 건물의 기단인 월대의 귀퉁이나 계단 주위 난간기둥에 훌륭한 솜씨로 12지신상을 비롯한 동물들을 조각해 놓았다. 건물 안쪽은 아래·위가 트인 통층으로 뒷편 가운데에 임금의 자리인 어좌가 있다. 어좌 뒤에는 ‘일월오악도’병풍을 놓았고, 위는 화려한 장식으로 꾸몄다. 근정전에서 근정문에 이르는 길 좌우에는 정승들의 지위를 표시하는 품계석이 차례로 놓여 있으며, 햇빛을 가릴 때 사용하였던 고리가 앞마당에 남아 있다. 근정문 좌우로는 복도 건물인 행각(行閣)이 연결되어 근정전을 둘러싸고 있다. 근정전은 조선 중기 이후 세련미를 잃어가던 수법을 가다듬어 완성시킨 왕궁의 위엄을 갖춘 웅장한 궁궐건축이다.

강녕전 강녕전(康寧殿)은 왕이 거처하던 침전(寢殿)으로 정면 11칸, 측면 5칸 규모의 초익공 팔작 지붕이다. 왕의 침전이므로 용마루가 없으며, 전면에 퇴가 개방된 중앙 어칸은 마루로 좌우는 온돌방으로 꾸몄다. 강녕전 일곽은 1920년 창덕궁의 복원을 위해 헐려 없어진 것을 1995년에 복원하였다. 강녕전은 왕이 거처하던 곳인만큼 화재가 나지 않도록 신경을 썼는데, 굴뚝을 건물 가까이에 지을 수 없고 그렇다고 멀리 떨어진 곳에 굴뚝을 지을 수도 없었기에 강령전 뒷편의 교태전으로 가는 양의문 좌우에 굴뚝을 붙여 지었다.

경회루 경회루(慶會樓)는 경복궁에 있는 누각으로, 국보 제224호이다.

교태전 교태전(交泰殿)은 왕비의 침전으로 강령전에서 양의문을 지나면 나타나는 정면 9칸 규모의 건물이다. 건물 뒷편에는 정원인 아미산이 위치하고 있는데 아미산을 볼 수 있도록 후면동쪽에 마루와 방으로 연결된 건순각을 배치하였다. 강령전과 마찬가지로 용마루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향원정(香遠亭)

자선당 자선당은 세자와 세자 빈의 거처다. 입구를 바라봤을때 오른쪽 방에 세자가 살았으며, 맞은 편인 왼쪽 방에 세자 빈이 살았다.

비현각 비현각(丕顯閣)은 크고 밝은 전각이란 뜻으로 세자가 스승을 모시고 학문을 연마하던 편전이다

건축양식

경복궁 근정전 천장 유 물 명 : 경복궁 근정 전: 천장 소 장 처 : 서울시 종로 구 세종로 시 대 : 1867년 재건 유 물 명 : 경복궁 근정 전: 천장 소 장 처 : 서울시 종로 구 세종로 시 대 : 1867년 재건 재 료 : 나무

경복궁 근정전 천장 경복궁 근정전(勤政殿) 내부 천장 중심부의 용. 근정전은 경복궁의 정전이며 국가의식을 거행하고 외국 사신을 접견하던 법전으로, 1394년(태조 3)에 창건하였다. 그 후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867년(고종 4)에 재건하였다. 근정전은 상하 월대 위에 이층으로 지은 건물로, 건물 내부는 아래 위층의 구분을 없이 하여 넓고 높으며, 중앙에 임금이 좌정하던 어좌가 있다. 근정전을 받치고 있는 월대에 다시 첨계라는 외벌대 댓돌을 구성하고 건축되었는데, 월대의 뒷부분 넓이보다 앞쪽이 훨씬 넓게 되어 있다. 월대는 박석을 깔아 포장하였는데, 배수를 고려하여 물매를 세게 두어서 근정전이 서 있는 부분보다 돌난간이 설치된 가장자리가 현저하게 낮다. 근정전 내부에는 바닥에 방형의 전을 깔았으며, 천장은 우물천장을 꾸몄다. 천장의 중심부에는 감입천장(嵌入天障)을 따로 만들고, 거기에는 구름 속에서 여의주를 다루는 두 마리의 황룡을 장식하였다. 황룡은 비늘까지도 그대로 조각하여 웅장하며서도 화려하다

경복궁 근정전 옥좌 유 물 명 : 경복궁 근 정전 옥좌 소 장 처 : 서울시 종 로구 세종로 시 대 : 조선시대 유 물 명 : 경복궁 근 정전 옥좌 소 장 처 : 서울시 종 로구 세종로 시 대 : 조선시대 재 료 : 나무/금속

경복궁 근정전 옥좌 경복궁 근정전(勤政殿) 내부에 있는 어좌의 용장식. 근정전은 경복궁의 정전이며 국가의식을 거행하고 외국 사신을 접견하던 법전으로, 1394년(태조 3)에 창건하였다. 그후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867년(고종 4)에 재건하였다. 근정전은 상하 월대 위에 이층으로 지은 건물로, 건물 내부는 아래 위층의 구분을 없이 하여 넓고 높으며, 중앙에 임금이 좌정하던 어좌가 있다. 근정전을 받치고 있는 월대에 다시 첨계라는 외벌대 댓돌을 구성하고 건축되었는데, 월대의 뒷부분 넓이보다 앞쪽이 훨씬 넓게 되어 있다. 월대는 박석을 깔아 포장하였는데, 배수를 고려하여 물매를 세게 두어서 근정전이 서 있는 부분보다 돌난간이 설치된 가장자리가 현저하게 낮다. 근정전 내부에는 바닥에 방형의 전을 깔았으며, 천정은 우물천장을 꾸몄다. 근정전에서 무엇보다 눈에 띠는 것은 중앙 단상 위에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옥좌이다. 옥좌 뒤에는 일월오봉도의 민화병풍이 펼쳐져 있고, 그 앞에 다시 투조로 새긴 나무 병풍을 둘렀다. 옥좌 자체가 왕권의 권위를 상징하므로 그를 상징하는 용을 새긴 것이다.

경복궁의 처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