젖병 충치 조원: 2012111104 임소희 2012111105 임아람.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농도 퍼센트 농도 용액 (2) 내 안에 너 있다 !. 학습 목표 용액의 묽고 진한 정도를 결정하는 요인을 설 명할 수 있다.
Advertisements

소중한 우리 아이 치아건강 지키기 김 선 미 교수 전남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 치아의 일생 유치 ( 젖니 ) 20 개 28 개 영구치.
크리스마스 김하은. 크리스마스란 ? 크리스마스란 즉 성탄절을 말하는 것인데, 세 계 4 대 성인으로 손꼽히는 인물 중 하나인 예수가 태어난 날을 기념하는 날이다. 이 날에는 곳곳에서 화려한 조명으로 장식을 하고 집에서는 트리를 장식하며 가족과 즐 거운 시간을 보낸다.
선행선행 죄 죄 구원구원 선행 ※ 경기 규칙 1. 윷놀이의 아래를 제외한 대부분의 규칙은 동일하다. 2. 이 윷놀이의 궁극적인 목적은 험한 세상을 지나 천국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3. 윷놀이를 하다가 앞서 가고 싶은 욕심 때문에 ‘ 죄 ’ 칸에 멈춰서면 반드시 목욕탕으로.
영화초등학교 5-3 최단비. 목 차 1. 실험 동기 2. 실험 방법 3. 가설 4. 실험 과정 5. 실험 1~8 6. 실험결과 7. 결론 8. 더 알고 싶은 점.
액체의 따른 잉크의 확산 속도 조원 : 김연주 문나래 민예담 정선주 한수경 한혜원.
흙과 물에 따른 보리의 성장 초등과학 궁내초 4 학년 이주형, 김민재, 박지우 지도교사 궁내초 채현우, 이경자.
콜라에 우유를넣으면 ? 1 조 ( 이주상, 이문수, 정주현, 홍희진 ). - 모둠명 / 지은이유 - 탐구주제 / 탐구동기 - 역할분담 - 진행과정 / 실험내용 - 관련직업 차례.
소속 : 호성초부설영재학급 이름 : 이가현.  1. 연구동기 및 목적  2. 이론적 배경과 용어의 정의  3. 가설 및 연구방법  4. 실험 및 결과  5. 결론 및 알게 된 점.
신원중학교 1 학년 1 반 이름 : 김나연, 김태경, 정소윤, 조정하, 오건우. 차례 1. 탐구기간 및 탐구내용 2. 실험주제 및 실험동기 3. 실험계획 및 준비물 4. 예상 5. 시간에 따른 변화.
사과의 갈변현상을 막는 방법 박주현 ( 지도교사 김미정 ). 서론 1. 연구 동기 2.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이론적 배경 1. 사과가 갈변하는 이유 연구 내용 및 결과 1. 연구 가설, 기간 2. 연구 내용 및 결과.
2-4 과학 탐구 정은혜, 이상은, 김동희. 탐구 동기 더운 여름날 음식이 부패하는 것을 보고 어떤 음식에 가장 곰팡이가 많이 생길지 궁금해져서 탐구를 시도 하게 되었다.
주제 – 식물에 자외 선차단제를 바르면 어떻게 될까 ? 주제선정이유 우리는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면 타지 않는데 식물은 어떤 반응을 나타낼까 궁금해서.
[인격형성 ] [고양이 인생의 최대위기] [인류의 기원] (목)
TV 광고의 문제점 7모둠 장기혁 홍원표 김수린 신준화.
조용한 음악과 시끄러운 음악을 들려 주었을 때 식물성장 변화 관찰
실험관찰 : 곰팡이 영재학급 5학년 신 교 빈.
식생활지침 ..
☆훈민정음을 만든 사람 ☆훈민정음을 반포한 날 ☆훈민정음을 만든 이유 ☆훈민정음의 원리
강아지와 고양이 이름:방예지 5학년 3반 14번.
작도에 대하여 조사자 : 이준호 담당선생님 : 박문열 선생님.
우리 주님 모신 가정 복되고도 복된 가정 괴로우나 즐거우나 주를 위해 살아가리
이 세상 - 가 장 아 - 름 다 운 - 순종 의 눈 물 - 그가 오신 이유 1. 이 세상 가장 2. 온 세상 다시
1. 즐겁도다 이 날 세세 에 할 말 사망 권세 깨 고 하늘이 열 려 1. 즐겁도다 이날 2. 죽은 자가 다시
소금물과 설탕물 의 농도를 측정하는 간이 비중계 만들기 제북교 영재학급 5학년 김수용
사랑 받고 살아 왔 - 는 데 - 사랑 받고 살고 있 - 는 데 - 1. 사랑 받고 2.사랑 인줄 3. 혼자인 듯
거북이 키우기 조원 이윤혁 조성욱 허두형 배서정 이지현.
내분비계 99mTcO4- 갑상선 검사[Thyroid scan] 부갑상선 검사 요오드전신 검사
다니엘과 그의 친구 하나냐, 미사엘, 아사랴는 포로였지만 지혜가 탁월 하여 왕을 섬기기 위해 훈련을 받았다.
123장 - 저 들밖에 한 밤중에.
학과 : E-BIZ 경영학과 학번 : 이름 : 홍 지 애
관찰일지 양파 기르기 오명현.
휴식처(웃음 십계명) 1.크게 웃어라 크게 웃는 웃음은 최고의 운동법이며 매일 1분동안 웃으면 8일 더 오래 산다.
? ! 극성과 비극성, 이 둘은 무엇일까? 팀명:98% / 작성자:정해준 조장:정해준 조원:김동민, 최혁우, 김선혁.
말의 힘 풍영 초 등 학 교 교사 오은진.
1 내 가 주 를 처 음 만 났 을 때 외 롭 고 도 쓸 쓸 한 모 습 - 내가 주를 처음 만났을 때(주를 처음 만난 날)
생각열기 – 흰 장미꽃을 파란 장미꽃으로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1. 목 마른- 사슴이 - 시냇물 - 찾아 헤매듯 내 영혼 - 주 님을 - 1. 목마른 사슴이 2. 간절히 알기 원하네
실험관찰보고서 4학년 난초반 노성래.
3주차 오늘은 2주차에 만든 모형의 문제점이 뭘까 생각하면서 더 멀리 날아갈수 있게
강아지 길들이기 청솔대학 컴퓨터반.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과목명 : 과학 1학년 2학기 소화와 순환 > 영양소 [ 1 / 12 ] 영양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Ⅴ. 지각의 물질과 변화 5.1 지각을 이루는 물질.
411장- 아 내 맘속에 473.
210장-시온성과 같은 교회 245.
390장- 예수가 거느리시니 444.
원고지 사용법.
약식 진리표를 이용한 타당성 증명 진리표 그리기 방법의 한계
임산부 구강보건교육 신흥대학 치위생과 김민희.
과학 1 학년 6. 생물의 구성 3)조직과 기관 (7/7) 물 속의 작은 생물 관찰 수업계획 수업활동.
과학자유탐구 곽승희 주제-약이 가장 잘 녹는 액체는?.
S M A R T 유 주 영 김 상 현 최 기 훈.
1-5 용해도.
우유와 사이다가 식물 성장의 미치는 영향? 한림초등학교 5학년2반 김민지.
(생각열기) 요리를 할 때 뚝배기로 하면 식탁에 올라온 후에도 오랫동 안 음식이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526장 - 목마른 자들아 316.
간이 정수기 이혜진 김연우 송선 신기영.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P 86.
치카치카, 예쁜이 튼튼이 만들기!.
종이의 종류의 따른 물 흡수량 수원초등학교 6학년 이형민.
1. 저 높 은 곳을 향 하 여 날다 나아 갑 니 다 491장 1절 1. 저 높은 곳을 5. 괴롬과 죄가 9. 의심에 안개
1. 정한 물로 우리 죄 - 를 모두 씻어 주시 사 1. 정한 물로 우리 죄를 2. 주의 자녀 삼으시고
만 입이 내게 있으면 / 찬양하라 복되신 만 입 이 내 게 있 으 면 그 입 다 가 지 고.
5 60장- 영혼의 햇빛 예수여 67장.
1. 저 높고 푸른 하 늘 과 수 없 는 빛 난 별 들 을 1. 저 높고 푸른 하늘 2. 지으신 이는 창조주
1. 즐겁도다 이 날 세세 에 할 말 사망 권세 깨 고 하늘이 열 려 1. 즐겁도다 이날 2. 죽은 자가 다시
사과의 갈변현상 관찰하기 4-2 배형준.
P 물질의 세 가지 상태 - 생각열기 – Q. 자동차에 액체, 기체 상태의 물질이 들어 있는 곳은 어디인가?
Presentation transcript:

젖병 충치 조원: 2012111104 임소희 2012111105 임아람

목차 젖병 충치의 정의 젖병 충치의 원인 증상 & 치료법 젖병 충치의 사례 모유수유에 의한 충치 젖병 충치의 예방방법 느낀 점 출처 질문?

젖병 충치란 0~3세 발생 먹고 남은 우유나 모유가 윗입술과 이 사 이에 고여, 윗니 앞쪽부터 이가 하얗게 변 하는 질병이다. ‘우유병 우식증’이라고 불린다.

젖병 충치의 원인 대부분 충치는 탄수화물, 당분 등이 일으키지 만 음식물의 종류 뿐만 아니라 치아와 닿는 시 간이 길어질수록 충치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영 유아의 경우 젖병을 통해 발생되는 것이 대 부분인데 아기가 울거나 잠을 잘 때 젖병을 물 고 자는 아기의 경우 우유의 당분이 치아에 달 라붙어 산으로 변해 치아를 부식시킨다.

젖병 충치의 원인 아이가 잘 때 우유나 주스 또는 설탕이든 젖병을 물고 자게 되면 젖병충치가 생긴다. 아이가 잘 때 우유나 주스 또는 설탕이든 젖병을 물고 자게 되면 젖병충치가 생긴다. 또한 잘 때는 우유가 계속 남아 침의 분비 도 감소되어 더욱 충치가 쉽게 발생된다.

유치에 ‘우유병 우식증’에 걸리게 되면 영구치에 손상을 줄 수 있어 철저히 관리를 해 주어야 한다.

증상 초기에는 앞니에 하얀색 띠가 나타난다. 이후 진행이 계속되면 육안으로 쉽게 관찰 되는 적갈색을 띠며, 상태가 심해지면 검 은색을 띠는 충치가 이의 중간 부분 또는 이와 이가 맞닿은 부분에 생기게 된다. 이런 상태를 방치하면 이가 부서지고 잇몸 에 고름 주머니가 생기기도 한다. 아이의 앞니에 하얀 띠가 생기거나 부분적으로 아 이보리색을 띤다면 우유병 우식증일 가능 성이 높으므로 소아치과에서 검진을 받도 록 한다.

치료법 우유병 우식증의 치료는 정도가 미미할 경 우 불소 관리를 하며, 충치가 간단할 때는 썩은 부위를 제거하고 치아 색과 유사한 레진이라는 재료로 메운다. 많이 진행한 충치는 썩은 치아를 제거한 뒤 신경치료를 병행하며, 잇몸에 고름 주 머니가 생기고 이의 뿌리까지 녹은 경우에 는 영구치의 싹을 보호하기 위해 이를 뺀 다.

젖병 충치의 사례

동영상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 D&mid=tvh&oid=001&aid=0002707034

모유수유에 의해서도? 모유를 먹이는 경우도 우유병 우식증으로 부터 안전한 것은 아니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아기가 자다가 깨 면 젖을 물리는 엄마의 밤중 수유이다. 잠 이 깬 아이를 손쉽게 다시 재울 수 있는 가 장 간편한 방법이 젖을 물리는 것이라 대 부분의 엄마들이 밤중 모유수유를 하고 있 다.

모유수유에 의해서도? 밥을 오래 씹으면 침에 든 효소의 작용으 로 밥이 달게 느껴지는데, 입 속에 남아 있 는 모유나 우유도 오래 고여 있게 되면 마 찬가지다. 결국 아이는 설탕물에 이를 담 근 채 잠이 드는 셈인 것이다. 우유병을 물고 자면 모유수유에 비해 우유 병 우식증에 걸릴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을 뿐이다.

모유수유 사례 A씨는 18개월 된 딸아 이의 위쪽 앞니 2개에 불투명한 막이 덮인 것 을 발견했다. 치석이려 니 하고 넘겼지만 어느 날 홈이 파인 것을 보고 황급히 치과를 찾았다. 딸아이는 치아 우식증 상태. 아직까지 젖을 떼 지 못하고 밤에 모유를 먹이는 것이 문제라며 담당 의사는 모유수유 를 중단할 것을 권유했 다.

젖병 충치 예방법 1살 이후로는 밤에 우유를 물려 재우는 습관을 버리고, 젖병을 떼어야 한다.

젖병 충치 예방법 아이가 우유 달라고 보채는 경우에는 설탕이 전혀 포함되지 않은 보리차나 물을 줘야 한다. 아이가 우유 달라고 보채는 경우에는 설탕이 전혀 포함되지 않은 보리차나 물을 줘야 한다. 젖병을 떼기 위해 컵을 사용하여 음료를 마시 는 습관을 들이게 해주어야 한다. 아기는 생후 6개월이 지나면서부터는 컵으 로 마시는 훈련을 시작하고, 12개월이 지나면 젖병을 떼는 것이 좋다. <

양치질의 중요성 양치질을 즐겁고 유익한 일이라는 인식을 심어 주어야 아이가 혼자서도 양치질을 할 수 있다. 양치질을 즐겁고 유익한 일이라는 인식을 심어 주어야 아이가 혼자서도 양치질을 할 수 있다. 부모가 올바른 양치질 방법을 제대로 익혀 아이들과 함께 하면서 즐거운 양치질 시간 을 만들도록 해야 한다.

올바른 치아관리 신생아 때는 거즈로 잇몸 닦아주다가 치아 가 2~4개 정도 나온 뒤에는 부드러운 칫솔 이나 실리콘 재질로 만들어진 손가락 칫솔 로 하루 2번 정도 닦아준다. 이가 처음 나기 시작하는 6개월 정도부터 는 치과 검진을 하는 게 좋다. 치료 간격은 3~6개월이 적당하다.

느낀점 발표 준비를 하면서 아기의 치아에 대해 많이 알 수 있었다. 영구치가 나기 전 유치 는 금방 빠지니까 충치가 생겨도 별 상관 없다고 생각했는데 잘못 생각을 했었다. 유치가 건강해야 잇몸도 튼튼하고 영구치 가 날 자리도 잘 잡아줄 수 있다는 것을 크 게 깨달았고 나중에 결혼해서 아이가 생겨 도 치아가 언제 나고 어떻게 관리를 해줘 야 하는지 많이 배워서 더 유용할 것 같다.

출처 젖병 충치의 사례 : 동아일보 2001.6.13 네이버 블로그 http://cafe.naver.com/se7005/734 http://cafe.naver.com/garglinlove/19 http://bbs.moneta.co.kr/nbbs/bbs.normal.qry.screen?p_bbs_id= N10090&p_message_id=12257615 http://blog.naver.com/yeolindental?Redirect=Log&logNo=7016 1340243 올바른 양치질 습관 : http://cafe.naver.com/agabangbaby/103 젖병 충치의 사례 : 동아일보 2001.6.13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