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 용어만 알면 다 아는 거야!.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학 습 목 표 1. 기체의 압력이 기체 분자의 운동 때문임을 알 수 있다. 2. 기체의 부피와 압력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3. 기체의 부피와 압력관계를 그리고 보일의 법칙을 이끌어 낼 수 있다.
Advertisements

히브리어 “ 야레 ( ירא )” 에 대한 이해 박영준. 기본적으로 “ 두려워하다, 놀라다 ” 를 의미하 는 히브리어 동사 “ 야레 (ירא)” 와 이 단어의 파생어는 구약에서 435 번 쓰였는데, 주로 시편 (83 번 ), 신명기 (44 번 ) 그리고 지혜 (48 번.
크리스마스 김하은. 크리스마스란 ? 크리스마스란 즉 성탄절을 말하는 것인데, 세 계 4 대 성인으로 손꼽히는 인물 중 하나인 예수가 태어난 날을 기념하는 날이다. 이 날에는 곳곳에서 화려한 조명으로 장식을 하고 집에서는 트리를 장식하며 가족과 즐 거운 시간을 보낸다.
3. 세상을 보는 창 (1) 사랑 손님과 어머니 소단원 정리 1. 갈래 : 단편 소설, 순수 소설 2. 성격 : 서정적, 심리적 3. 시점 : 1 인칭 관찰자 시점 4. 배경 시간적 배경 : 1930 년대 공간적 배경 : 어느 시골 읍 5. 제재 : 어머니와 사랑 손님의.
7 장 언어의 형식적 특성 지적장애 언어재활 구미대학교 언어재활과.  형식 (Form): 구문론, 형태론, 음운론  내용 (content): 의미론 - 어휘에 대한 지식 및 사물과 사건에 대한 지식  기능 (use): 화용론 - 대화를 수행하기 위한 규칙 언어의.
국어 시간 ‘ 폭풍 ’ 과 ‘ 경설 ’. 학습 목표 1. ‘ 폭풍 ’ 과 ‘ 경설 ’ 에 나타난 삶의 태도를 비교하여 말할 수 있다. 1. ‘ 폭풍 ’ 과 ‘ 경설 ’ 에 나타난 삶의 태도를 비교하여 말할 수 있다. 2. 서로 다른 주장에 대해 근거를 들어 말할 수 있다.
제목 ( 책이름 ) : 기차 ㄱㄴㄷ. ㄱ ( 기역 ) : 기다란 기차가 칙칙폭폭 갑니다.
영화초등학교 5-3 최단비. 목 차 1. 실험 동기 2. 실험 방법 3. 가설 4. 실험 과정 5. 실험 1~8 6. 실험결과 7. 결론 8. 더 알고 싶은 점.
( 삼상 1:1-28)  이름의 뜻 : “ 은혜로운 ”  중요한 성경구절 삼상 1, 2 장  가족 배경  한나에 대한 이야기는 삼상 1,2 장에서만 발견  한나의 남편 엘가나는 레위인 ( 가장 명예로운 가문 )  한나는 잉태치 못하였다. 브닌나는 한나를 멸시함.
→ 「 too+ 형용사 [ 부사 ]+to 부정사」는 ‘ 너무 ~ 해서... 할 수 없다 ’ 라는 의미 로 이때의 to 부정사는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으로 쓰였다. too ~ to 용법 A → 「 so+ 형용사 [ 부사 ]+that+ 주어 +cannot+ 동사원형」으로.
소단원 학습 활동 [1] 바르게 읽고 말하기. 다음 빈칸을 채우며 국어 음운의 체계를 파악해 보자. 1 비분절 음운 자음 모음 소리의 길이.
2. 이렇게 하 면 돼요. 지도교사 : 곽현모. 공부한 내용 확인하기 국어사전이란 ? 우리가 쓰는 낱말의 뜻을 설명해 놓은 책.
★ 글자가 짜인 순서 ★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ㅅ ㅆ ㅇ ㅈ ㅉ ㅊ.
4. 음운의 변동 얘들아, ‘ 신라, 국물 ’ 의 발음은 왜 [ 실라 ], [ 궁물 ] 이 되는 걸까 ?
훈민정음 훈민정음을 만든 이유, 역사적 가치, 만들어진 시대, 훈민정음의 분류의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 청각 장애인에 대한 에티켓 ◀ 1. 대화를 할 때 수화 뿐만 아니라 입도 사용한다. 2. 입 안에 껌 등을 씹으며 말하지 않는다. 3. 얼굴의 표정을 조심한다. 4. 듣지 못한다고 하여 건청인 ( 말하고 듣 는 사람 ) 끼리 속삭이지 않는다.
By 5 학년 2 반 전유주 년 5 월 1 일 ( 음력 3 일 ) 눈썹 모양의 초승달을 관찰했다.
* 듣말쓰 92~95 쪽 (6/6 차시 ) ‘ 어머나 ’ 노래 부르기 오늘 이 시간에 우리가 공부할 내용은 무엇일까요 ?
배소영 한림대 언어청각학부 다문화, 다언어 사용 아동의 학습지원 배소영 한림대 언어청각학부
1.
(1) 말소리와 발음 갈래 : 설명문 성격 : 체계적, 해설적, 객관적 제재 : 우리말의 음운
4. 알고 싶은 것, 묻고 싶은 것 ⑴ 국어의 음운 체계와 변동 이해하기.
국어 문법 수업 자료 음운의 체계 독서와 문법 수업 자료 수업자료 전체
☆훈민정음을 만든 사람 ☆훈민정음을 반포한 날 ☆훈민정음을 만든 이유 ☆훈민정음의 원리
영화 로 배우는 창의성 카툰경영연구소 최 윤 규.
5. 알아보고 떠나요 * 듣말쓰 92~95쪽 (6/6차시).
많은물소리찬양단 “내가 여호와께 바라는 한가지 일 그 것을 구하리니 곧 내가 내 평생에 여호와의 집에 살면서 여호와의 아름다움을 바라보며 그의 성전에서 사모하는 그것이라” (시편27:4)
Teaching Hangul Effectively to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A B C 어린이 영어노트 학원 표지 - 1.
14주 실습강의 학기, 소프트웨어 설계 및 실험(Ⅰ).
한글 모아쓰기 automata 세종대왕과 컴퓨터를 연결하다 KAIST 전산학과 최광무.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까만 하늘 귀뚜라미 울음소리.. 별이 빛나는 밤.
한글반포 562돌 기념 학술세미나 온누리 한글의 유니코드(Unicode) 적용방안 연구
교 독 문 48. 고린도전서13장.
d g b a z w h j x l k y s n m c p [ t v r q
코다이 교수법 이 가 원.
학습 주제 p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될까?(1).
[3-01 음운] (1) 음운 체계 자음 체계 모음 체계 운소
5. 설명의 방법 설화 속의 호랑이.
큐맨 PPT 활용법 매 달마다 큐맨이 나와서 직접 몸동작으로 정답을 알려주는 방법 외에 PPT를 활용한 방법을 제시해 드립니다. 큐맨이 등장해서 PPT 퀴즈 형식을 설명한 후, 힌트를 보여줍니다. 주제를 변경하실 때에는 PPT 수정이 가능하오니 원하시는 주제로 변경하여.
신고산 타령 2학년 음악과 생활 교시.
(생각열기) 타이완의 소수 민족 요리중에는 달궈진 돌을 물에 넣어 끓 이는 해물탕이 있다. 돌을 넣는 이유는?
(생각열기) 거울과 일반적인 물체에서 빛은 어떻게 반사 되는가?
다윗과 골리앗 (사무엘상17장43~49) 43 그 블레셋 사람이 다윗에게 말하기를 "네가 막대기를 가지고 내게 오다니 내가 개냐?" 하고, 자기 신들의 이름으로 다윗을 저주하며, 44 다윗에게 말하기를 "내게 오너라. 내가 네 살을 하늘의 새와 들의 짐승들에게 주겠다."
P 등속 직선 운동 생각열기 – 자동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릴 때, 속력계 바늘이 일정한 눈금을 가리키며 움직이지 않을 때가 있다. 이 때 자동차의 속력은 어떠할까? ( 속력이 일정하다 .)
01 이생규장전 (李生窺墻傳) _ 김시습(金時習).
한국어의 자음들 - 평음, 경음, 격음을 중심으로 중국해양대학교 한국연구소 특강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다양한 국가의 인사말과 인사법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한국어 교실 한국어 글자들 자음과 모음.
고등학생을 위한 성교육 7단원: 음란물, 나의 미래를 좀먹는다
인사의 기본 자세 때와 장소에 맞는 인사말 11차시(언어예절 ½) 인사말 지도/라화자 선생님, 윤상홍 선생님
햄버거가 만들어내는 사회·생태적 문제는?.
(2) 국어의 음운 단모음과 이중모음 단모음 체계 자음 체계.
BMC 한국경영인력연구원 2011년 자기 혁명/자기 혁신 제안서
다윗과 골리앗 사무엘상 17 :
절제된 감정의 형상화 국 어 1학년 1학기 6. 노래의 아름다움 > (4) 유리창 > 10/12)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 교육 방안 (학습자 연령에 따른 한국어 교육)
3 국어의 이해와 탐구 음운의 개념과 체계 음운 변동 01 음운 02 단어 03 문장 04 담화 | 단 원 구성 |
한국과학원(KAIS) 석사학위논문, 최광무
한국과학원(KAIS) 석사학위논문, 최광무
한국과학원(KAIS) 석사학위논문, 최광무
국어 문법 수업 자료 외래어 표기법 독서와 문법 수업 자료 어느 것이 맞을까요 Cup : 컾 Rocket : 로켓
미 술 5 학년 4.이야기 세상 (5-6/6) 초기화면 마술 그림을 그리고 작품 감상하기.
Ⅰ-3. 담화 관습과 윤리 의식 소단원 핵심 정리  (3) 담화 관습과 윤리 의식 고등 화법과 작문(박영목)
1. 강의 소개 컴퓨팅적 사고와 문제해결.
초기화면 음 악 6 학년 23.쾌지나 칭칭 나네 (1/3) 메기고 받는 소리 익히기.
성경 인물 중 산수를 제일 못하는 사람은? . 성경 인물 중 산수를 제일 못하는 사람은?
스물여덟 자를 하여금 쉽게 익혀 매일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만드니 사람마다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5. 오늘로 이어지는 한국 문학 (2) 제망매가.
Presentation transcript:

문법 용어만 알면 다 아는 거야!

글을 이루는 단위 글(말) 문단 문장 구, 절 어절 낱말(단어) 음절 음운

밤 음절 ㅂ 첫소리 ㅏ 가운뎃소리 ㅁ 끝소리

밤 감 방 봉 봄 곰 음운 ㅂ ㅁ ㅏ ㄱ ㅇ 분절음운 ㅗ 밤 밤 비분절음운

자음 g j s kk d jj ss tt k ng ch b n t pp r p m h

자음 b d g tt pp kk p t k j jj ch s ss h n m ng r 입술소리 (순음) 잇몸(혀끝)소리 (치조음) 센입천장소리 (경구개음) 여린입천장소리 (연구개음) 목청 소리 (후음) 안 울림소리 파열음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파찰음 마찰음 (거센소리) 울림 비음 유음 자음 b d g tt pp kk p t k j jj ch s ss h n m ng r

자음 ㅂ ㄷ ㄱ ㅌ ㅃ ㄲ ㅍ ㄸ ㅋ ㅈ ㅉ ㅊ ㅅ ㅆ ㅎ ㄴ ㅁ ㅇ ㄹ 입술소리 (순음) 잇몸(혀끝)소리 (치조음) 센입천장소리 (경구개음) 여린입천장소리 (연구개음) 목청 소리 (후음) 안 울림소리 파열음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파찰음 마찰음 (거센소리) 울림 비음 유음 자음 ㅂ ㄷ ㄱ ㅌ ㅃ ㄲ ㅍ ㄸ ㅋ ㅈ ㅉ ㅊ ㅅ ㅆ ㅎ ㄴ ㅁ ㅇ ㄹ

모음 ㅡ ㅜ ㅣ ㅗ ㅔ ㅓ ㅐ ㅏ

모음 혀 턱 전설모음 후설모음 원순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ㅣ ㅡ ㅜ ㅔ ㅓ ㅗ ㅐ ㅏ

모음 단 모음 이중 모음 ㅏ ㅓ ㅗ ㅜ ㅡ ㅣ ㅐ ㅔ ㅚ ㅟ 10개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ㅝ ㅢ ㅙ ㅞ 11개 ㅏ ㅓ ㅗ ㅜ ㅡ ㅣ ㅐ ㅔ ㅚ ㅟ 10개 이중 모음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ㅝ ㅢ ㅙ ㅞ 11개 이중모음 : 반모음+단모음 반모음 : 모음의 특성을 지니지만, 다른 모음과 (=반자음) 결합해야 소리가 나는 모음 (ㅣ[j], ㅗ/ㅜ[w] ) 

“ 3연 ” “수많은 세월이 흘러 우리 만족의 문명(역사)가 시작되었다.” 시간을 꽃에 비유 역사를 동적인 강물에 비유 구절 연구 “ 3연 ” “수많은 세월이 흘러 우리 만족의 문명(역사)가 시작되었다.” 시간을 꽃에 비유 역사를 동적인 강물에 비유

“ 4연 ” “시련이 크지만 그것을 이겨내고 지조를 지키고 있으니 나는 작지만 희망의 노래를 부르노라.” 구절 연구 “ 4연 ” “시련이 크지만 그것을 이겨내고 지조를 지키고 있으니 나는 작지만 희망의 노래를 부르노라.” 눈 – 시련, 매화 향기 – 기개, 지조 아득하다 – 은은하다 (자기 희생)

“ 5연 ” “미래에 새로운 시대가 와서 기쁨의 오래를 크게 부르게 하리라” 천고의 뒤 – 천 년 뒤(X), 중요한 때 구절 연구 “ 5연 ” “미래에 새로운 시대가 와서 기쁨의 오래를 크게 부르게 하리라” 천고의 뒤 – 천 년 뒤(X), 중요한 때 초인 – 민족사를 꽃 피울 인물 초인이 있어 - 확신

학습활동 가장 인상적인 구절 (예시) 이 시에서 가장 인상적인 구절을 고른다면,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라는 구절을 고르겠어. 이 부분에서는 힘들고 암울했던 시대에도 의지를 굽히지 않고 자신이 생각하는 옳은 일, 옳은 방향을 지향하는 시인의 의식이 드러나. 또 시인의 생애가 이 시구와 결합하면서, 우리 민족의 밝은 미래를 위해 자신을 희생하겠다는 숭고한 정신이 감동을 주기 때문이야.

아름다움을 실현하고 있는 표현 음악성 ~랴, ~라 로 끝냄 각 연이 3행. 각 행이 점점 길어짐 학습활동 아름다움을 실현하고 있는 표현 음악성 ~랴, ~라 로 끝냄 각 연이 3행. 각 행이 점점 길어짐 형상성 1연 – 시각화, 청각화 2연 – 역동적 시각화 3연 – 시간을 시각화 4연 – 현실을 시각화

함축성 “매화 향기~아득하니” - 민족 정신, 기개가 은은하고 그윽함 “내 여기 ~뿌려라” - 자기 희생적 의지 학습활동 아름다움을 실현하고 있는 표현 함축성 “매화 향기~아득하니” - 민족 정신, 기개가 은은하고 그윽함 “내 여기 ~뿌려라” - 자기 희생적 의지 “백마 타고 오는 초인” - 위대한 민족적 지도자 “광야에서~하리라” - 새로운 역사에 대한 확신

를 만들어 보자. 괜찮아? 괜찮아! 까마득한 날에 하늘이 처 처? 퍽! 부지런한 계절이 피여 선 지 피여? 퍽! 선지피여? 코피여! 코피! 백마 타고 오는 초인이 있 어 이 어이? 퍽! 내가 니 친구야? 그게 아니고…

1. 이 시의 표현상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시간적 순서에 따라 시상 전개 ② 언어의 상징 기능 중시 수능체험  1. 이 시의 표현상 특징이 아닌 것은? ① 시간적 순서에 따라 시상 전개 ② 언어의 상징 기능 중시 ③ 북방적 정서, 웅장한 상상력, 남성적 어조 ④ 연과 행의 배열이 규칙적 ⑤ 낭만적, 목가적 태도

수능체험  2. 백마 타고 올 초인은? 나,불렀어?

3. ‘희생양 모티브’가 드러난 시행은? ① 어데 닭 우는 소리 들렸으랴 ② 바다를 연모해 휘달릴 때도 수능체험  3. ‘희생양 모티브’가 드러난 시행은? ① 어데 닭 우는 소리 들렸으랴 ② 바다를 연모해 휘달릴 때도 ③ 부지런한 계절이 피여선 지고 ④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 ⑤ 백마 타고 오는 초인이 있어

4. “큰 강물이 길을 열었다”의 의미는? ① 투쟁의 선언 ② 역사의 시작 ⑤ 문화의 번창 ③ 광야의 개척 ④ 세월의 경과 수능체험  4. “큰 강물이 길을 열었다”의 의미는? ① 투쟁의 선언 ② 역사의 시작 ⑤ 문화의 번창 ③ 광야의 개척 ④ 세월의 경과

수능체험  5. “매화 향기”와 대립적인 시어는? ① 하늘 ② 바다 ⑤ 광야 ③ 계절 ④ 눈

② 이러매 눈 감아 생각해 볼밖에 /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수능체험  6. <보기>의 밑줄 친 부분과 관련이 있는 연은? 오늘의 현실을 과거의 결과이자, 미래의 원인으로 봄으로써, 현실의 문제들이 가지는 의미와 그에 대처해 나가는 인간의 행위를 미래에 대한 책임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제시하는 것을 역사 의식이라 한다. ② 이러매 눈 감아 생각해 볼밖에 /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4연

숙제 243쪽 혼자하기 3번 해 오기

‘여승’의 내용 과 오랜만에 만남 여승 처음 만났을 때 의 모습 여인 비극적인 1연 2연 3연 그 동안 여인의 삶 4연 처음 만났을 때 의 모습 여인 3연 그 동안 여인의 삶 비극적인 4연 여승이 되려고 하는 여인 삭발

** 낭만주의와 사실주의 1. 이 시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역순행적인 구성 ② 일상어의 시어화 수능체험  1. 이 시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역순행적인 구성 ② 일상어의 시어화 ③ 낭만주의 경향 ④ 절제된 감정 표현 ⑤ 선명한 이미지의 구현 ** 낭만주의와 사실주의

① 여인은 삭발하고 여승이 되었다. ② 금점판을 돌며 행상을 했었다. ③ 남편은 집 나간 후 소식이 없다. 수능체험  2. 이 시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여인은 삭발하고 여승이 되었다. ② 금점판을 돌며 행상을 했었다. ③ 남편은 집 나간 후 소식이 없다. ④ 딸이 죽기 전까지 기다렸다. ⑤ 딸은 도라지꽃이 핀 돌무덤을 좋아했다.

3. 시간상 가장 나중에 일어난 일은? ① 남편이 집을 나감 ② ’나’와 여승이 만남 ③ 딸아이가 죽음 수능체험  3. 시간상 가장 나중에 일어난 일은? ① 남편이 집을 나감 ② ’나’와 여승이 만남 ③ 딸아이가 죽음 ④ ’나’와 여인이 만남 ⑤ 여인이 옥수수 행상을 함

4. 이 시를 소설로 쓴다면 시점은? ① 1인칭 주인공 ② 1인칭 관찰자 ③ 전지적 작가 ④ 작가 관찰자 수능체험  4. 이 시를 소설로 쓴다면 시점은? ① 1인칭 주인공 ② 1인칭 관찰자 ③ 전지적 작가 ④ 작가 관찰자 ⑤ 소설로 쓸 수 없다.

5. 다음 중 정서가 다른 하나는? ① 가지취 ② 녯날 ③ 가을 밤 ④ 산꿩 울음 소리 ⑤ 머리오리 수능체험  5. 다음 중 정서가 다른 하나는? ① 가지취 - 속세를 떠난 지 오래된 상황을 나타낸다. ② 녯날 ③ 가을 밤 ④ 산꿩 울음 소리 ⑤ 머리오리

수능체험  6. 이 시에 담긴 화자의 태도는? ① 냉소적 ② 객관적 ③ 회의적 ④ 동정적 ⑤ 부정적

7. 화자와 대상 사이의 심정적 거리가 가장 가까운 구절은? 수능체험  7. 화자와 대상 사이의 심정적 거리가 가장 가까운 구절은? ① 가지취 내음새가 났다. ② 나는 불경처럼 서러웠다. ③ 나 어린 딸아이를~차게 울었다. ④ 섭벌같이 나아간~십 년이 갔다. ⑤ 어린 딸은~돌무덤으로 갔다.

수능체험  ** “눈물 방울과 같이”의 이중적 의미는? ① 눈물 방울 처럼 ② 눈물 방울과 함께 중의법 청산리 벽계수야…명월이…

수양산 바라보며 이제를 한하노라. 주려 죽을진들 채미도 하난 것가. 비록애 푸새엣 것인들 긔 뉘 따해 났다니 중의법 수양산 바라보며 이제를 한하노라. 주려 죽을진들 채미도 하난 것가. 비록애 푸새엣 것인들 긔 뉘 따해 났다니 나 요새 좀 되지! 되지, 돼지, 고되지 장난이 몹시 심한, 심각한 표정의 … 심각한 개구장이

수능체험  8. 다음 중 여승의 이미지와 어울리는 사람은?

수능체험  8. 다음 중 여승의 이미지와 어울리는 사람은?

수능체험  8. 다음 중 여승의 이미지와 어울리는 사람은?

수능체험  8. 다음 중 여승의 이미지와 어울리는 사람은?

수능체험  8. 다음 중 여승의 이미지와 어울리는 사람은?

9. <청산별곡>과 <어부사시사>의 공통점으로 알맞은 것은? 수능체험  9. <청산별곡>과 <어부사시사>의 공통점으로 알맞은 것은? ① 규칙적인 운율 <청…>은 3음보 <어…>는 4음보 ② 안분지족의 태도 ③ 감정을 과장적으로 노출 ④ 감정 이입의 수법 ⑤ 체념적 정서

9. <청산별곡>의 ‘청산’과 <어부사시사>의 ‘천텹옥산’의 차이점은? 수능체험  9. <청산별곡>의 ‘청산’과 <어부사시사>의 ‘천텹옥산’의 차이점은? ① 이상적 자연 – 초월적 세계 ② 현실 도피처 – 풍류적 인간 ③ 고난의 현실 – 수양의 공간 ④ 낭만적 공간 – 생계의 터전 ⑤ 비속한 현실 – 고매한 정신

10. <진달래꽃>과 <광야>에 대한 서술로 옳지 않은 것은? 수능체험  10. <진달래꽃>과 <광야>에 대한 서술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진>은 가상적 상황을 설정 ② <광>은 지시적 의미 중시 ③ <진>은 수미쌍관식 구성 ④ <광>은 남성적 어조 ⑤ <진>과 <광>은 모두 규칙적으로 행 배열

11. <진달래꽃>의 ‘진달래꽃’에 대응하는 시어를 <보기>에서 찾으면? 수능체험  11. <진달래꽃>의 ‘진달래꽃’에 대응하는 시어를 <보기>에서 찾으면? <보기> 신이나 삼아 줄 걸 슬픈 ①사연의 올올이 아로새긴 ②육날 메투리 ③은장도 ④푸른 날로 이냥 베어서 부질없는 이 ⑤머리털 엮어 드릴 걸 - 서정주 <귀촉도> -

12. <유리창>과 <여승>의 공통점에 대한 서술로 적절한 것은? 수능체험  12. <유리창>과 <여승>의 공통점에 대한 서술로 적절한 것은? ① 인생에 대한 철학적 사유 ② 관찰자의 입장에서 서술 ③ 대상을 객관적으로 묘사 ④ 역설적 어법 ⑤ 감정을 절제하여 표현

거울이아니었던들내가어찌거울속의나를만나보기라도했겠소 – 이상<거울> - 수능체험  13. <유리창>의 ‘유리’의 이미지와 가장 유사한 것은? ① 거울때문에나는거울속의나를만져보지못하는구료마는 거울이아니었던들내가어찌거울속의나를만나보기라도했겠소 – 이상<거울> -

유리를 입으로 쪼다. 아아, 항 안에 든 금붕어처럼 갑갑하다. -정지용 <유리창2> - 수능체험  13. <유리창>의 ‘유리’의 이미지와 가장 유사한 것은? ② 돌아서서 자리로 갔다 나는 목이 마르다. 또 가까이 가 유리를 입으로 쪼다. 아아, 항 안에 든 금붕어처럼 갑갑하다. -정지용 <유리창2> -

막차는 오지 않았다. 대합실 밖에는 밤새 송이눈이 쌓이고 흰 보라 수수꽃 눈 시린 유리창마다 톱밥 난로가 지펴지고 있었다. 수능체험  13. <유리창>의 ‘유리’의 이미지와 가장 유사한 것은? 막차는 오지 않았다. 대합실 밖에는 밤새 송이눈이 쌓이고 흰 보라 수수꽃 눈 시린 유리창마다 톱밥 난로가 지펴지고 있었다. - 곽재구 <사평역에서> -

밖으로 열리는 눈을 즐겁게 하고, 답답한 사람의 내부를 즐겁게 한다. 수능체험  13. <유리창>의 ‘유리’의 이미지와 가장 유사한 것은? 창은 외경(外景)을 네모진 액틀에 끼워 방 안의 답답한 하루를 위무한다. 밖으로 열리는 눈을 즐겁게 하고, 답답한 사람의 내부를 즐겁게 한다. - 박남수 <창2> -

빛 뿌리는 기억의 들판을 출렁이는 내일의 바다를 날다가 깜깜한 절벽 헤어날 수 없는 미로에 부딪치곤 까무라쳐 돌아온다. 수능체험  13. <유리창>의 ‘유리’의 이미지와 가장 유사한 것은? 빛 뿌리는 기억의 들판을 출렁이는 내일의 바다를 날다가 깜깜한 절벽 헤어날 수 없는 미로에 부딪치곤 까무라쳐 돌아온다. - 정한모 <나비의 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