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복의 평상복 바지, 저고리는 우리 옷의 기본 형태로서 신분 구별없이 착용하였다. 바지(袴)는 상고시대부터 남녀 구별없이 착용되었는데 통이 좁아 활동적이던 것이 중국의 영향으로 통이 넓어졌다. 저고리는 삼국시대에는 소매, 깃, 부리, 도련에 선을 붙였고 길이가 길어 허리띠를.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3-4 주빈, 신예린 목차 탐구 동기와 탐구 일시 및 장소, 참고 자료 갯벌이란 ? 갯벌 탐사에 사용되는 도구 (1,2) 유명한 갯벌 ( 우리나라 ), 여러 갯벌 축제 갯벌이 만들어지는 조건 람사르 협약이란 ? 람사르 협약에 가입된 우리나라 생태지 밀물과 썰물 갯벌에.
Advertisements

응 급 처 치 법응 급 처 치 법 응 급 처 치 법응 급 처 치 법. 응급처치법 1) 현장조사, 의식확인, 연락 현장은 안전한가 조사한다. 119 나 응급의료기관에 연락한다. 발바닥을 간지럽히거나 가볍게 꼬집어 본다. 0 ~ 4 분 4 ~ 6 분 6 ~ 10 분 10.
태전초 6 학년 4 반 김예림 정의 여자예복인 원삼이나 활 옷의 소매끝에 댄 흰색 감. 내용 : 웃어른에게 손을 보 이지 않는 예 ( 禮 ) 를 갖추 기 위하여 만든 것이다. 나비는 30 ∼ 50 ㎝인데 원 삼에는 홑겹으로 하였고, 활옷에는 겹으로 하였으 며 백비도.
아름다운 우리 광주 신문 번 김현지. 아름다운 우리 광주 신문 BC 5 에 하남 위례성에서 천도해 온 이후 신라 문무왕 12 년 (AD 672) 토성 ( 주장성, 일장성라 칭함 ) 으로 축성하였고, 조선 광해군 13 년 (1621 년 ) 에 후금의 침임을.
트렁크 안에서 천정을 보았을 때 무늬와 같은 형태의 홈이 있습니다. 트렁크 실내등 트렁크 스프링 앞으로 볼링핀 모양 이라 부르겠 습니다.
훈민정음 훈민정음을 만든 이유, 역사적 가치, 만들어진 시대, 훈민정음의 분류의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도덕적 성찰 준거의 의미와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학습 목표 올바른 도덕적 성찰의 준거를 설명할 수 있다.
과채류 ( 수 박 ) 발표자 : 농어업조사과 장 천 숙. 목 차 1 월별 작업 흐름 2 재배 방법 3 병충해 방지 4 수박의 효능.
주제 – 식물에 자외 선차단제를 바르면 어떻게 될까 ? 주제선정이유 우리는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면 타지 않는데 식물은 어떤 반응을 나타낼까 궁금해서.
첨성대 만든 사람: 정성현, 천종현.
경주 수학여행 6학년 5반 15번 유송연.
경주 수학여행 보고서 조원 : 김민석, 유혜성, 목진호, 박병열.
조용한 음악과 시끄러운 음악을 들려 주었을 때 식물성장 변화 관찰
☆훈민정음을 만든 사람 ☆훈민정음을 반포한 날 ☆훈민정음을 만든 이유 ☆훈민정음의 원리
과학 과제물 양파실험 5학년1반 박채빈.
어린이 교통안전 학습자료 비·바람 불 때의 안전한 보행법 교사용 초등학교 교과서 연계
야구 글러브에 대한 것 5학년 4반 6번 백경렬.
용주사 보고서 6-5 / 16번 / 장경서.
若者文化 김현주 이규혁 박현빈 전인성 임준형.
瑞山 가는 길 지난 10월 31일 07:00 ~ 11월 01 21:00 서해안 여행을 했습니다
여자 한복 기술가정 2학년 1학기 1.옷의 마련과 관리> 3) 옷 입기>5-6/7 [제작의도] [활용방법]
상처와 출혈 응급처치 한국산업안전공단.
생 각 하 기 1. 내가 생각하는 어린이란? 2. 내가 생각하는 어른이란? 3. 어른이 된다는 것 은?
북한의 음식 북한음식…..
취업/자기계발동아리 참가자 오리엔테이션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각주구검(刻舟求劍) - 刻 새길 각 舟배 주 求구할 구 劍칼 검 판단력이 둔하여 세상일에 어둡고 어리석다는 뜻
이리신광교회 건축관련보고 문준태 익산시노인종합복지관장.
개인용 전자오락실 설계.
이문서는 나눔글꼴로 작성되었습니다. 설치하기
무게중심으로 최적의 안정적인 팽이를 찾아라 03김동균, 04김문성, 09박 홍, 10서영우.
종이헬리콥터 하귀일초등학교 5-1 양현석.
제주북초등학교 6학년 심화반 김학선 지도교사 : 고동림 선생님
관찰일지 양파 기르기 오명현.
안전교육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
실험관찰보고서 4학년 난초반 노성래.
서양복식사 (고대 그리스).
다윗과 골리앗 (사무엘상17장43~49) 43 그 블레셋 사람이 다윗에게 말하기를 "네가 막대기를 가지고 내게 오다니 내가 개냐?" 하고, 자기 신들의 이름으로 다윗을 저주하며, 44 다윗에게 말하기를 "내게 오너라. 내가 네 살을 하늘의 새와 들의 짐승들에게 주겠다."
혜원 신윤복 [申潤福, 1758~. ] 조선 후기의 풍속화가
피부의 구조와 기능 피부로 읽는다. 피부의 감각점 피부 감각점의 분포와 자극의 민감도.
자전거 기어의 원리 한림초등학교 6학년수학영재 임지혁.
3주차 오늘은 2주차에 만든 모형의 문제점이 뭘까 생각하면서 더 멀리 날아갈수 있게
김은영 수줍은 자기소개서☞☜.
조복(朝服) 조선시대 문무백관들이 조하(朝賀)나 의식 때 입던 관복
레포트 : 4조 역사 과목 : 보육시설 운영과 관리 현추자 교수님 서울 교육원 B반 31번 서수희.
3-5. 태양계와 행성(2).
P 탄성력과 마찰력 생각열기 – 높이뛰기 세계 신기록은 약 240cm 인데, 장대높이뛰기 세계 신기록은 약 620cm 이다. 이렇게 차이가 나는 까닭은? ( 높이뛰기는 다리의 근육의 힘으로 뛰는 반면 장대높이 뛰기는 장대의 탄성력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종이비행기가 잘 날기 위한 조건 만든이:김윤성.
서양복식사 (고대 이집트).
제 8강. 영유아 발달과 보육프로그램.
장미의 궁금증을 풀어보자! 만든이:장유나.
사이클로이드실험을 하고 느낀점.
대류(帶類) 1.5 삽금대(鈒金帶) : 조선시대 정2품의 관원이 조복 상복에 띠던 띠. 홍색 비단으로 만든 띠에 조각한 띠돈을 부착하여 만듬 2. 서대(犀帶) : 서각으로 띠돈을 하여 만든 관대, 1품 관원의 조복,제복, 공복, 상복에 띠었다. 비단으로 띠를 만들고 서각을.
1. 정투상법 정투상법 정투상도 (1) 정투상의 원리
한복에서 추위에 적합한 모습 찾기 사회 5학년 1학기
3조:김다영,나민지, 서빛나,송영호, 장연정,연희 발표자:서빛나
기본 테이블 스타일링 학교 : 대경대학 푸드과 학번 : 이름 : 김예림 과목 : 양식 테이블 세팅
한복 5학년 5반 15번 김수민.
4분의 기적, 심폐소생술 1.
5.1-1 전하의 흐름과 전류 학습목표 1. 도선에서 전류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장신구 4학년 5반 김도형.
상차림과 식사 예절.
제주북초등학교 영재학급 기초반 김지원 지도 교사 : 김대진 선생님
royal albatross 노랑코 albatross albatross 날개길이 : 약 315 cm 체중 : 8 ~ 11 kg
1 끼임 1 크레인 취급 작업 2 화재/폭발·파열 3 물체에 맞음 4 떨어짐 5 부딪힘 2 지게차 취급 작업
1장 C 언어의 개요 C 언어의 역사와 기원 C 언어의 특징 프로그램 과정 C 프로그램 구조 C 프로그램 예제.
고기압과 저기압이 이동하는 위치 예상하기 수업활동.
6.3-4 탄성력에 의한 위치 에너지 이 단원을 배우면 탄성력에 의한 위치 에너지를 설명할 수 있다.
Ⅱ. 생활 속의 과학 탐구 7. 생활 주변에서 탐구 가능한 질문 찾아 수행하기 과학탐구실험 고등학교 탐구 목표 단원 열기
2강. 경학의 개념과 기혈 대체의학 강사 박지혜
Presentation transcript:

노인복의 평상복 바지, 저고리는 우리 옷의 기본 형태로서 신분 구별없이 착용하였다. 바지(袴)는 상고시대부터 남녀 구별없이 착용되었는데 통이 좁아 활동적이던 것이 중국의 영향으로 통이 넓어졌다. 저고리는 삼국시대에는 소매, 깃, 부리, 도련에 선을 붙였고 길이가 길어 허리띠를 매어 여몄으나 고려시대부터 짧아져 고름을 달아 사용하였다. 이 그림은 솜 바지 저고리를 입고 탕건을 쓰고 주머니를 차고 손목에 토시(방한용)를 끼고 장죽을 물고 있는 모습이다.

노인의 외출복 바지, 저고리 위에 두루마기를 입고 갈모를 썼다. 갈모는 개화기부터 착용한 것으로 비오는 날 외출할 때 갓 위에 덧쓰던 우구이다. 댓살을 우산과 같은 형태로 만들고 유지(油紙)를 발라 만들어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름 38cm, 높이 32cm 정도 크기이다.

도 롱 이 농부들이 비 오는 날 일을 할 때 착용하던 우장의 한 가지. 짚이나 띠를 엮어서 겉쪽에 줄기가 포개어지도록 만들어 빗물이 스며들지 않고 흘러 내리게 했다. 두 개를 만들어 하나는 허리에, 하나는 어깨에 끈을 넣어 묶었으며 머리에는 삿갓을 썼다.

농 부 복 농부도 다 같이 바지 저고리를 입었다. 개화기부터는 조끼가 유입되어 저고리 위에 착용하였으며 행동이 간편하도록 끈으로 발목을 동여 매었다. 햇볕이 뜨거운 날은 방갓을 쓰기도 하고, 신은 짚신을 주로 신었다.

보부상 보부상은 조선시대 상인의 하나로, 물건을 등에지고 다녔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바지, 저고리에 양쪽에 큼직한 목화송이를 얹은 패랭이를 쓴 것이 특징이다. 패랭이는 고급 관모가 나온 뒤로 신분이 낮은 역졸, 보부상, 천직을 가진 사람들이 썼는데 역졸은 검은 칠을 하였다.

승복ㆍ연화관 장삼 위에 가사를 착용하고 머리에는 연꽃 모양으로 만든 연화관(蓮花冠)을 쓰고, 염주를 목에 걸고 목탁을 손에 들고 있는 모습이다. 왼쪽 어깨 위에 걸친 가사는 108쪽으로 만들었고 염주도 108개의 구슬로 만들었다. 108번뇌를 잊고 성불하기 위한 최대의 염원이 담겨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