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치매관리사업 개관 서울시 광역치매센터장 이 동 영.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온누리교회 일대일 사역팀. CONTENTS 1. 예수님의 공생애 사역 2. 죄의 기원과 죄의 결과 3. 죄 문제의 해결 I. 예수님의 부활은 그리스도의 죽음과 함께 기독교 II. 인간은 하나님 앞에 모두 죄인이다. III. 따라서 나도 죄인이라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Advertisements

3 조 – 김맹식, 김철현, 안현동, 전병웅 기업의 사회적 책임 - 이 론 경 영 학 - 【 조 영 복 교수님 】
지하철택배보관함 서비스 제안서 서울시 중구 광희동 1 가 86-2 동대문운동장역 (5 호선 )B1 Tel : Fax : ㈜보스크.
서울혁신기획관 익명성과 인간소외 심화, 공동체 해체 … 시민의 행복지수와 삶의 질 하락 … 2 I. 왜 … 마을공동체인가 ! 1.
2009 년 행정안전부 공직설명회 년 행정안전부 공직설명회 2 목 차 I. 개 요 II. 기능직 개편원칙 III. 정보통신현업 개편방안 IV. 주요 이슈.
형제침례교회 필리아성가대 성탄절 칸타타 1. Opening : 영광을 하늘 높은 곳 에 성탄예배에 오신 성도님, 환영합니다. 오늘 성탄예배는 칸타타로 드리는데요 성가대가 부르는 찬양을 듣기만 하는 칸타타가 아니라 성도님들께서 모두 찬양하는 칸타타입니다. 화면을 보면서.
2013 년 조사연구위원회 위촉식 및 활동 설명회 2013 년 조사연구위원회 위촉식 및 활동 설명회
강백준 ( 정자초 4 학년 ) “3D 프린터 ” 가 세상을 바꿀 것이라고 합니다. 무궁무진한 가능성 : 뭐든지 만들 수 있다 ! 원하는 물건을 돈주고 산다  내가 만든다 !! 미래산업을 바꿀 7 대 파괴적 혁신기술 !!! ( 삼성경제연구소 ) 21 세기 기술혁명 !!
건강새마을 조성사업 주민 참여 모니터링 강 민 정.
클림트의 회화적인 요소를 이용한 치레거리 디자인 연구
(목) 심형석 영산대학교 부동산∙금융학과 교수 영산대학교 부동산연구소 소장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예술(음악/미술)교과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내용
목 차 I 방위산업의 정의 II 방위산업의 특성 III 방위산업의 현황.
이탈리아 피자스파게티올리브등.
홍보출판 위원회 출판국 2010년 사역 계획서 발표자 : 출판국 국장 / 박수만권사 일시: 2010년 01월 17일(일) 1.
경주 3코스 양반문화와 전통 다크호스 백 지연 다크호스 백지연 4학년.
영호남 공동발전을 위한 학술문화 교류사업 보고
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 10 연세재단세브란스빌딩
2002년 낙동고 4기 동기회 모임 낙동고 4기 동기회.
예수의 제자들 담당교수 : 김동욱.
역대 정부개편의 교훈과 새로운 정부조직개편의 방향
국회토론회 가습기살균제 건강피해 구제방안 정해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사회의학교실.
진단분류 체계.
기록관리 업무담당자 교육 2017년 경상북도문경교육지원청.
김종찬 김정석 이상미 임성규 담당 교수님 최병수 교수님
체위변경과 이동 요양보호 강사 : 이윤희.
빛과소금의교회 바이블스쿨 교재 8시간 만에 끝내는 성경의 맥(脈) 잡기 장창영 목사.
2D 게임프로그래밍 프로젝트 2차 발표 유제원.
요한계시록 진행과정 장 차 될 일 천년왕국(20:4-6)/흰보좌(20:11-15) 20
제2절 법인세의 계산구조와 세무조정 1. 각 사업연도소득에 대한 법인세 계산구조 회계와 사회 결산서상 당기순이익
예수님 탄생 목자.박사들 경배 (마2:1-12, 눅 2:1-7).
게시판이용자의 본인확인 - 제한적 본인확인제
Global Assessment of Functioning (전반적 기능평가 척도)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사업 기관 평가
Primary Health Care &Health Promotion
2011년 하반기 VIP투자자문 인재채용 안내
올바른 이메일 사용법
성격 자기진단 질문지 (DSM-Ⅳ에 근거).
구약의 맥 I (서론, 원역사) 2014 동안성결교회 수요신학강좌 정석규 LA 목회자 세미나.
Ⅳ. 소화, 순환, 호흡, 배설 2. 소화가 필요해요!.
대촌중 최영미.
물류단지 총량제 폐지 이후 물류시설 공급정책 방향 국 토 교 통 부.
신 윤 호 ㈜엘림에듀 초등사업본부장, 중앙대학교 체육학박사
 KAA 소비자단체장 초청 회원간담회 옥외광고 산업의 현황과 과제 서범석(세명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
민영건강보험의 현황과 발전방향 삼성생명.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위탁 및 공동추진 충청북도교육청 (목) 총무과 교육행정 6급 안 병 대
제12주제 갈보리언덕에서 누가복음 23:33-49.
대박콜 전국화물 퀵서비스 회사소개서 (기업 퀵서비스,택배,문서수발).
보라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요 그 이름은 임마누엘이라 하리라 (이사야7:14)
실버 요양 사업 소개서
발표: G2 박진수 사도요한 준비: G2 박진수 사도요한 T3 김택준 미카엘
Ⅳ. 생식과 발생 4. 자손에게 줄 세포 만들기.
“병원 폐기물 소각장” 및 “가축 폐수 처리장” 건축 허가 반대 (2011년 “음식물처리장” 미해결 민원 연관)
耽羅國 建國神話 허남춘(제주대 국문학과 교수)
요한 계시록 2:12~17 버가모 교회 : 예수님의 모습-좌우에 날썬 검을 가진자 13절-예수님께서 사는 곳을 아신다.
地方自治團體의 財政 < 地方自治團體의 財政 > 1. 意義
동양의 색채 1.인 도 인더스 강 유역에서 고대(B.C 2000 ~ 3000)의 청동기시대에 문화가 이미 발달하였고, 메소포타미아와 유사하고 이는 신에 관한 것이 많고, 도시계획이 이루어져 있었으며, 이 시대부터 모자이크 타일이나 돌에 의한 다채로운 재료가 사용되었다.
원격교육활용론 11. 원격교육 컨텐츠 설계 : 실습 패키지 박소연 (광주대학교).
교육기부 진로체험기관 인증제와 지역 센터 운영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승보.
존 듀이의 경험교육론에 기초한 초등학교 체험활동 특징에 관한 연구
제9주 예산 수립과 집행.
중등학생평가연수 (중학교) 일시 : (목) 10:00 장소 : 부산교육연구정보원 ㅣ중등교육과 ㅣ
양초 한 자루의 과학 과학영재교육 전공 김 연 주 류 은 희 이 상 희.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제 5장. 교육행정 조직의 실제 체육교육 이학재.
8단계 3층을 완성한다 Case 1 Case 2 Case 3 Case 4
정신과 전문병원 내에서 인권문제 국가인권위 권고사항을 중심으로.
1. 칭찬 및 고발제도 운영(안) 1. 목적 : 칭찬문화의 전사적 확산,전파를 통한 칭찬문화 조성 및 건전한 회사문화 형성
2013년 학교정보공시 학교 총괄담당자 연수
신입사원 OJT교육.
Presentation transcript:

서울시 치매관리사업 개관 서울시 광역치매센터장 이 동 영

교육 내용 서울시 치매관리사업의 배경 서울시 치매관리사업 목표 및 추진체계 주요사업별 추진내용 및 방법 평가 예방인식개선사업 주요사업별 추진내용 및 방법 예방인식개선사업 조기검진사업 예방등록관리사업 지역자원강화사업 평가

서울시 치매관리사업의 배경

우리 앞에 닥친 현실… 치매 앓던 80대 노인 자살 자식에 부담되기 싫어..90대 노인, 치매아내 살해하고 자살 치매와 중풍을 앓아오던 80대 노인이 자식들에게 부담 주는 것을 비관해…. 자식에 부담되기 싫어..90대 노인, 치매아내 살해하고 자살 치매에 걸린 아내를 돌보던 90대 노인이 자식들에게 부담을 주는 것을 비관해…. 우울증 60대 딸 치매노모와 전동차 뛰어들어 자살  우울증을 앓던 60대 주부가 치매에 걸린 80대 친정어머니와 함께 요양원서 치매 노인 '상습학대' 물의     부산의 한 노인요양원에서 간병인들이 치매를 앓고 있는 60대 노인에게 상습적으로 가혹행위를 하고 감금까지…

왜 “지금” 치매가 문제인가? 평균수명의 증가 가족구조의 변화 여성의 사회참여확대 전통적 부양의식변화 노인단독가구 증가 노인인구의 급증 특히,최고령층의 증가  치매환자수의 급증 가족구조의 변화 여성의 사회참여확대 전통적 부양의식변화 노인단독가구 증가 사회 문제화

평균수명의 변화 로마제국 275 B.C. Avg Life: 26 yrs 1900 A.D. Avg Life: 49 yrs; improved sanitation helps but infectious disease still a killer. 1990 A.D. Avg Life: 76 yrs; better diet, health care; reduced infant mortality. 1960년 남자 51.1세/ 여자 53.7세 2000년 남자 71.0세 / 여자 78.6세 2006년 남자 75.1세/ 여자 81.9세 (평균 78.6세) 2020s A.D. Avg Life: >100 yrs (?) replacing hormones and other rejuvenating body chemicals. 2030s A.D. Avg Life: >150 yrs (??) genetic engineering in full swing.

인구 고령화의 속도 노인인구비율 한국 일본 영국 미국 스웨덴 프랑스 7% 2000 1970 1930 1942 1890 1864 14% 2018 1994 1975 2015 1979 소요연수 18 24 45 73 85 115 통계청 (2006)

9.2% 15.6% 2005: 9.2% 2020: 15.6%

연령별 치매 유병율 65세 이후 매 5세 증가마다 약 2배씩 유병율 증가 연령 (세) 가상 추정치 (%) 실제 추정치 (%): 서울 65-69 2.0 2.6 70-74 4.0 3.7 75-79 8.0 8.5 80-84 16.0 27.8 85 이상 32.0 32.6 Lee et al (2002) J Am Geriatr Soc

치매는 얼마나 늘어날까 ? 노인 100 명 중 7 – 10 명이 치매 2005년 치매 노인 35 만명으로 추산 (입소가 필요한 중증 치매가 약 20%  7만명 수용이 필요 : 현재 시설 약 2만명 cover) 실제 입소 시설 수: 무료 요양시설 131개, 무료 전문요양시설 108개, 실비 요양시설 43개 등 모두 282개 시설에서 2만여명의 환자만이 요양을 2020년 치매 노인 80 만명으로 추산

치 매 의존 및 문제행동 심리적 부담 신체적 부담 경제적 부담 사회적 고립 걱정, 애도, 분노, 소외감, 우울증 만성피로, 질병이환 가족붕괴, 파국적 행동 사회 문제

“치매”의 질병 특성과 통합적 관리의 필요성 만성적 / 진행성 경과 다양한 원인 질환 “치매 통합관리” 진행 단계별 필요 서비스의 종류가 상이 예방 및 조기개입의 중요성 다양한 원인 질환 조기개입을 통한 완치 (10~15%), 진행 억제, 증상 개선 가능 정확한 원인 진단의 중요성 중증환자 시설 보호 뿐 아니라 예방, 조기진단 및 치료, 재활, 단계별 적정관리의 통합적 제공 필요 “치매 통합관리”

콜린분해효소 억제제의 예후개선 효과 Lopez et al. (2002) Arch Neurol

항산화제의 예후개선 효과 Sano et al. (1997) NEJM

Advances in Psychiatric Treatment 2005;11:176-183

서울시 치매관리사업의 목표 및 추진체계

서울시 치매관리사업의 목표 기존의 중증 치매환자 시설 수용 중심의 치매관리 틀에서 벗어나 치매 예방에서부터 조기발견 및 치료, 재활, 진행 단계별 적정 관리 등을 포괄하는 “치매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 치매 환자 및 가족의 정신적, 육체적, 경제적 부담 경감 치매 유병률 및 중증 환자 비율을 낮춰 치매와 관련된 사회적 비용을 경감

서울시 치매관리사업의 기본원칙 (3C) 지역사회중심 비용효율성 통합적 접근 (Community based approach) 지역사회 기반의 사업추진 지역사회 적용 가능성 중점고려 시민참여 및 접근 용이성 고려 투여 비용 대비 효과의 극대화 기존 지역사회 자원 활용 민간의 자발적 참여 유도 비용효율성 (Cost-effective approach) 치매 예방에서부터 조기발견 및 치료, 재활, 진행단계별 적정 관리를 포괄 의료와 복지가 조화된 다학제적 접근 통합적 접근 (Comprehensive approach)

서울시 치매관리사업 추진체계

Dementia Service Network (DSN) 치매환자 가정 치매전문병원 치매 종합 센터 치매전문 요양시설 치매클리닉 주간보호소 단기보호시설 상담 신고센터 ( 보건소 ) 광역치매센터 기타 의료 / 복지 자원 주간보호 단기보호 시설 자치구 지역치매 지원센터

광역치매센터의 역할 서울시 치매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실태조사 · 관리수요 추계 정책 개발 · 비전 제시 서울시 치매 관련 서울시 치매관리사업 총괄 기획 사업 표준 프로토콜 연구개발 (예방·검진·등록·관리 프로그램) 치매관리사업인력 및 시설자원개발 치매관리사업홍보 및 인식전환사업 치매종합정보 시스템 구축 및 운영 치매관리기법 및 정책 연구 정책 개발 · 비전 제시 지역치매지원센터 지원 서울시 치매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광역치매센터 운영조직 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 센터장 기술지원단 운영위원회 교육홍보팀 자원통합관리팀 정보사업팀 연구개발팀 위탁 정 신 과 신 경 과 간 호 복 지 심 리 비약물치료 원내 관련 전문의 서울시 담당 공무원 센터 사무국장 복지건강국 보건정책과 교육홍보팀 자원통합관리팀 정보사업팀 연구개발팀

지역치매지원센터 목적 해당 자치구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치매예방, 조기검진, 등록관리, 치료비 지원, 지역유관 자원연계 등의 사업을 직접 시행 사업내용 치매예방 및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홍보 조기검진시행 및 저소득층 원인확진 검사비 지원 예방등록관리 및 저소득층 치매환자 치료비 지원 부설 “인지건강센터”운영 (비약물적 치료 프로그램 시행) 연계체계구축 및 운영, 프로그램 보급, 인력 및 기술지원 등 지역주민 및 시설 종사자의 치매관련 이해도·요구도 및 사업만족도 조사 기타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업무

치매상담센터의 업무 노인복지법 시행규칙 제12조 2항 치매환자의 등록관리 치매환자 및 그 보호자에 대한 상담 치매의 예방 및 간병요령 등에 관한 교육의 실시 재택 치매환자에 대한 방문관리 치매환자의 노인전문요양시설 등에의 입소안내 기타 시장군수구청장이 치매예방 및 치매환자관리에 관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업무

서울시 치매관리사업 주요사업별 추진내용 및 방법 춪 서울시 치매관리사업 주요사업별 추진내용 및 방법 춪

I. 치매예방 및 인식개선사업 사업 목적 치매도 예방 및 치료관리가 가능하다는 인식의 확산 일반 시민 및 유관 기관 종사자들이 서울시 치매관리사업에 적극적으로 동참 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

II. 치매 조기검진사업 사업 목적 사업추진체계 사업 대상 사업 목표 조기검진을 통해 치매 및 고위험 노인을 조기에 발견 예방등록관리대상자 분류: 상태별 적정관리 사업추진체계 광역센터: 지침개발, 온라인DB 제작/관리, 서울시 검진통계확보 지역센터: 사업시행, 온라인DB 입력/활용, 지역 검진통계확보 사업 대상 지역사회 거주 만 65세 이상 노인 전체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우선 검진 사업 목표 전체 노인에 대한 검진 실시 (자체 목표 설정)

조기검진사업 절차 검진 홍보 선별 검진 정밀 검진 원인 확진 검사 연계 예방등록관리 연계 조기검진을 받은 모든 노인은 예방등록관리 대상자

검진 홍보 치매예방 및 인식개선 사업을 통한 검진 홍보 홈페이지 홍보 지역 언론 홍보 지역 내 유관 기관을 통한 홍보 지역 내 유관 기관을 통한 홍보 보건소 방문 노인 홍보 지역 경로당, 노인복지관 및 노인대학 연계 (순회검진) 기초생활수급대상자 및 차상위 계층 노인의 경우 개별 접촉 홍보 (서신 발송 등)

선별 검진 (1) 검진 시행자 검진장소 검진내용 시행 교육을 받은 간호사 또는 임상심리사 내원검진 : 지역치매지원센터 방문검진 : 대상자의 거주지, 경로당, 복지관, 노인대학 등 * 주변의 방해를 받지 않고 검진 시행 가능한 공간 확보가 중요 검진내용 “등록관리기본정보지” 작성 치매선별검사 (MMSE-KC 또는 K-MMSE) 시행

(Page 119)

(Page 187)

(Page 103)

(Page 107)

선별 검진 (2) 검진결과 해석 검진결과에 따른 조치 완료 후 “치매조기검진 결과 요약지” 선별검진 부분 작성 부록 표11-4의 결과판정 기준점수표에 따라 MMSE 결과 해석 MMSE 점수 < 해당 규준 값 (평균-1.5SD) : “인지저하” MMSE 점수 ≥ 해당 규준 값 (평균-1.5SD) : “정상” 검진결과에 따른 조치 “인지저하”: 대면 또는 전화로 결과 설명. 정밀검진 연계 “정상”: 서면 또는 전화로 결과 통보. 등록관리 연계 완료 후 “치매조기검진 결과 요약지” 선별검진 부분 작성

(Page 188)

MMSE에 대한 인구학적 변인의 영향

How to interpret the result? Case 1 77 / F, education=2 yrs MMSE=16 Case 1 Normal Case 2 73 / M, education=6 yrs MMSE=21 Case 2 VD CDR=1 Case 3 53 / M, education=18yrs MMSE=26 Case 3 AD CDR=0.5

(Page 109)

정밀 검진 (1) 대상자: 선별검진 결과 “인지저하”로 분류된 노인 검진장소 검진 내용 내원검진 : 지역치매지원센터 방문검진 : 대상자의 거주지, 경로당, 복지관, 노인대학 등 (불가피한 경우 예외적으로 방문검진 시행) 검진 내용 1단계 : 치매신경심리평가 CERAD-K(N) 또는 SNSB 도구 사용 임상심리사 또는 시행 훈련을 받은 간호사가 시행 2단계 : 치매임상평가 정신과 또는 신경과 전문의가 시행 임상평가 시행 후 다음 항목에 대한 결과 도출 진단 분류: 치매, 치매 고위험, 정상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 진단분류 치매 (CDR 0.5~1) 치매 고위험 (CDR 0.5) 정상 (CDR 0) DSM-IV 치매 기준에 근거 현재 치매는 아니지만 인지기능저하가 분명히 있는 경우 전문의 진찰 결과 치매 진행 예방 또는 인지기능저하의 개선을 위해 적극적인 관리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상태 퇴행성 뇌질환 초기, 혈관성 인지손상 뿐만 아니라, 우울증으로 인한 인지기능저하 상태, 신체적 원인에 의한 인지기능저하 상태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한 기능저하상태를 포괄하는 광의의 경도인지손상상태(MCI) 정상 (CDR 0) 상기한 치매 또는 치매 고위험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진단 경미한 건망증만 나타나는 경우도 포함

정밀 검진 (2) 검진결과에 따른 조처 검진 결과 통보 완료 후 “치매조기검진 결과 요약지” 정밀검진 부분 작성 “치매”  ⇒ 치매 원인확진 검사 연계 시행 (원인확진 후, 예방등록관리사업으로 연계) “치매 고위험” 또는 “정상” ⇒ 예방등록관리사업으로 연계 검진 결과 통보 최종적인 검진 결과를 2단계를 시행한 의사가 직접 면담을 통해 설명 (대면 또는 전화). 필요한 경우 대상자 본인뿐만 아니라 가족에게도 설명 완료 후 “치매조기검진 결과 요약지” 정밀검진 부분 작성

(Page 109)

원인확진 검사 대상자: 정밀검진 결과 “치매”로 진단 분류된 노인 검진내용 검진 후 조치 지역치매지원센터 수탁병원 (또는 기타 지역 의료기관) 연계를 통한 뇌 영상검사 및 기타 진단의학적 검사 시행 검사 결과를 참고하여 치매 원인 확진 검진 후 조치 “치매조기검진 결과 요약지” 원인확진 부분 작성 예방등록관리사업으로 연계하여 지속 관리 시행

(Page 109)

저소득층 원인확진 검사비용 지원 개요 지원대상 지원범위 저소득층 치매 환자에 대해 원인확진 검사비 중 본인 부담금을 일정 부분 지원해주는 서비스 지원대상 정밀 검진에서 치매로 진단된 노인 중 저소득층 지원범위 “치매 조기검진비용 산출근거” (복지부)에 제시된 검사 및 수가 기준에 의거 (171,727원: 본인부담금) 추가 검사에 대해서는 센터장 승인 하에 지원 가능 1단계 : “등록관리 기본정보지” 작성 2단계 : 치매인 경우에 한해 “치매상태 평가지” 작성 3단계 : 작성된 서식을 개인 “치매검진·등록관리 기록부”에 철 * “치매검진·등록관리 온라인 DB”에 해당부분 입력

조기검진 흐름도 (Page 51) 치매 치매 고위험 정상 선별 검진 정밀 검진 원인확진검사 치매 등록관리 치매 고위험 등록관리 결과요약: 10-1-⑤ 안내: 10-1-① 예약: 10-1-② 결과통보: 10-1-⑥, ⑦ 예약: 10-1-⑧, ⑨ 중등도 평가: 10-1-⑩ MMSE ≥ 평균-1.5표준편차 MMSE < 평균-1.5표준편차 선별 검진 1. 등록관리기본정보 수집 (10-2-②) 2. MMSE 시행 (10-1-③ 또는 10-1-④) 정밀 검진 1. 신경심리평가 2. 치매임상평가 치매 치매 고위험 정상 원인확진검사 1. 뇌영상검사 2. 기타 검사 치매 등록관리 치매 고위험 등록관리 정상 등록관리 저소득층 검사비용지원

III. 치매 예방등록관리사업 사업 목적 사업추진체계 치매환자: 지속 관리를 통해 환자의 삶의 질 향상, 가족부담 경감 치매고위험 및 정상 노인: 지속관리를 통해 치매발생 억제 사업추진체계 광역센터 관리지침개발 및 제공, 온라인 DB 제작 및 관리 서울시 등록관리 통계확보 지역센터 관리사업 시행, 온라인 DB 자료입력 및 활용 지역 등록관리 통계확보

치매 예방등록관리 기본요소 기초상담 등록 관리  본격적인 등록관리 절차에 앞서 치매와 관련하여 지역치매지원센터에 접촉한 모든 노인 (또는 관련 보호자)을 일차 상담 관련 정보를 제공하거나 치매조기검진 / 예방등록관리로 연계 등록 치매 조기검진을 통해 치매, 치매고위험, 정상 중 한가지로 진단분류 되었거나, 전문의료기관에서 이미 치매로 진단 받은 노인을 일정 양식에 따라 등록하는 절차 관리 등록된 노인들을 진단 분류 및 파악된 개인별 정보를 토대로 적정관리를 계획하여 제공하는 절차 1단계 : “등록관리 기본정보지” 작성 2단계 : 치매인 경우에 한해 “치매상태 평가지” 작성 3단계 : 작성된 서식을 개인 “치매검진·등록관리 기록부”에 철 * “치매검진·등록관리 온라인 DB”에 해당부분 입력

등록관리-조기검진 흐름도 (Page 51) 치매 치매 고위험 정상 등록관리 직접 연계 조기검진 연계 관련 정보제공 후 종결 결과요약: 10-1-⑤ 안내: 10-1-① 예약: 10-1-② 결과통보: 10-1-⑥, ⑦ 예약: 10-1-⑧, ⑨ 중등도 평가: 10-1-⑩ 기초 상담 전화, 방문, 인터넷 상담 (10-2-①) MMSE ≥ 평균-1.5표준편차 MMSE < 평균-1.5표준편차 선별 검진 1. 등록관리기본정보 수집 (10-2-②) 2. MMSE 시행 (10-1-③ 또는 10-1-④) 정밀 검진 1. 신경심리평가 2. 치매임상평가 치매 치매 고위험 정상 원인확진검사 1. 뇌영상검사 2. 기타 검사 치매 등록관리 치매 고위험 등록관리 정상 등록관리 등록관리기본정보 수집 (9-2-②) 등록관리 직접 연계 조기검진 연계 관련 정보제공 후 종결 기 치매 진단 환자 검진 필요 검진시행/진단확인 불가능 원인확진 검사 기 시행된 경우 저소득층 검사비용지원 (Page 51) 등록관리-조기검진 흐름도

진단분류 별 등록관리 *치매상태평가지: Page 120 *관리계획지: Page 132~135

저소득층 치료비 지원 개요 저소득층 치매 환자 가족의 경제적 부담 경감 위해 치매 치료비 중 본인 부담금을 일정 부분 지원해 주는 서비스 지원대상 경도 또는 중등도 치매 환자 중 저소득층 지원범위 지원액 : 월 10만원 한도 내에서 치매 치료비용 중 본인부담금에 해당하는 부분을 지원 지원항목범위 : 접수비, 진찰료, 약제비 1단계 : “등록관리 기본정보지” 작성 2단계 : 치매인 경우에 한해 “치매상태 평가지” 작성 3단계 : 작성된 서식을 개인 “치매검진·등록관리 기록부”에 철 * “치매검진·등록관리 온라인 DB”에 해당부분 입력

IV. 치매 지역사회자원 강화사업 사업목적 사업내용 지역사회 인적, 물적 자원의 세부 실태 파악 시설 종사자 교육을 통한 서비스 수준 향상 자원 연계를 통한 효율적 활용 체계 구축 실적적인 사업계획 및 평가 사업내용 서울시 치매관련 자원 실태조사 지역주민 및 시설 종사자 이해도·요구도 조사 치매관련 기관 및 시설 종사자 교육 지역자원간 연계 체계 구축 및 운영

지역주민 이해도 및 요구도 조사 조사대상 조사내용 조사시기 및 활용방법 지역치매지원센터 이용자 (필수) 무작위선정 일반시민 (선택적) 조사내용 치매에 대한 전반적 이해 정도 치매와 관련한 서비스 및 시설 요구도 지역치매지원센터 서비스와 관련된 만족도 조사시기 및 활용방법 사업초기 조사 치매 이해도 및 요구도 조사  사업 계획/시행에 반영 사업종료시점 조사 치매 이해도 변화 및 이용자 만족도 조사  사업효과 판단 참고 1단계 : “등록관리 기본정보지” 작성 2단계 : 치매인 경우에 한해 “치매상태 평가지” 작성 3단계 : 작성된 서식을 개인 “치매검진·등록관리 기록부”에 철 * “치매검진·등록관리 온라인 DB”에 해당부분 입력

기관 종사자 이해도 및 요구도 조사 조사대상 조사내용 조사시기 및 활용방법 해당 자치구 관내 치매관련 의료·복지기관 종사자 치매에 대한 전반적 이해 정도 치매와 관련한 서비스 및 시설 요구도 서울시 치매관리사업에 대한 요구도 서울시 치매관리사업에 대한 만족도 및 건의사항 조사시기 및 활용방법 사업초기 조사 치매 이해도 및 요구도 조사  사업 계획/시행에 반영 사업종료시점 조사 치매 이해도 변화 및 사업 만족도 조사  사업효과 판단 참고 건의사항을 2008년 사업계획에 반영 1단계 : “등록관리 기본정보지” 작성 2단계 : 치매인 경우에 한해 “치매상태 평가지” 작성 3단계 : 작성된 서식을 개인 “치매검진·등록관리 기록부”에 철 * “치매검진·등록관리 온라인 DB”에 해당부분 입력

지역 협의체 구성 및 운영 위원의 구성 기능 지역센터 센터장 및 팀장 자치구 관련 공무원 지역 내 치매관련 복지시설 대표 주간보호시설, 장·단기 요양시설, 인력파견시설 및 기타 복지시설 지역 내 치매관련 의료기관 대표 치매관련 병의원    (정신과, 신경과, 가정의학과 의원, 종합병원 정신과/신경과 전문의 등) 기능 지역 내 치매관련 인력 및 기관 간 유대 강화 지역 내 시설 및 인력의 구체적 실태 파악 및 건의 수렴 시설 간 연계 (의뢰 및 지원) 현황 파악 및 문제 개선 방안 모색 지역치매지원센터 및 광역치매센터 차원의 지원 방안 모색 1단계 : “등록관리 기본정보지” 작성 2단계 : 치매인 경우에 한해 “치매상태 평가지” 작성 3단계 : 작성된 서식을 개인 “치매검진·등록관리 기록부”에 철 * “치매검진·등록관리 온라인 DB”에 해당부분 입력

비약물적 치료 프로그램 지원 지원 대상 지원 내용 지원 방법 지역 내 치매관련 복지/의료 시설 인지건강센터에서 시행 중인 비약물적 치료 프로그램 지원 지원 방법 시설 종사자의 인지건강센터 방문 교육 인지건강센터 전문 인력의 대상시설 방문 교육 인지건강센터 전문 인력의 대상시설 방문 프로그램 시행 1단계 : “등록관리 기본정보지” 작성 2단계 : 치매인 경우에 한해 “치매상태 평가지” 작성 3단계 : 작성된 서식을 개인 “치매검진·등록관리 기록부”에 철 * “치매검진·등록관리 온라인 DB”에 해당부분 입력

V. 치매 통합관리 정보시스템 구축운영사업 사업목적 사업내용 치매관리사업 효율성 극대화 사업 참여자, 시설 종사자, 치매환자가족 및 일반 시민에게 보다 쉽고 빠르게 정확한 치매관련 정보를 제공 사업내용 치매통합관리 온라인 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서울시 치매관리사업 중앙 홈페이지 구축 및 운영 치매 시설정보 온라인 DB 구축 및 운영 치매 검진·등록관리 온라인 DB 구축 및 운영 치매 통합상담전화 운영 원격치매검진 및 상담 시스템 시범 운영

Summary 확진검사 비용지원 치료비 지원 인지건강센터활동

Dementia Service Network (DSN) 치매환자 가정 치매전문병원 치매 종합 센터 치매전문 요양시설 치매클리닉 주간보호소 단기보호시설 상담 신고센터 ( 보건소 ) 광역치매센터 기타 의료 / 복지 자원 주간보호 단기보호 시설 자치구 지역치매 지원센터

사업평가

평가 목표 평가의 방향 평가의 대상 평가 주체 및 방법 지역센터 별 사업추진 상황, 실적, 효과 평가 지역센터 별 특성 및 개별 사업별 특성 비교 분석 평가의 방향 평가대상의 동기 유발에 기여하는 방향 구체적인 실적과 사실에 근거 다양한 노력을 인정하되 중장기적 지향점을 고려 평가의 대상 지역치매지원센터 평가 주체 및 방법 보건소: 평가지침에 따른 자체평가 광역치매센터: 분기보고 및 현장방문, 설문조사 등에 근거하여 평가 후 서울시 보고 온라인 DB 활용평가